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뉴스
국외 언론사에 보도된 관련 뉴스와 기사를 담고 있습니다.[25.09.19.금] 피부 스트레칭으로 바늘 없는 백신 투여 가능
- 등록일시2025-09-19 11:01
- 조회수37
- 분류 BT종합
-
출처
GEN 외
- 원문링크
-
키워드
#백신 #비침습적 백신 #피부 #투여 #바늘
- 첨부파일
[25.09.19] 국외뉴스 현황
* 해당 번역은 자동 구글번역을 이용하였습니다.
1. GEN
Needle-Free Vaccine Delivery Enabled by Stretching the Skin
피부 스트레칭으로 바늘 없는 백신 투여 가능
INSERM과 킹스칼리지 런던 연구진은 흡입 압력으로 피부를 당겨 모낭을 열고 면역 반응을 활성화함으로써 대분자 및 백신이 조직 손상 없이 침투할 수 있음을 밝혔다. 생쥐 실험에서 이 방법은 피하 주사보다 더 높은 항체 반응을 유도했으며, 보조제를 추가하지 않아도 면역 효과가 향상되었다. 연구는 기계적 자극이 피부 면역 감시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며, 비침습적 백신 전달과 향후 세포치료·진단 응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Can Eye Drops Replace Reading Glasses?
안약이 안경을 대체할 수 있을까?
아르헨티나 연구진은 pilocarpine과 diclofenac을 조합한 점안액이 노안 환자의 근거리 시력을 개선하며 효과가 최대 2년간 지속됨을 확인했다. 사용자는 하루 두 번 안약을 넣었으며, 시력 개선은 투여 후 1시간 내에 나타나 평균 3줄 이상의 근거리 시력표 향상을 보였다. 부작용은 일시적 흐림, 자극감, 두통 등 경미했으나, 연구가 단일 기관의 후향적 분석이므로 장기적 안전성과 최적 용량을 검증하기 위해 대규모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3. ScienceAlert
Ghost Sharks Use Teeth on Their Forehead to Have Deep-Sea Sex
심해 유령상어는 이마의 이빨로 교미
키마이라(ghost shark) 수컷은 이마에서 돌출되는 구조물 ‘테나쿨럼(tenaculum)’에 배열된 갈고리 모양의 이빨을 이용해 교미 중 암컷을 붙잡는다. 화석 분석과 유전 연구 결과, 이마 이빨은 원래 턱 안에서 형성되던 치아 발달 프로그램이 진화적으로 재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치아가 입 안에만 존재한다는 기존 가정을 뒤엎으며, 척추동물 진화에서 치아 구조가 다양한 방식으로 재배치·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4. ScienceDaily
Goodbye Colonoscopy? Simple Stool Test Detects 90% of Colorectal Cancers
대장내시경은 이제 안녕? 단순 대변 검사로 대장암 90% 진단 가능
제네바대학교 연구진은 인간 장내 미생물을 세부 아종 수준으로 분류한 최초의 카탈로그를 작성하고, 이를 머신러닝과 결합해 대장암을 90% 정확도로 탐지하는 비침습적 검사법을 개발했다. 이는 내시경 탐지율(94%)에 근접하면서도 비용과 불편이 적으며, 기존 비침습적 방법보다 뛰어나다. 연구는 대장암 조기 진단뿐 아니라 다양한 질환의 비침습적 진단 도구 개발로 확장될 가능성을 제시한다.
