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해외뉴스

국외 언론사에 보도된 관련 뉴스와 기사를 담고 있습니다.

[25.09.23.화] 장내 진균 프로필은 인간과 비인간 영장류 간의 계통공생과 공동다양화를 보여준다

  • 등록일시2025-09-23 10:27
  • 조회수185
  • 분류 BT종합
  • 출처
    Plos.Biology
  • 원문링크
  • 키워드
    #계통공생 #공동다양화 #장내 진균 #영장류 #마이크로바이옴
  • 첨부파일

[25.09.23] 국외뉴스 현황



해당 번역은 자동 구글번역을 이용하였습니다.


1. Plos.Biology

Gut Fungal Profiles Reveal Phylosymbiosis and Codiversification Across Humans and Nonhuman Primates


장내 진균 프로필은 인간과 비인간 영장류 간의 계통공생과 공동다양화를 보여준다

 

연구는 인간과 비인간 영장류의 장내 진균 군집을 비교해 숙주 진화와 병행하는 계통공생(phylosymbiosis) 패턴을 확인했다특히 일부 진균은 영장류 계통과 함께 공진화적 분화(cospeciation)를 보였으며인간에서 특이적으로 풍부한 균주도 발견되었다이 결과는 진균 마이크로바이옴이 장기적 숙주 연관성을 통해 건강과 진화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2. Bioengineer

Revolutionizing Lumbar Spine MRI with CNN Autoencoders

CNN 자동 인코더를 이용한 요추 척추 MRI 혁신

 

연구진은 요추 추간판의 복잡한 기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CNN 오토인코더를 개발하여 MRI 영상에서 잠재적 형상을 학습하고 고해상도로 재구성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이 모델은 전통적으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수동 판독을 대체하며전문가 수준에 근접한 정확도로 이상을 탐지했다또한 추간판 형상의 변화를 기반으로 질환 진행을 예측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맞춤형 치료 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3. Nature

Gestational Diabetes Linked to Autism in Study: What Scientists Say

임신성 당뇨가 자폐증과 연관성

 

9백만 건 이상의 임신을 분석한 연구는 임신성 당뇨를 겪은 산모의 자녀가 ADHD와 자폐 스펙트럼 장애 위험이 각각 36%, 56% 더 높다고 보고했다이는 20개국 48개 연구를 통합한 결과로최근 대규모 메타분석과도 일치하나 인과관계는 확정되지 않았다전문가들은 유전적 소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임신성 당뇨와 같은 환경 요인은 작은 보조적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4. Bioengineer

Camel Whey Protein’s Role in Trichinellosis Defense

낙타 유청 단백질의 선모충증 방어 역할

 

연구진은 낙타 유청 단백질과 그 가수분해물이 기생충성 질환인 선모충증에 대해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동시에 보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이 단백질은 면역세포 활성화를 강화하고 항산화 작용을 통해 숙주 방어를 지원하며특히 가수분해물은 기생충의 생활사를 방해하는 펩타이드 성분을 포함하고 있었다연구는 낙타 유청 단백질을 식이 보충제로 활용해 기생충 감염을 예방·관리할 수 있는 잠재적 전략을 제시한다.

 

5. Neuroscience

Oral Bacteria May Trigger Parkinson’s Disease

구강 박테리아가 파킨슨병을 유발할 수 있다

 

POSTECH과 성균관대 연구진은 충치 원인균으로 알려진 Streptococcus mutans가 장내에 정착해 대사산물 ImP를 생성하고이 물질이 뇌에 도달해 도파민 신경세포 손실과 운동 장애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마우스 실험에서 ImP 또는 해당 효소를 발현하는 세균을 투여하자 파킨슨병 특징적 신경 염증과 α-시누클레인 응집이 나타났다. mTORC1 억제제는 이러한 병리 현상을 완화해구강--뇌 축을 표적으로 한 새로운 치료 전략 가능성을 제시한다.

 

 

6. ScienceAlert

Stem Cells Repair Brain Damage Caused by Stroke in Mice

줄기세포뇌졸중으로 인한 쥐의 뇌 손상 복구

 

취리히대와 USC 연구진은 뇌졸중으로 손상된 생쥐 뇌에 인간 줄기세포를 주입해 이들이 신경세포로 분화하고 기존 세포와 연결을 형성함을 확인했다이식된 세포는 혈관 자가 회복염증 감소혈뇌장벽 강화에도 기여했으며생쥐의 운동 능력도 개선되었다연구는 줄기세포가 현재 비가역적으로 여겨지는 뇌졸중 손상을 되돌릴 수 있는 잠재적 치료 전략임을 제시한다.

 

7. The Medical News

Scientists Uncover 53 Genetic Clues That Shape Math Ability Beyond IQ

IQ를 넘어 수학 능력을 형성하는 53개의 유전적 단서를 밝혀내다

 

연구진은 56만여 명의 데이터를 활용한 게놈 전반 분석에서 수학적 추론 능력이 일반 지능(g)과 독립적인 유전적 요인에 의해 부분적으로 설명됨을 확인했다총 53개의 유전자 변이와 연관 경로가 규명되었으며일부는 시상 부피 차이와 같은 뇌 구조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는 수학 능력의 생물학적 기초를 밝히고교육 전략을 개인의 인지적 강점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8. SciTechDaily

Scientists Discover New “Ghost” Species of Marsupial, Closely Related to the Kangaroo

캥거루와 가까운 유령’ 유대류 신종 발견

 

커틴대학교와 서호주 박물관 연구진은 호주 널라보르 및 남서부 동굴 화석을 분석해 새로운 브러시테일 베통(Bettong) 종과 와일리 두 아종을 확인했다와일리는 매년 수 톤의 흙을 옮기는 등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현재 멸종위기에 처해 있으며이번 발견은 이들의 다양성과 보전 전략 수립에 핵심적 정보를 제공한다연구진은 신종을 Bettongia haoucharae로 명명했으며원주민 공동체와 협력해 적절한 이름을 정할 예정이다.

