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해외뉴스

국외 언론사에 보도된 관련 뉴스와 기사를 담고 있습니다.

[25.10.14.화] ‘나는 쓸모없는 존재인가?’: 인공지능이 생물정보학 경력을 어떻게 바꾸었는가

  • 등록일시2025-10-14 09:55
  • 조회수407
  • 분류 BT종합
  • 출처
    Nature 외
  • 원문링크
  • 키워드
    #인공지능 #생물정보학 #경력 #AI
  • 첨부파일

[25.10.14] 국외뉴스 현황



해당 번역은 자동 구글번역을 이용하였습니다.

 

1. Nature

‘Am I Redundant?’: How AI Changed My Career in Bioinformatics

나는 쓸모없는 존재인가?’: 인공지능이 생물정보학 경력을 어떻게 바꾸었는가

 

생물정보학 연구자들이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인해 역할의 재정의와 직업적 불안을 겪고 있음을 다룬다. AI는 데이터 분석과 예측에서 뛰어난 효율성을 보이며일부 전통적 업무를 대체하지만 동시에 새로운 해석적·창의적 역량의 수요를 창출한다연구자들은 기술 발전이 인간의 전문성을 위협하기보다는생물학적 통찰과 AI 간의 상호보완적 협력을 통해 더 깊은 과학적 이해로 나아가는 계기가 된다고 강조한다.

 

2. BioSpace

Opinion: Can AI Clinical Trial Technology Deliver on Its Promise

칼럼인공지능 임상시험 기술은 그 약속을 실현할 수 있을까

 

AI 기반 임상시험 기술은 환자 모집데이터 분석프로토콜 설계 효율화를 통해 연구 기간과 비용을 줄일 잠재력을 지닌다그러나 실제 적용에서는 데이터 품질규제 승인알고리즘의 투명성 부족 등으로 인해 기대만큼의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전문가들은 AI가 임상시험의 패러다임을 바꾸기 위해서는 기술적 성숙뿐 아니라 신뢰 가능한 검증 체계와 임상 의사결정자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한다.

 

3. Sciencealert

COVID’s Surprising Effect on Sperm May Impact Future Generations

정자에 미치는 코로나19의 놀라운 영향미래 세대에도 영향 가능성

 

최근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감염이 남성의 정자 품질과 생식세포의 DNA 메틸화 패턴에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이러한 후성유전적 변화는 일시적인 감염을 넘어자손의 발달과 건강에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된다연구진은 감염 후 회복되더라도 정자의 분자적 손상이 지속될 수 있으므로장기적 생식 건강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4. ScienceDaily

Your Skin Could Warn of Hidden Mental Health Trouble

피부가 숨겨진 정신 건강 문제를 경고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피부의 염증 반응호르몬 수용체신경 펩타이드 변화가 불안우울증 등 정신 건강 상태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발견했다스트레스와 감정적 요인은 피부의 장벽 기능과 면역 반응에 영향을 주며이는 정신적 이상 신호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생체지표로 작용할 수 있다본 연구는 피부와 뇌 간의 상호 연결성을 규명하며정신 질환의 조기 진단 및 통합 치료 접근법 개발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5. Bioengineer

New Insights Into GLUL-Related Epileptic Encephalopathy

GLUL 관련 뇌전증성 뇌병증에 대한 새로운 통찰

 

연구진은 GLUL 유전자 돌연변이가 뇌에서 글루타민 합성 효소(glutamine synthetase) 기능을 손상시켜신경전달물질 균형 붕괴와 대사 장애를 유발함을 규명했다이러한 결함은 발달 지연과 난치성 발작을 특징으로 하는 GLUL 관련 뇌전증성 뇌병증의 병리적 기전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본 연구는 해당 효소 결핍에 대한 세포 및 분자 수준의 근본 원인을 제시하며향후 대사 보충 치료나 효소 기반 치료 개발의 기초를 제공한다.

 

6. Phys.org

Q&A: How AI Is Revolutionizing the Analysis of Bioimages

Q&A: AI가 생물학적 영상 분석을 혁신하는 방법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인공지능이 세포 및 조직 수준의 생물학적 영상을 해석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음을 조명한다. AI는 이미지 내 패턴을 정량적으로 분석해 인간이 인지하기 어려운 세포 간 상호작용과 병리적 변화를 정확히 식별한다연구자들은 이러한 기술이 생명과학 연구의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임상 진단의 자동화와 정밀화를 가속할 것이라 전망한다.

