해외뉴스
국외 언론사에 보도된 관련 뉴스와 기사를 담고 있습니다.[25.08.29.금] 테바, Saxenda 제네릭으로 비만 치료제 GLP-1 최초 모방제 출시
- 등록일시2025-08-29 09:44
- 조회수57
- 분류 BT종합
-
출처
FiercePharma 외
-
키워드
#GLP-1 #비만 치료제 #제네릭 #르가글루타이드 #Saxenda
- 첨부파일
[25.08.29] 국외뉴스 현황
* 해당 번역은 자동 구글번역을 이용하였습니다.
1. FiercePharma
With Saxenda Generic, Teva Launches First Copycat GLP-1 for Obesity
테바, Saxenda 제네릭으로 비만 치료제 GLP-1 최초 모방제 출시
Teva Pharmaceuticals는 미국 FDA로부터 Saxenda의 복제약인 르라글루타이드(liraglutide)를 승인받아 체중 감량에 특화된 첫 번째 GLP-1 일반의약품을 출시했다. 이 약은 비만한 성인과 12~17세 청소년에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간 고가였던 Saxenda에 비해 더 저렴한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체중 관리 시장에 큰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기대된다.
2. Nature
Autism is on the Rise: What’s Really Behind the Increase?
자폐증의 증가: 그 증가의 진짜 원인은?
전 세계 자폐증 진단이 증가한 현실에 대해 억만장자 RFK Jr.는 “환경 독소”를 원인으로 지목하며 연구 지원을 약속했지만, 과학자들은 대규모 연구 결과를 근거로 유전적 요인이 훨씬 더 큰 역할을 한다고 강조하며, 동시에 조기 진단 확대와 인식 변화가 진단 증가의 중요한 배경임을 지적한다. 또한 전문가들은 환경 요인 역시 일부 영향을 줄 수 있지만, 현재까지는 뚜렷한 인과 관계가 입증되지 않았으며, 과학적 근거 없는 주장이 사회적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3. SciTechDaily
Common Painkillers Like Ibuprofen Could Be Fueling a Global Health Threat
이부프로펜과 같은 흔한 진통제가 전 세계적 건강 위협을 가중시킬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이부프로펜과 아세트아미노펜 같은 흔한 진통제가 항생제 내성을 촉진할 수 있으며, 특히 시프로플록사신과 함께 사용될 때 장내 세균이 빠르게 돌연변이를 일으켜 내성을 획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현상은 노인 요양시설처럼 여러 약을 동시에 복용하는 환경에서 항생제 효과를 크게 떨어뜨릴 수 있어, 일상적으로 쓰이는 진통제라도 항생제 병용 시 신중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Exploring Histopathology in Peste des Petits Ruminants
반추동물 해충의 조직병리학 탐구
염소와 양에서 발생하는 작은 반추동물 페스트(PPR)는 호흡기, 소화기, 림프계 등 다양한 장기에서 괴사, 울혈, 림프 조직 감소 등 조직학적 병변을 유발하며, 이러한 변화는 치료 방식, 백신 접근, 감염 후 기간 등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또한 연구자들은 이러한 병리학적 특징이 PPR의 조기 진단과 효과적인 방역 전략 수립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고 강조한다.
5. MIT News
MIT Researchers Develop AI Tool to Improve Flu Vaccine Strain Selection
MIT 연구원, 독감 백신 균주 선택 개선을 위한 AI 도구 개발
MIT 연구진은 딥러닝 기반 AI 시스템 VaxSeer를 개발해, 독감 바이러스가 어떻게 진화할지를 예측하고 가장 효과적인 백신 균주를 미리 선별할 수 있도록 했다. 이 도구는 바이러스 균주의 확산 가능성과 항원유사성을 함께 평가하여 예측 커버리지 점수를 산출하며, 과거 10년간의 WHO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WHO 권고안보다 균주 선택 성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Innovative Online Tool Poised to Transform High Blood Pressure Treatment
고혈압 치료를 혁신할 혁신적인 온라인 도구
연구진은 약 500건의 임상시험, 10만 명 이상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항고혈압제의 혈압 강하 효과를 정밀하게 계산해주는 온라인 계산기를 개발했다. 이 도구는 약제별·용량별 평균 혈압 감소 효과를 제시하여 불규칙한 혈압 측정에 의존하던 기존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여러 약물 조합까지 통합 분석해 임상 지연을 줄이고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며, 고혈압 관리의 정밀의학적 전환을 앞당길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준다.
MicroRNA-25-3p Boosts Pancreatic Cancer Progression via EVs
MicroRNA-25-3p는 EV를 통해 췌장암 진행을 촉진한다
연구에 따르면, 췌장암 세포가 분비하는 세포외 소포(EVs) 안의 microRNA-25-3p는 간성상세포(HSCs)를 활성화시켜 섬유화와 종양 친화적 환경을 조성하고, 이로 인해 췌장암의 진행과 전이가 촉진된다. 이 과정은 α-SMA와 콜라겐 발현 증가로 확인되었으며, microRNA-25-3p가 특정 유전자를 조절해 HSC 활성화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조기 진단용 바이오마커이자 새로운 치료 표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제시된다.
