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뉴스
국외 언론사에 보도된 관련 뉴스와 기사를 담고 있습니다.[25.10.16.목] 호흡기 바이러스 시즌 도래, 올해 백신 접종 시 알아야 할 점
- 등록일시2025-10-16 09:57
- 조회수81
- 분류 BT종합
-
출처
CNN Health 외
- 원문링크
-
키워드
#호흡기 바이러스 #백신 접종 #독감 #코로나19 #RSV
- 첨부파일
[25.10.16] 국외뉴스 현황
* 해당 번역은 자동 구글번역을 이용하였습니다.
1. CNN Health
Respiratory Virus Season Has Arrived. What to Know About Getting This Year’s Vaccines
호흡기 바이러스 시즌 도래, 올해 백신 접종 시 알아야 할 점
올해 가을 미국에서는 독감, 코로나19, RSV 등 주요 호흡기 바이러스의 동시 유행이 예상되며, 보건 당국은 예방접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CDC는 특히 노인, 임산부,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에게 세 가지 백신 모두 접종을 권장하고 있으며, 백신 간 동시 접종도 안전하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개인의 건강 상태와 일정에 따라 백신 접종 시기를 조정하되, 가을 초기에 예방을 완료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조언한다.
베링거인겔하임, ADC 개발에 박차…한국 AimedBio와 암 신약 라이선스 계약 체결에 최대 9억9,100만달러 제시
베링거인겔하임은 한국 바이오기업 AimedBio의 항체-약물 접합체(ADC) 기반 항암 후보물질을 도입하기 위해 최대 9억 9,100만 달러 규모의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AimedBio의 플랫폼은 종양세포 특이 단백질을 정밀 표적하는 혁신적 항체 기술을 바탕으로 하며, 이번 협력은 베링거인겔하임의 차세대 항암 파이프라인 강화를 목표로 한다. 이번 계약은 글로벌 제약사들의 ADC 분야 투자 경쟁 속에서 한국 바이오기업의 기술력이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3. Medical news
New AI System Connects Hidden Clues in Medical Records to Transform Diagnosis
의료기록 속 숨은 단서를 연결해 진단 혁신 이끄는 새로운 AI 시스템
연구진은 의료기록에 분산된 비정형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질병 간 연관성과 초기 증상을 식별하는 새로운 인공지능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AI는 임상 메모, 검사 결과, 영상 데이터 등을 종합적으로 해석해 기존 진단 알고리즘보다 높은 정확도와 조기 예측 능력을 보였다. 본 기술은 진단 과정의 자동화와 개인 맞춤 의료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Longevity Gene From Supercentenarians Offers Hope for Disease That Causes Rapid Aging in Children
초고령자에게서 발견된 장수 유전자, 아동 조기노화 질환 치료에 희망 제시
연구진은 110세 이상 초고령자에게서 발견된 장수 관련 유전자가 아동에게 급속한 노화를 유발하는 희귀 유전질환 ‘프로제리아(Progeria)’의 치료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보고했다. 해당 유전자는 세포 노화를 지연시키고 DNA 손상 복구를 촉진해 세포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수 유전자의 보호 메커니즘을 이용해 조기노화 질환의 근본적 치료 전략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5. Bioengineer
Optimizing Anaerobic Co-Digestion of Fish Waste and Sludge
어류 폐기물과 슬러지의 혐기성 병합소화 최적화
연구진은 어류 가공 폐기물과 하수 슬러지를 병합한 혐기성 소화 공정의 최적 조건을 규명해, 메탄 생산성과 처리 효율을 향상시켰다. 실험 결과, 기질 혼합 비율과 유기물 부하율 조정이 소화 안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적정 온도와 pH 유지가 메탄 수율을 극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해양 및 육상 유기폐기물의 에너지화와 지속가능한 폐기물 관리 전략 수립에 기여한다.
6. Nature
New Bird Flu Vaccine Could Tackle Multiple Variants With One Shot
새 조류독감 백신, 한 번의 접종으로 여러 변종 대응 가능
연구진은 다양한 조류 인플루엔자 변종에 동시에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범용 백신 후보를 개발했다. 이 백신은 항원 구조의 공통 영역을 표적으로 설계되어, 변이주 간 교차면역을 유도하며 실험동물에서 광범위한 보호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변이 확산에 따른 반복 백신 접종의 한계를 극복하고, 인수공통 감염병 대응에 새로운 전략을 제시한다.
7. MIT News
MIT Engineers Solve ‘Sticky Cell’ Problem for Bioreactors and Other Industries
MIT 공학자들, 바이오리액터 등 산업의 ‘점착 세포’ 문제 해결
MIT 연구진은 세포가 반응기 내부 표면에 달라붙어 성장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포 부착을 억제하는 새로운 표면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 이 코팅은 생체적합성이 높으면서도 단백질과 세포의 비특이적 결합을 차단해, 배양 효율과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시켰다. 본 기술은 바이오의약품 제조뿐 아니라 식품, 화학, 환경 공정 등 다양한 산업의 바이오리액터 운영 효율 개선에 응용될 수 있다.