 

7. FiercePharma

FDA Adds Warning Label to J&J’s Carvykti for Potentially Fatal Intestinal Disorder

FDA, 장폐색 등 잠재적 치명적 장 질환 위험으로 J&J의 카르빅티에 경고 문구 추가

 

MSNBC에 따르면 애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트럼프 전 대통령과 가장 우대국(MFN, Most Favored Nation)’ 약가 협정을 공식화하기 위해 백악관을 방문할 예정이다이 협정은 미국 내 약가를 주요 선진국 수준으로 조정하기 위한 정책으로정부와 제약사 간 직접 협상이 포함된다트럼프는 이번 합의를 약가 절감과 산업 경쟁력 강화의 전환점으로 평가했다전문가들은 그러나 MFN 정책이 제약 혁신과 연구개발 투자를 위축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8. SciTechDaily

Scientists Discover Stem Cells That Could Regenerate Teeth and Bone

치아와 뼈를 재생할 수 있는 줄기세포 발견

 

연구진은 치아 발달 과정에서 치수(pulp)와 치근(root) 형성에 관여하는 새로운 유형의 중간엽 줄기세포를 확인했다이 세포는 뼈와 치아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며손상된 조직의 재생을 유도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한다본 발견은 치과 재생의학과 골조직 복원 분야에서 줄기세포 기반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9. Bioengineer

Mobile Health Boosts Clinic Attendance for HIV Patients

모바일 헬스 기술, HIV 환자의 진료 참여율 향상

 

연구에 따르면 문자 알림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mHealth(모바일 헬스개입이 HIV 환자의 병원 방문 및 치료 지속률을 유의하게 높였다이러한 디지털 개입은 복약 순응도 향상과 함께 환자의 자가 관리 역량을 강화하는 효과를 보였다연구진은 모바일 헬스가 자원 제한 지역에서도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HIV 관리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10. Sciencealert

It's Official: Wild Honeybees 'Endangered' in Europe for First Time, Scientists Warn

유럽 야생 꿀벌사상 처음으로 멸종 위기종 지정

 

과학자들은 유럽 전역의 야생 꿀벌 개체수가 급감해공식적으로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었다고 경고했다서식지 파괴농약 사용기후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야생 벌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으며이는 생태계의 수분 네트워크 전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연구진은 꿀벌 보호가 농업 생산성과 생물다양성 유지를 위해 필수적이라며서식지 복원과 농약 규제 강화의 필요성을 촉구한다.

 

11. Medical news

New Advances Improve Cough Detection in Wearable Health Monitors

웨어러블 건강 모니터의 기침 감지 기술새로운 진전 이뤄

 

연구진은 인공지능 기반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해 웨어러블 기기에서의 기침 탐지 정확도와 실시간성을 크게 향상시켰다이 기술은 환경 잡음을 구분하고 다양한 음성 패턴을 학습하여임상 환경 밖에서도 호흡기 질환의 조기 감지를 가능하게 한다이러한 발전은 개인 건강 모니터링의 정밀도를 높이고만성기침 및 감염병 관리에 활용될 새로운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


12. Medindia

New WHO Guidelines to End Postpartum Bleeding Deaths

WHO, 산후 출혈로 인한 사망 예방 위한 새로운 지침 발표

 

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 산모 사망의 주요 원인인 산후 출혈(postpartum hemorrhage)”을 예방하기 위한 새로운 임상 지침을 발표했다이번 권고안은 옥시토신 등 자궁수축제의 신속 투여경동맥 압박 및 체계적 모니터링 강화 등을 포함한다. WHO는 이 지침이 표준화된 응급 대응을 통해 매년 수만 명의 산모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13. MIT News

A New System Can Dial Expression of Synthetic Genes Up or Down

합성 유전자 발현을 상향·하향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

 

MIT 연구진은 합성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절할 수 있는 정밀 제어형 유전자 회로 시스템을 개발했다이 기술은 세포 내 전사 인자와 프로모터의 상호작용을 조절하여단백질 발현을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연구팀은 이를 통해 합성 생물학대사공학치료용 세포 설계 등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유전자 조절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고 밝혔다.

 

14. Nature

Men’s Brains Shrink Faster Than Women’s: What That Means for Alzheimer’s

남성의 뇌는 여성보다 더 빨리 위축된다알츠하이머병에 주는 의미

 

연구진은 노화 과정에서 남성의 뇌 용적 감소 속도가 여성보다 유의하게 빠르다는 사실을 밝혀냈다특히 기억과 인지 기능을 담당하는 해마와 전두엽 영역의 위축이 두드러졌으며이는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 증가와 연관된다이러한 성차는 호르몬 변화유전자 발현뇌 대사율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되며연구자들은 성별 맞춤형 예방·치료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15. Medindia

Novel Type 1 Diabetes Treatment Combines Glucagon and Insulin in One Shot

글루카곤과 인슐린을 하나로 결합한 새로운 제1형 당뇨병 치료제 개발

 

연구진은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과 혈당을 높이는 글루카곤을 동시에 포함한 주사형 제제를 개발해혈당 조절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켰다이 복합 제제는 저혈당 위험을 줄이면서도 안정적인 혈당 유지를 가능하게 하며기존 인슐린 치료의 한계를 극복할 잠재력을 지닌다연구자들은 본 기술이 제1형 당뇨병 관리의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