 

9. ScienceDaily

A Hormone That Silences the Immune System May Unlock New Cancer Treatments

면역계 억제 호르몬이 새로운 암 치료법을 열 수 있다

 

UT 사우스웨스턴 연구진은 호르몬 SCG2가 면역세포 수용체 LILRB4에 결합해 골수계 세포의 항암 기능을 차단하고 T세포 모집을 방해함을 규명했다유전자 변형 생쥐 실험에서 SCG2를 분비하는 암세포는 빠르게 성장했으나, LILRB4 차단 항체나 SCG2 제거로 종양 성장이 억제되었다연구는 SCG2-LILRB4 경로 차단이 새로운 면역항암 전략이 될 수 있으며반대로 SCG2 투여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에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한다.

 

10. Medindia

Wearable Biosensors from Seafood Waste: A Sustainable Health Tech Breakthrough

해산물 폐기물로 만든 웨어러블 바이오센서지속 가능 혁신 헬스 기술

 

QUT 연구진은 새우·오징어 껍질에서 추출한 키토산을 전도성 고분자 필름과 결합해 유연하고 생체적합성이 높은 웨어러블 바이오센서 프로토타입을 개발했다이 센서는 반복 굽힘에도 97% 이상의 성능을 유지하며피부에 밀착해 실시간으로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연구는 지속 가능한 재료로 차세대 건강 진단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11. SciTechDaily

Common Nutrient Found To Supercharge Immune Cells Against Cancer

일반영양소암 억제하는 면역 세포를 강화하는 데 도움

 

시카고대 연구진은 눈 건강에 알려진 카로티노이드 제아잔틴(zeaxanthin)”이 CD8+ T세포의 수용체 복합체를 안정화해 항암 활성을 크게 높임을 확인했다마우스 실험에서 제아잔틴 보충은 종양 성장을 늦추고 면역관문억제제와 병용 시 효과가 더욱 향상되었다연구는 제아잔틴이 안전하고 저렴한 보충제로서 면역항암요법의 효과를 강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2. Nature

Trump Links Autism and Tylenol: Is There Any Truth to It?

트럼프자폐증과 타이레놀을 연관 짓다과연 사실일까?

 

트럼프 대통령은 임신 중 흔히 복용되는 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이 자폐증의 주요 원인일 수 있다고 언급했으나과학자들은 인과관계를 뒷받침할 강력한 증거가 없다고 지적했다스웨덴과 일본의 대규모 연구에서 임신 중 약물 노출과 자폐 진단 사이의 유의미한 연관은 확인되지 않았으며기존 보고된 연관성은 건강 상태 등 교란 요인 때문일 수 있다고 분석되었다전문가들은 복용과 자폐증 사이의 차이는 매우 미미하며단순한 인과 연결은 과학적으로 근거가 부족하다고 강조했다.

 

13. Neuroscience

Brain Waves Hand Off Visual Signals Across Hemispheres

뇌파가 양쪽 반구 간 시각 신호 전달을 조율한다

 

MIT 피카워 연구소는 동물이 시야를 가로지르는 물체를 추적할 때감마·베타파가 감각 부호화를 담당하고 알파·세타파가 반구 간 정보 전달을 준비·완료함을 확인했다물체가 중간선을 넘기 전 알파파가 양쪽 반구에서 증가하고통과 직후 세타파가 수신 반구에서 정점에 달했다이는 지각이 단순히 한쪽 반구에서 다른 쪽으로 재설정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협력해 통합됨을 보여준다.

 

14. ScienceDaily

Childhood Plastic Exposure Could Be Fueling Obesity, Infertility, and Asthma

유년기 플라스틱 노출비만·불임·천식을 유발할 수 있다

 

NYU 랑곤 보건 연구진은 프탈레이트비스페놀, PFAS 등 플라스틱 화학물질이 어린 시절 노출될 경우 호르몬 교란과 만성 염증을 유발해 심혈관 질환비만불임천식 위험을 장기적으로 높인다고 보고했다이들 물질은 뇌 발달에도 영향을 미쳐 IQ 저하 및 자폐·ADHD 위험 증가와 연관되었다연구진은 유리·스테인리스 대체전자레인지·식기세척 시 플라스틱 사용 자제 등 생활습관 개선과 함께 불필요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 글로벌 규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5. Bioengineer

Marginalized Crops: Key to Food Security in Climate Change

소외 작물기후 변화 속 식량 안보의 핵심

 

연구는 퀴노아아마란스수수 등 기후에 강한 소외 작물이 영양 밀도와 적응력을 갖추어 식량 안보와 탄소 저감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그러나 낮은 인지도재배 지식 부족시장 접근성 제약, ‘열등한 작물이라는 인식이 확산을 가로막고 있다교육연구공공-민간 협력을 통해 이러한 장벽을 극복할 경우 영양 개선농가 소득 증대생태계 회복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