8. EurekAlert
A 150-Million-Year-Old Fossil With a Singular Adaptation May Unlock the Origin of Quironomids
1억 5천만 년 된 화석, 단일 적응 통해 퀴로노미드 기원 밝혀낼 단서 제시
호주 주라기 지층에서 발견된 새로운 퀴로노미드(Chironomid) 화석은 독특한 부착 구조를 지녀, 기존에 해양 생물군에서만 알려졌던 메커니즘이 담수 환경에서도 진화했음을 보여준다. 이 표본은 남반구에서 보고된 가장 오래된 퀴로노미드 화석으로, 곤드와나 대륙의 기원과 생물 지리학적 분포 이해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이번 발견은 곤드와나 분리 이후 곤충 진화와 생태 적응 과정을 재해석할 수 있는 새로운 화석 증거를 제시한다.
9. GEN
AI-Based Predictions Will Make Vaccine Production Cheaper
AI 기반 예측으로 백신 생산 비용 절감
연구진은 인공지능을 활용해 세포 배양과 단백질 발현 과정을 실시간으로 예측·최적화함으로써 백신 생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 시스템은 대규모 실험 없이 최적의 배양 조건을 도출해 생산 효율을 높이고, 공정 불확실성을 최소화한다. 본 접근법은 백신 제조의 자동화와 품질 관리 혁신을 촉진하며, 차세대 바이오프로세싱의 경제성과 지속가능성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10. Medindia
A New Clue to Hereditary Deafness?
샘플에서 인사이트까지: 정밀 종양 검사 기술의 미래
연구진은 가족성 난청 환자의 유전체 분석을 통해 청각 세포 내 칼슘 이온 조절에 관여하는 새로운 유전자 변이를 확인했다. 이 변이는 내이의 털세포 기능 장애를 유발해 청신호 전달 경로를 방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난청의 분자적 발병 기전을 규명하고, 유전자 기반 맞춤형 치료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11. ScienceDaily
This Type of Meat Supercharges Muscle Growth After Workouts
이러한 종류의 육류가 운동 후 근육 성장 촉진한다
연구진은 고강도 운동 직후 섭취한 닭고기 단백질이 근육 단백질 합성을 크게 촉진하며, 소고기나 식물성 단백질보다 빠른 회복 효과를 보인다고 보고했다. 이는 필수아미노산 함량과 소화 속도의 차이에서 비롯되며, 특히 류신(leucine) 농도가 높은 육류 단백질이 근육 재생 효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운동 후 단백질 공급원의 질적 차이가 근육 성장과 회복에 미치는 생리적 영향을 규명했다.
12. Sciencealert
The Stem Cell Secrets of This Tiny Worm Could Help Unlock Human Regeneration
작은 벌레의 줄기세포 비밀, 인간 재생 의학의 단서 제시
연구진은 민물 편형동물인 플라나리아(planarian)의 줄기세포가 손상된 신체 조직을 완전히 재생시키는 과정을 규명했다. 이 줄기세포는 광범위한 유전자 네트워크를 통해 세포 운명을 유연하게 전환하며, 재생 부위의 형태를 정밀하게 복원하는 능력을 지닌다. 본 연구는 인간 조직 재생과 손상 회복을 촉진할 수 있는 줄기세포 조절 기전의 이해를 확장시켜, 재생 의학 발전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13. Neuroscience
시냅스가 자라는 방식
MIT Picower 학습·기억연구소 연구진은 시냅스가 미성숙 단계에서 성숙한 신경 연결로 전환되는 과정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했다. 연구에 따르면 신경세포는 활동 의존적 단백질 합성과 신호 조절을 통해 시냅스 구조를 안정화하고, 장기적 정보 전달 효율을 강화한다. 본 연구는 뇌 발달 중 시냅스 성숙 메커니즘을 밝힘으로써,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 발달성 신경질환의 이해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14. Phys.org
Ants Alter Their Nest Networks to Prevent Epidemics, Study Finds
개미, 전염병 예방 위해 둥지 네트워크 바꾼다
연구진은 개미가 질병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둥지의 구조를 능동적으로 변경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미생물 노출 개미 집단은 출입구를 넓게 분산시키고 방 간 연결을 줄여 병원체 전파를 최소화했으며, 이러한 구조가 치명적 감염 위험을 현저히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진은 자가 격리 행동이 병든 둥지에서 강력한 보호 효과를 보인다고 보고하며, 이 발견이 향후 인간 사회의 공간 설계와 전염병 관리 전략에 영감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15. GEN
Uncovering the Human Gut’s Hidden Virome
인간 장내에 숨겨진 바이러스 군집을 밝혀내다
하버드 의과대학 연구진은 인간 장내 미생물군에 존재하는 미지의 바이러스 집단, 즉 ‘바이롬(virome)’의 구성을 포괄적으로 분석하였다.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25,000개 이상의 새로운 바이러스 유전자가 확인되었으며, 이들 중 다수는 특정 세균 숙주와 상호작용하여 장내 미생물 균형 유지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내 바이러스 생태계가 인체 건강과 질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반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