5. Neuroscience
Speeding Up Speech Doesn’t Speed Up Brain Processing
말을 빨리 한다고 해서 뇌 처리 속도가 빨라지는 것은 아니다
로체스터대학교 연구팀은 간질 환자 뇌에 삽입된 전극으로 정밀 측정한 결과, 청각 피질은 말하기 속도와 관계없이 일정한 시간 창(약 100ms)으로 소리를 통합 처리함을 확인했다. 이는 뇌가 말소리 구조(음절, 단어)에 맞춰 융통성 있게 처리 속도를 조절한다는 기존 가설을 반박한다. 연구는 언어 이해 장애 진단 및 치료 도구 개발과 신경 계산 모델 개선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HIV Protein Tat Found to Increase Vulnerability to Tuberculosis
HIV 단백질 Tat, 결핵 취약성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CNRS 연구팀은 HIV 감염 세포가 분비하는 바이럴 단백질 Tat이 세포 방어 기작인 자가포식(autophagy)을 억제해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의 생존과 증식을 촉진함을 밝혔다. 인체 세포와 제브라피시 유충을 활용한 실험에서 이 메커니즘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HIV 환자가 효과적인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받더라도 결핵 감염 위험이 15~30배 높게 유지되는 원인 중 하나로 제시된다. 연구는 HIV와 결핵의 상호작용 이해를 넓히며, 자가포식 회복을 목표로 한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7. Nature
The ‘Near-Telepathic’ Device That Puts AI in Your Head
두뇌 속에 AI를 심어주는 '준(準) 텔레파시' 장치
MIT 출신 스타트업 AlterEgo가 개발한 웨어러블 신경 인터페이스는 얼굴 근육에서 발생하는 미세 전기 신호를 감지해 사용자가 속으로 발화한 단어를 AI가 해석하고, 뼈전도 이어폰을 통해 음성 정보를 되돌려준다. 이 장치는 뇌에 전극을 삽입하는 침습적 방식과 달리 비침습적이며, 다발성경화증(MS)이나 근위축성측삭경화증(ALS) 환자의 의사소통 보조를 목적으로 임상 시험이 진행 중이다. 연구자들은 향후 일반 대중을 위한 상용화 가능성도 제시했지만, 질환 진행 단계와 근육 제어 능력에 따라 효과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고 본다.
8. MIT News
Inflammation Jolts “Sleeping” Cancer Cells Awake, Enabling Them to Multiply Again
염증이 ‘잠자는’ 암세포를 깨워 다시 증식하게 한다
MIT와 화이트헤드 연구소 연구진은 항암제 블레오마이신이 유발하는 폐 염증이 휴면 상태의 유방암 세포를 깨어나게 하여 재증식을 촉진함을 확인했다. 이 과정에는 M2 대식세포가 분비하는 EGFR 리간드가 관여하며, 세포가 한 번 깨어나면 ‘각성 기억’을 유지해 지속적인 염증 신호 없이도 증식을 이어갔다. 연구는 전이암의 재발 메커니즘 이해를 확장하며, 염증 경로를 차단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9. Phys.org
A Grue Jay? Rare Hybrid Bird Identified in Texas
그루제이? 텍사스에서 희귀 잡종 새가 발견
텍사스대 연구진은 블루제이(Blue Jay)와 그린제이(Green Jay) 사이에서 태어난 잡종 수컷 새를 확인했으며, 이는 최근 기후 변화로 두 종의 서식지가 겹치며 생겨난 자연적 교배의 사례로 제시된다. 두 종은 약 700만 년 동안 분리되어 진화해왔으나, 서식 범위 확장으로 최근 수십 년 사이 텍사스 중남부에서 접촉하게 되었다. 연구는 척추동물 하이브리드가 인간 개입이 아닌 기후 요인으로 발생한 드문 사례를 보여주며, 자연계에서 잡종화가 과소평가되어 왔음을 시사한다.
10. Plos.Biology
Unconventional Codon Usage Bias Mediates mRNA Translational Dynamics in Macrophages
비전형적 코돈 사용 편향이 대식세포의 mRNA 번역 역학을 매개
연구진은 생쥐 대식세포에서 LPS 자극에 따른 번역 조절을 조사해, 염증 초기에는 염증 매개체 합성이 증가하고 동시에 세포주기 관련 유전자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했다. 초기 억제는 5′ UTR 상위 ORF 번역이 원인이며, 장기 노출 시에는 A/U 종말 코돈 선호가 세포주기 관련 mRNA 안정성과 번역 효율을 높여 세포주기 회복을 촉진했다. 이 발견은 대식세포 특이적 코돈 최적화를 통한 면역 활성 조절 가능성을 제시한다.
