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해외뉴스

국외 언론사에 보도된 관련 뉴스와 기사를 담고 있습니다.

[25.11.06.목] 트럼프 행정부, 제약사들과 협상 통해 비만 치료제 월 149달러에 제공 추진

  • 등록일시2025-11-06 09:51
  • 조회수242
  • 분류 BT종합
  • 출처
    CNN Health 외
  • 원문링크
  • 키워드
    #비만 치료제 #월 149달러 #제약사 #트럼프 행정부
  • 첨부파일

[25.11.06] 국외뉴스 현황



해당 번역은 자동 구글번역을 이용하였습니다.


1. CNN Health

Trump Administration Nears Deals With Pharmaceutical Companies to Offer Obesity Drugs for $149 a Month

트럼프 행정부제약사들과 협상 통해 비만 치료제 월 149달러에 제공 추진

 

트럼프 행정부가 일라이릴리노보노디스크와 협상해 비만 치료제를 월 149달러에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이번 합의가 성사되면 메디케어 일부 수급자에게도 약제 급여가 확대돼, 1,000달러 이상이던 위고비·젭바운드·마운자로 등의 시장 접근성이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이 협상은 정부가 제약사별로 개별 가격 인하 계약을 체결해 약가를 낮추려는 약가 최혜국’ 정책의 일환으로최종 세부안은 아직 조율 중이다.

 

2. Medindia

Advanced Tissue Engineering Paves Path for Early Cancer Diagnosis

첨단 조직공학암 조기 진단의 새 전기 열다

 

오리건보건과학대(OHSU) 연구진이 조직공학과 인간세포 기반 신기술(New Approach Methodologies)을 활용해 암 발생 초기 과정을 재현·관찰할 수 있는 칩 기반 플랫폼을 개발했다이 기술은 인체 환경을 모사한 3D 바이오프린팅과 장기 칩 모델을 통해 종양이 형성되기 전 단계를 분석하고조기 진단용 생체지표 발굴과 맞춤 치료 연구를 가능케 한다연구진은 암이 발생하기 전 단계에서 개입하는 암 차단(cancer interception)’ 개념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3. Fobes

COVID-19 During Pregnancy Linked to Higher Rate of Autism, Study Shows

임신 중 코로나19 감염자폐증 발생률 증가와 연관

 

연구에 따르면 임신 중 코로나19에 감염된 여성에게서 태어난 아이는 자폐증과 언어 발달 장애 등의 신경발달장애 위험이 다소 높았다특히 감염 시점이 임신 3분기일수록그리고 남아일수록 위험 증가가 뚜렷했다다만 전체 위험도는 여전히 낮으며연구진은 예방접종이 이러한 부정적 영향을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을 강조했다.


4. Bioengineer

Impact of Resistance Training on Sarcopenic Seniors

저항 운동이 근감소 노인에게 미치는 영향

 

BMC Geriatrics에 실린 체계적 문헌고찰에 따르면저항 운동은 근감소증 노인의 근육량과 근력을 유의하게 향상시킨다연구진은 운동 빈도와 강도에 따른 용량-반응 관계가 비선형적임을 밝혔으며일정 수준 이상에서는 부상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또한 균형·유연성 훈련을 병행할 때 낙상 위험을 줄이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커져맞춤형 운동 처방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5. Bioengineer

Genetics and Transcriptomics Uncover Biomarkers in Sarcopenia

유전체·전사체 분석으로 근감소증 바이오마커 규명

 

(Fu) 연구팀은 대사증후군 관련 근감소증 환자의 유전·전사체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새로운 바이오마커와 면역 상호작용 기전을 밝혀냈다연구 결과근육 손실은 유전적 요인과 면역 반응의 복합 작용으로 진행되며특정 유전자 발현 패턴이 염증 반응과 밀접히 연관됨이 확인되었다이러한 바이오마커는 조기 진단과 맞춤 치료의 기반이 될 수 있어근감소증 예방·치료 전략의 새로운 전환점을 제시한다.

 

6. BioSpace

Is Metsera Worth The Fuss?

메트세라는 주목받을 만한 회사인가?

 

설립 2년도 안 된 비만 치료제 바이오텍 메트세라를 두고 화이자와 노보노디스크가 치열한 인수전을 벌이고 있다메트세라의 핵심 자산인 월 1회 투여형 GLP-1 작용제 MET-097은 2b상에서 위약 대비 14% 체중 감소를 보여일라이릴리의 티르제파타이드와 유사한 효능을 입증했다노보는 100억 달러의 인수 제안을 내며 기술력 확보를 노리고 있으나일부 분석가는 데이터 공개가 제한적이라며 과열 경쟁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7. GEN

FDA Approves First Treatment for Rare Thymidine Kinase 2 Deficiency

FDA, 희귀 질환 티미딘 키나아제 결핍증 첫 치료제 승인

 

미국 FDA가 UCB의 “KYGEVVI(독세시틴·독스리브티민)”을 티미딘 키나아제 결핍증(TK2d) 치료제로 최초 승인했다이 질환은 근육 약화로 보행·호흡이 어려워지는 치명적 미토콘드리아 유전병으로, 12세 이전 발병 시 사망 위험이 매우 높다. KYGEVVI는 피리미딘 뉴클레오사이드를 보충해 미토콘드리아 DNA 복제를 회복시키며임상 결과 치료 시작 후 사망 위험을 약 86% 감소시켰다.