Omega-3 Supplements Lower Heart Rate in Male Athletes
오메가-3 보충제, 남성 운동선수의 심박수를 감소시킨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오메가-3 보충제가 심장 박동수를 낮추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심혈관 질환 위험을 가질 수 있는 대상에서 돌연심장사(SCD)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는 오메가-3가 심장세포의 전기적 흥분성을 감소시키거나 심실의 반응 시간을 연장하는 방식으로 작용함으로써 가능해 보인다.
9. GEN
AI Reveals How Protein Modifications Link Mutations to Disease
AI, 단백질 변형이 돌연변이와 질병을 어떻게 연결하는지 밝혀
Baylor College of Medicine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지능 모델 DeepMVP는, 대규모 고품질 데이터를 기반으로 여섯 가지 종류의 단백질 후반수정(PTM)을 정확히 예측하며, 돌연변이가 이러한 PTM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도 유의미하게 예측할 수 있다. 이 모델은 문헌 기반의 돌연변이 사례와 암 프로테오게놈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험적 타당성을 입증했으며, 질병 연관성 높은 변이를 PTM 관점에서 평가하는 효율적인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다.
10. The Medical News
Gyroscopic Backpack Improves Balance in Patients with Ataxia
자이로스코프 배낭, 운동실조 환자의 균형 회복에 도움을 준다
자이로스코프 기반 웨어러블 로봇 배낭 “GyroPack”은 상체에 제어되는 회전 모먼트를 적용해 운동실조 환자의 서기 및 보행 중 균형을 크게 향상시키며 넘어짐 위험을 줄이는 효과를 보였다. 기존 보행 보조 기구와 달리 손을 자유롭게 유지하면서도 균형을 돕는 혁신적 설계로, 재활 및 이동성 분야에서 실용성과 임상 적용 가능성을 크게 높인 것으로 평가된다.
11. ScienceAlert
'Universal' Cancer Vaccine Destroys Resistant Tumors in Mice
'범용' 암 백신, 생쥐에서 내성 종양 파괴
플로리다 대학교 연구팀이 개발한 실험용 mRNA 암 백신은 특정 종양 단백질을 겨냥하는 대신, 면역 시스템을 마치 바이러스가 침입한 듯 '깨워' 다양한 유형의 약제 내성 종양을 포함해 쥐 모델에서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는 효과를 보였다. 특히 항암 면역치료제인 체크포인트 억제제와 병용할 경우 항종양 반응이 극대화되며, 단독 사용만으로도 일부 경우에서는 종양이 완전히 사라지는 강력한 항암 효과를 확인했다.
Can a Clock Test and DNA Reveal How Fast Your Brain is Aging?
시계 검사와 DNA 검사로 뇌의 노화 속도를 알 수 있을까?
연구에 따르면 DNA 메틸화 기반 생물학적 연령 가속도(epigenetic age acceleration)가 높은 사람들은 이후 7년 뒤 디지털 시계 그림 검사(digital Clock Drawing Test)에서 인지 기능이 더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즉, 분자 수준에서 빠르게 노화하는 사람은 인지 능력 저하 위험도 함께 높다는 강력한 증거가 제시되었다. 이 결과는 단순한 연대기적 나이가 아니라 분자 지표와 인지 평가를 결합한 접근이 뇌 노화를 조기에 파악하고 치매 위험을 예측하는 데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13. ScienceDaily
This Simple Diet Could Help Protect Memory, Even With Alzheimer’s Genes
이 간단한 식단은 알츠하이머 유전자가 있어도 기억력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지중해식 식단을 따르는 사람들은 치매 위험이 낮고 인지 저하 속도도 더 느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알츠하이머 고위험 유전자형인 APOE4 변이 두 개를 가진 집단에서 보호 효과가 가장 컸다. 이는 식단이 대사 경로 전반에 영향을 미쳐 치매 발생을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하며, 고위험군에게 더욱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지만, 연구가 주로 유럽계 고학력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한계가 있어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
14. BIOENGINEER.ORG
Research Reveals Major Health Benefits from Gut Microbiome Transplants
장내 미생물 이식의 주요 건강상 이점에 대한 연구 결과
연구에 따르면, 비만 청소년에게 단 한 번 시행된 장내 미생물 이식 (FMT)이 체중 변화를 크게 유도하진 않았지만, 4년 후에도 체중 증가 없이 유지되는 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들(고혈압, 고혈당, 복부비만, 트리글리세리드 증가, HDL 감소)의 지속적 개선으로 이어졌다. 이 효과는 건강한 미생물 균주의 장내 정착이 장기간 유지됨으로써, 마치 대사 건강의 ‘리셋’을 가져온 듯한 결과로 해석된다.
15. PLOS Biology
간세포에서의 아치명적 카스파아제 활성은 JAK/STAT3 경로를 통해 간 재생을 촉진한다
연구에 따르면, 간세포에서 '세포사멸 집행자' 카스파아제(executioner caspase)의 활성화가 생존 수준(sublethal)으로 일찍 발생할 경우, 대부분의 간세포는 살아남아 증식하며 간 재생에 기여한다. 이 현상은 JAK/STAT3 신호 경로를 통해 매개되며, 세포사멸 수준의 조절이 적절히 이루어질 때 간 재생이 효과적으로 촉진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