11. The Medical News
Real-Time Blood Testing Shows Promise for Preventing Maternal Deaths From Hemorrhage
실시간 혈액 검사, 산모 출혈로 인한 사망 예방에 효과 입증
남가주대학 연구진은 산후 출혈 관리에 실시간 혈액 응고 검사(VET)를 활용할 경우, 신속한 수혈 결정과 맞춤 치료가 가능하다고 보고했다. VET는 수분 내 혈액 응고 상태를 알려주며, 현재 심장·정형외과 수술과 외상 치료에는 허용되었지만 산과에서는 표준 진료로 채택되지 않았다. 검토 결과 잠재적 효과는 크지만 무작위 대조 연구가 부족해, 미국 내 대규모 다기관 임상시험과 표준화된 적용 지침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된다.
12. Bioengineer
Banana Peels: Innovative Substrate for Lactic Acid
바나나 껍질: 젖산 생산을 위한 혁신적 기질
연구진은 버려지는 바나나 껍질의 당 성분을 활용해 발효 과정을 통해 젖산을 생산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젖산은 바이오플라스틱과 의약품의 핵심 원료로, 연구는 발효 조건 최적화와 젖산균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수율을 높였다. 이 접근법은 농업 폐기물의 고부가가치 활용을 가능케 하며, 환경오염 저감과 지속 가능한 바이오경제 촉진에 기여할 수 있다. 이는 식품 산업 부산물을 순환자원으로 전환하는 구체적 사례로, 산업적 응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13. The Medical News
Microplastics Pose Potential Risks to Bone Health
미세플라스틱이 뼈 건강에 잠재적 위험을 초래한다
62편의 논문을 검토한 연구는 미세플라스틱이 골수 줄기세포 기능을 저해하고 파골세포 형성을 촉진해 뼈 흡수를 증가시키며, 그 결과 뼈 미세구조 손상과 성장 중단을 일으킬 수 있음을 밝혔다. 세포 실험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이 세포 생존율 저하, 노화 가속, 염증 촉진을 유발했고, 동물 실험에서는 병적 골절 위험과 기형을 초래했다. 미세플라스틱이 혈류를 통해 골수와 같은 깊은 조직에 도달할 수 있다는 점도 보고되었다. 연구진은 노령화로 인한 골다공증 환자 증가 추세와 맞물려, 미세플라스틱 노출이 골대사 질환을 악화시킬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14. SciTechDaily
Ultra-Processed Foods Aren’t the Villain You Think They Are, Scientists Reveal
초가공식품은 생각만큼 나쁘지 않다
리즈대학교 연구진은 3,000여 명의 영국 성인을 대상으로 400종 이상의 음식을 평가한 결과, 초가공식품(UPF) 분류는 과식 가능성을 설명하는 데 거의 기여하지 않는다고 보고했다. 실제 과식 여부는 영양 성분과 더불어 음식에 대한 개인의 인식(달다, 지방 많다, 건강하지 않다 등)이 큰 영향을 주었다. 연구진은 모든 초가공식품을 악으로 규정하는 접근은 과도하며, 심리·동기 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식습관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5. Cell
Fibroblast Bioelectric Signaling Drives Hair Growth
섬유아세포 생체전기 신호 전달이 모발 성장을 촉진
연구진은 선천성 다모증 환자에서 염색질 구조 변이가 칼륨 채널 유전자 KCNJ2 발현을 비정상적으로 증가시켜 섬유아세포의 막 과분극을 유도함을 밝혔다. 이 과정은 섬유아세포의 Wnt 신호 반응성을 강화하고 세포 내 칼슘 농도를 낮춰 모발 성장과 재생을 촉진하였다. 마우스 모델에서 KCNJ2 과발현은 노화나 남성형 탈모 상황에서도 모발 성장을 회복시켰으며, 탈분극은 성장 지연을 유발하였다. 본 연구는 섬유아세포의 생물전기 신호가 조직 재생을 조절하는 핵심 메커니즘임을 규명하며, 탈모 치료의 새로운 전략을 제시한다.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 [25.09.18.목] 미세플라스틱, 알츠하이머와 유사 뇌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