8. GEN

Macrophage-Blocking Antibodies Help Overcome Breast Cancer Endocrine Resistance

대식세포 차단 항체유방암 내분비 내성 극복에 효과

 

마이애미대 실베스터 암센터 연구진은 호르몬 치료에 내성을 보이는 ER+ 유방암에서 종양 연관 대식세포(TAM)가 내성 유지에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연구팀은 anti-DLL1 및 anti-PD-L1 항체를 저용량 타목시펜(TMX)”과 병용해 내성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고 암 줄기세포 수를 감소시켰다이 병용요법은 종양 미세환경의 면역억제 상태를 재프로그램화하여 치료 저항성을 완화했으며향후 임상시험을 위한 유망한 병합 면역-내분비 치료 전략으로 제시됐다.

 

9. Medical Xpress

Precision Medicine Intervention Found to Ease Symptoms of a Depression Biotype

정밀의학적 접근으로 특정 우울증 아형의 증상 완화 효과 입증

 

스탠퍼드대 연구진은 인지형 우울증(cognitive biotype) 환자에게 구안파신 속방형(GIR) 투여가 인지 조절 능력과 우울 증상을 개선한다고 보고했다이 아형은 전전두엽·전대상피질 기능 저하로 인해 집중력과 의사결정 능력이 떨어지고일반 항우울제에 반응이 낮은 특징을 보인다. 6~8주 치료 결과 참가자의 76.5%가 반응을 보였고 65.7%가 완화에 도달했으며, fMRI 분석에서 손상된 신경 회로가 회복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10. MIT News

MIT Study Finds Targets for a New Tuberculosis Vaccine

MIT, 결핵 백신 개발 위한 새로운 항원 후보 규명

 

MIT 생명공학 연구진이 결핵균 단백질 4,000여 종을 분석해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27개 펩타이드(13개 단백질)”를 발견했다이 항원들은 T세포 활성화에 관여하며차세대 백신의 핵심 표적으로 제시되었다연구팀은 EsxA·EsxB·EsxG 등 T7 분비계 단백질을 활용한 mRNA 백신 후보를 제작해 세포 내 항원 발현을 1,000배 향상시켰으며이는 결핵 예방 백신 개발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11. Medical news

Do Gut Microbes Cause Autism? New Research Says Diet Plays the Bigger Role

장내 미생물이 자폐증을 유발할까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식단이 더 큰 역할을 한다

 

이탈리아 연구팀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아동과 가족의 장내 미생물과 식습관을 비교한 결과미생물 구성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식이 패턴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고 밝혔다. ASD 아동은 채소 섭취가 적고 단 음식 섭취가 많았으며이는 미생물 불균형보다 선택적 식습관이 행동적 특징과 더 관련 있음을 시사한다연구진은 행동식이미생물’ 경로가 ASD 특성을 설명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12. Nature

Assessing Phylogenetic Confidence at Pandemic Scales

팬데믹 규모 계통수 신뢰도 평가를 위한 새로운 방법 ‘SPRTA’ 제안

 

EMBL-EBI 연구진이 새 계통수 신뢰도 평가 방법인 SPRTA(Subtree Pruning and Regrafting-based Tree Assessment)를 개발했다이는 기존 부트스트랩보다 100배 이상 빠르고 대규모 데이터에 적용 가능하며계통군(clade)이 아닌 돌연변이·계통 발생 경로 중심의 확률적 평가를 수행한다연구진은 2백만 개 이상 SARS-CoV-2 유전체 분석을 통해 SPRTA가 변이 계통의 진화적 불확실성을 정량화하고 팬데믹 수준 계통학의 해석력을 개선함을 입증했다.

 

13. MIT News

MIT Researchers Invent New Human Brain Model to Enable Disease Research, Drug Discovery

MIT, 질병 연구·신약 개발 위한 신형 인간 뇌 모델 ‘miBrain’ 개발

 

MIT 연구진이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로부터 여섯 가지 주요 뇌세포를 모두 포함한 “3D 인간 뇌 조직 모델 ‘miBrain’”을 개발했다이 모델은 뉴런교세포혈관세포 등이 스스로 결합해 실제 뇌 구조와 기능을 재현하며유전자 편집을 통해 개별 질환 상태를 모사할 수 있다연구팀은 이를 활용해 알츠하이머 유전형(APOE4)”의 병리적 기전을 규명했으며향후 맞춤형 뇌질환 연구와 약물 시험 플랫폼으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14. Medical news

Researchers Uncover Molecular Key to Prevent Brown Fat Decline With Age

노화로 인한 갈색지방 감소 막는 분자 조절 메커니즘 규명

 

바르셀로나대 연구진이 노화 시 갈색지방(brown fat)”의 열생성 능력 저하를 일으키는 원인을 밝혀냈다연구에 따르면, “샤페론 매개 자가포식(chaperone-mediated autophagy, CMA)”이 노화 과정에서 감소하며 갈색지방의 활성 저하를 초래한다. CMA를 조절하는 실험용 약물을 투여한 노화 생쥐에서는 지방 조직의 활성이 유지되고 대사 기능이 향상되었다연구진은 이 기전을 활용한 비만·당뇨·심혈관 질환 예방 약물 개발 가능성을 제시했다.

 

15. Medical Xpress

Existing Drug Could Reduce Breast Cancer Risk in Pre-Menopausal Women

기존 약물폐경 전 여성의 유방암 발병 위험 낮출 수 있다

 

맨체스터대 연구진은 프로게스테론 차단제 울리프리스탈 아세테이트(ulipristal acetate)”가 폐경 전 여성특히 가족력이 있는 고위험군의 유방암 예방 치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밝혔다. 12주 투여 결과유방 밀도가 감소하고 암 발생과 관련된 루미날 전구세포(luminal progenitor)”의 활성이 억제되었다조직 경직도와 콜라겐 단백질 수준도 낮아져암세포 성장을 어렵게 하는 환경 변화가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