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뉴스
국외 언론사에 보도된 관련 뉴스와 기사를 담고 있습니다.[25.09.02.화] 비트 주스, 단 2주 만에 노인의 혈압을 낮추는 비밀
- 등록일시2025-09-02 11:08
- 조회수548
- 분류 BT종합
-
출처
ScienceDaily 외
- 원문링크
-
키워드
#비트 #혈압 #질산염 #미생물 #심혈
- 첨부파일
[25.09.02] 국외뉴스 현황
* 해당 번역은 자동 구글번역을 이용하였습니다.
1. ScienceDaily
Beet Juice Secretly Helps Older Adults Lower Blood Pressure in Just Two Weeks
비트 주스, 단 2주 만에 노인의 혈압을 낮추는 비밀
연구에 따르면, 고령층에서 질산염이 풍부한 비트 주스를 2주간 섭취했을 때 혈압이 낮아졌으며, 이는 주로 구강 미생물 구성이 변하면서 유익균이 증가하고 해로운 세균이 줄어든 결과로 보인다. 젊은층에서는 같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나이가 들수록 체내 질산화질소 생성이 줄어 혈압 조절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며, 따라서 시금치·루콜라·샐러리 같은 질산염 풍부 채소 섭취가 노년기 심혈관 건강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A Conformational Change in α-Catenin’s Actin-Binding Domain Governs Adherens Junction Maturation
α-카테닌의 액틴 결합 도메인의 구조적 변화는 접착 접합부 성숙을 조절한다
연구진은 형광 수명 및 이방성 이미징을 활용할 수 있는 조건 감지 탐침을 사용해, 알파-카테닌의 액틴 결합 도메인(ABD)이 세포 간 접합(Adherens Junction, AJ)이 성숙함에 따라 구조적 형태 변화를 겪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변형은 액틴 중합에 의존하며, 접합 수준에 따라 알파-카테닌의 단백질 교체 속도 즉, 단백질 회전율(mobility)에도 차이를 만들어, 기계적 안정성과 유동성을 동시에 보장하는 접합 구조 형성에 핵심적 역할을 함을 보여준다.
Single-Cell Profiling of H3K4me1-H3K27me3 Revealed Bivalent Regulation of Abnormal Neuronal Development Caused by Prenatal E-Cigarette Vaporing
H3K4me1-H3K27me3의 단일 세포 프로파일링은 태아기 전자담배 흡입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신경 발달의 이중 조절을 밝혔다
전자담배 흡입에 노출된 산전 쥐의 전전두엽에서 Paired-Tag 기술을 활용해 H3K4me1과 H3K27me3의 히스톤 변형을 세포 단위로 분석한 결과, 이중 조절(bivalency)이 다양한 신경 세포 유형의 유전자 발현과 분화를 교란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신경 전달, 시냅스 기능, 칼슘 및 칠흑 리듬(circadian entrainment)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이 성별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받으며, 이는 후성유전적 상흔으로 작동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4. SciTechDaily
Why Kids With More Colds Are Less Likely to Get COVID
감기에 자주 걸리는 아이들이 코로나에 걸릴 가능성이 낮은 이유
연구에 따르면, 최근 감기를 앓은 사람, 특히 어린이은 이후 몇 주 동안 SARS-CoV-2 감염 위험이 크게 줄어들며, 이는 감기 바이러스(코로나대장염 바이러스)의 자극으로 인해 기도 내 항바이러스 인터페론 반응이 강화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어린이들이 성인보다 감기에 더 자주 걸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증상이 가볍거나 감염에 덜 취약한 이유를 일부 설명해 준다.
Brain-AI System Translates Thoughts Into Movement
뇌-AI 시스템, 생각을 움직임으로 변환
UCLA 연구팀은 비침습형 BCI(뇌-컴퓨터 인터페이스)에 인공지능을 접목한 시스템을 개발했으며, EEG로부터 획득한 뇌 신호를 실시간으로 해석해 로봇 팔이나 커서를 더 정확하고 빠르게 제어할 수 있게 했다. 해당 시스템은 AI 카메라가 사용자 의도를 즉각 분석해 보조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기존 비침습 BCI보다 한층 향상된 성능을 보여준다.
SUGT1 Boosts Serous Ovarian Cancer via FH Downregulation
SUGT1은 FH 발현 억제를 통해 장액성 난소암을 촉진한다
연구에 따르면, SUGT1 단백질은 흉선성 난소암(Serous Ovarian Cancer)에서 FH 효소(fumarate hydratase)의 단백질 분해를 촉진하며, 이를 통해 종양 세포의 증식 및 이동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SUGT1가 과발현된 경우 난소암의 진행 단계가 더 심각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SUGT1 억제는 항암 효과를 유도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7. ScienceAlert
Your Mother's Germs May Have Influenced Your Brain's Development
어머니의 세균이 당신의 뇌 발달에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
멕시코 신공항 건설 현장에서 발굴된 매머드 화석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한 결과, 기존 콜롬비아 매머드와 다른 독자적 계통(Clade 1G)이 확인되었으며, 그 안에서도 예상보다 깊은 유전적 분기 차이가 드러났다. 연구진은 이는 초기 유럽-아시아 매머드 집단 내의 구조적 다양성이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며, 후기 플라이스토세(약 4만~1만2700년 전) 동안 이러한 다양한 계통이 공존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8. ScienceDaily
Lithium Deficiency May Be the Hidden Spark Behind Alzheimer’s
리튬 결핍이 알츠하이머병의 숨겨진 원인일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알츠하이머병의 조기 과정에서 뇌 내 리튬이 암반형성 플라크에 결합해 고갈되면서 신경세포 보호 기능이 감소한다는 점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이와 함께, 플라크와 결합하지 않는 새 리튬 화합물은 쥐 모델에서 기억과 신경 구조를 회복시키며 알츠하이머의 병리학을 되돌리는 효과를 보였다.
Benefits of Chewing Gum That Go Beyond Oral Health
구강 건강을 넘어 껌 씹기의 이점
껌을 씹는 습관은 단순한 구강 건강을 넘어 집중력, 기민함, 스트레스 완화, 식욕 조절, 운동 회복력 향상 등 다양한 건강 혜택을 제공하며 특히 운동 수행과 회복을 돕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다만, 어린이와 노인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며, 향후 이를 보완할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10. FierceBiotech
Roche Sees Alnylam Hypertension RNAi Drug Flunk Trial but Still Plans Phase 3 Push
Roche, Alnylam 고혈압 RNAi 약물 임상 실패했지만 3상 추진 계획
Roche의 고혈압 치료제 zilebesiran이 KARDIA-3 중간 임상시험에서 1차 평가지표인 수축기 혈압(SBP) 감소를 달성하지 못해 실패했지만, 이는 통계적 다중 비교 기준의 영향으로 분석됐으며, Roche는 여전히 3상 진입을 추진할 만큼 잠재력을 높게 평가했다. 또한 이 약물은 특정 환자군(이뇨제 병용, 초기 SBP 140 mmHg 이상)에서 SBP가 9.2 mmHg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고, 안전성도 양호하게 확인되어 추가 연구의 기반을 마련했다.
11. ScienceAlert
Can Vitamin D Slow Aging? A New Study Says Yes – But There's a Catch
비타민 D가 노화를 늦출 수 있을까?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그렇다고 하지만, 함정이 있다
연구에 따르면, 하루 2,000 IU의 비타민 D 보충제를 장기 섭취하면 DNA 말단을 보호하는 텔로미어가 유지되어 노화를 늦출 수 있다. 이 결과는 세포 수준의 나이 지표인 텔로미어 단축을 연간 약 3년치 늦춘 효과로 해석되며, 노화 지연에 대한 잠재적 전략으로 주목된다. 하지만 과도한 비타민 D 섭취는 건강에 오히려 해로울 수 있으며, 어떤 사람에게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어 일반화된 복용 권고는 시기상조라는 주의도 필요하다.
12. The Medical News
Why Metformin Could Protect the Brain by Rewiring Mitochondria
메트포르민이 미토콘드리아를 재배선하여 뇌를 보호할 수 있는 이유
메트포르민이 뇌의 Rap1 단백질 억제를 통해 저용량에서도 혈당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음을 밝혀냈다. 이 경로는 간이나 장과 같은 기존 작용 메커니즘과 달리 뇌 중심의 새로운 당 조절 기전으로, 향후 더 정밀한 당뇨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13. The Medical News
Genomic Clues Uncover Early Origins of Multiple Myeloma
유전체 단서로 다발성 골수종의 초기 기원 밝혀
수천 명의 환자 대상 게놈 프로파일링을 통해 만든 ‘MM-like’ 점수는 다발골수종의 전암성 상태(MGUS, SMM)에서 암으로 진행될 위험을 정량화해 예측하는 지표로 활용 가능하며, 이는 조기 중재 전략 및 맞춤형 치료계획 수립의 새로운 기반을 마련한다. 이 점수는 질환 단계를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며, 임상 예측 정확도를 높이는 동시에, 질환 발생 시기를 생애 초기 수십 년 전으로 추정할 수 있게 해준다.
Prosopometamorphopsia: Brain Disorder Where People See Faces Differently
얼굴형이상증: 사람들이 얼굴을 다르게 보는 뇌 질환
prosopometamorphopsia는 매우 드문 신경학적 시각 인식 장애로, 눈에 보이는 사람의 얼굴이 늘어나거나 일그러져 “악마 얼굴”처럼 보이는 증상을 보인다. 이 상태는 일반적인 물체 인식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일부 환자에게는 얼굴의 한쪽만 변형되기도 하고, 뇌의 얼굴 인식 관련 영역(후두측두 피질 등)의 손상과 연관되어 있다.
부분 간 절제 모델에서 저형성 간 전구 세포의 크로마틴 역학 및 조절 요인
마우스의 2/3 간 절제(partial hepatectomy) 모델에서 고해상도 단핵 ATAC-seq를 이용해 간세포의 크로마틴 접근성을 분석한 결과, 일부 간세포들이 progenitor-like(전구세포 유사) 특성을 보였고, 이는 재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그러나 이러한 전구세포 유사 세포들은 성장 신호가 활성화된 주변 세포 환경과의 소통 부족으로 인해 실제 재생 기여는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