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해외뉴스

국외 언론사에 보도된 관련 뉴스와 기사를 담고 있습니다.

[25.11.10.월] DNA의 비밀을 푼 과학자 제임스 왓슨, 97세로 별세

  • 등록일시2025-11-10 09:51
  • 조회수151
  • 분류 BT종합
  • 출처
    THE Guardian 외
  • 원문링크
  • 키워드
    #제임스 왓슨 #생물학자 #DNA #부고
  • 첨부파일

[25.11.10] 국외뉴스 현황



해당 번역은 자동 구글번역을 이용하였습니다.


1. The Guardian

James Watson Obituary

DNA의 비밀을 푼 과학자 제임스 왓슨, 97세로 별세

 

DNA 구조를 발견해 유전의 비밀을 풀었던 노벨상 수상 생물학자 제임스 왓슨이 97세로 별세했다그는 프랜시스 크릭과 함께 1953년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규명해 생명과 유전이 물리화학적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입증했으며이후 인간게놈프로젝트를 주도하며 현대 분자생물학의 초석을 놓았다그러나 인종과 지능에 관한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켜 과학계에서 배제되었고논란 속에서도 그의 업적은 생명과학의 역사적 전환점을 남겼다.

 

2. EurekAlert

RODIN Project, Funded by the European Research Council Through a Synergy Grant (ERC-Syn), Will Invest 10 M€ to Explore Cells as the Architects of Future Biomaterials

유럽 연구 위원회(ERC-Syn)의 시너지 보조금을 통해 자금이 지원되는 RODIN 프로젝트미래 생체재료의 설계자로 세포를 탐색하기 위해 1,000만 유로 투자 예정

 

RODIN 프로젝트는 세포가 스스로 환경을 설계하도록 유도해 생체소재 개발의 방향을 전환하려는 연구다아베이루대·임페리얼칼리지·리스본대 연구진이 협력해 세포가 성장 중 재료를 조형하는 과정을 규명하고이를 통해 차세대 고성능 생체소재 설계 원리를 도출한다본 연구는 재생의학과 질병 모델링에서 동물실험을 대체할 잠재력을 지닌다.

 

3. Fobes

How the Government Shutdown Is Impacting Surveillance of COVID-19, Flu and RSV

정부 셧다운이 코로나19·독감·RSV 감시에 미치는 영향

 

미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호흡기 질환 감시 시스템이 중단되며코로나19·독감·RSV 관련 최신 데이터가 9월 이후 업데이트되지 않았다이로 인해 각 주와 병원은 감염 추세를 파악하지 못해 의료 인력 배치나 대응 계획에 차질을 빚고 있다전문가들은 데이터 부재가 취약계층의 감염 위험을 높이고공중보건에 대한 국민 신뢰를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4. BioSpace

Pfizer Wins Metsera Bidding War Over Novo With Final $10B Price Tag

화이자, 100억 달러에 메트세라 인수전서 노보 노디스크 제쳐

 

비만 치료제 개발사 메트세라를 두고 벌어진 인수 경쟁에서 화이자가 노보 노디스크를 제치고 최종 승자가 됐다최종 인수가격은 주당 86.25달러총 100억 달러 규모로 확정되었으며 메트세라 이사회는 주주 가치와 거래 안정성 측면에서 화이자 제안을 지지했다이번 인수는 화이자가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5. DNYUZ

8 Ways Marathons Can Wreck Your Body - From Bleeding Nipples to Kidney Damage

마라톤이 신체를 망가뜨리는 8가지 방식 출혈성 유두부터 신장 손상까지

 

마라톤은 의지의 승리로 여겨지지만동시에 극심한 신체적 부담을 주는 고강도 운동이다연구에 따르면 참가자의 약 40%가 훈련 중, 14%가 경기 중 부상을 입으며대표적 증상으로 발바닥 인대 손상스트레스 골절피부 마찰소화 장애일시적 뇌 피로신장 손상그리고 대장 용종 발생 위험이 보고되었다전문가들은 마라톤이 건강 증진에는 도움이 되지만그 한계를 넘어설 경우 신체 전반에 광범위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6. CNN Health

Experimental Daily Pill May Lower Cholesterol in Patients Who Don’t See Enough Benefit With Statins Alone, Study Finds

실험용 일일 복용약스타틴만으로 충분치 않은 환자의 콜레스테롤 감소 가능성

 

미국심장학회 발표에 따르면머크의 실험용 약물 엔리시타이드(enlicitide)’가 스타틴 복용 환자에서 LDL 콜레스테롤을 최대 60%까지 추가로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2,912명을 대상으로 한 3상 임상시험에서 약물 복용군은 24주간 꾸준한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부작용은 위장 장애 등 경미하고 위약군과 유사했다엔리시타이드는 최초의 경구용 PCSK9 억제제로주사형 치료제 대비 복용 편의성을 높여 고지혈증 환자의 치료 선택지를 확장할 전망이다.

 

7. EurekAlert

Turbo Platform for Plant Research

식물 연구를 위한 터보 플랫폼

 

막스플랑크 육상미생물연구소 연구진이 식물 엽록체를 고속 스크리닝에 활용할 수 있는 미세조류 기반 플랫폼을 처음으로 구축했다이 시스템은 클라미도모나스 엽록체 내 140개 이상 유전자 조절 부위를 자동화 방식으로 분석해 합성생물학 연구를 가속화한다이를 통해 엽록체 유전자 조합을 정밀 조절해 생산성과 내성을 높인 작물 개발이 가능해졌으며이는 기후변화 대응 생명공학 연구에도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다.


8. Fobes

Republicans’ Plan To Redirect Obamacare Subsidies Takes Shape

공화당오바마케어 보조금 직접 지급 방안 구체화

 

공화당은 정부 셧다운 해결책으로 오바마케어 보조금을 보험사 대신 개인에게 직접 지급하는 방안을 제안했다해당 자금을 건강저축계좌(HSA)에 예치해 의료비로 사용하게 하는 방식으로, ‘소비자 중심’ 의료체계 강화를 목표로 한다그러나 이는 고위험군의 보험료 상승과 무보험자 증가를 초래해 오바마케어의 사회적 연대 원칙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9. Medindia

Is Acetaminophen Safe During Pregnancy?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 복용은 안전한가?

 

미국 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지에 발표된 체계적 문헌고찰에 따르면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해열진통제복용과 자녀의 자폐증·ADHD 발생 사이에는 인과적 연관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연구진은 기존 연구의 표본 한계와 방법론적 편향이 과도한 위험 해석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이번 결과는 CDC·산부인과학회 등 기존 권고를 뒷받침하며임산부의 안전한 복용 가능성을 재확인했다.

 

10. Medindia

Are Youth Putting Their Health at Risk With Nicotine Pouches?

청소년니코틴 파우치로 건강을 위협받고 있나?

 

학술지 Addiction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스코틀랜드 청소년들 사이에서 니코틴 파우치 사용이 급증하며 구강 통증·메스꺼움·실신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14~16세 학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다수가 스누스라 불리는 제품을 학교나 대중교통 등에서 은밀히 사용하고 있었으며일부는 흡연보다 안전하다고 인식했다연구진은 청소년 접근을 제한하기 위한 규제 강화와 공중보건 교육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11. SciTechDaily

GLP-1 Drugs Like Ozempic Work, but New Research Reveals a Major Catch

오젬픽 등 GLP-1 약물 효과 입증됐지만 중요한 한계 드러나

 

세계보건기구(WHO) 의뢰로 진행된 코크란 리뷰에 따르면 티르제파타이드세마글루타이드리라글루타이드 등 GLP-1 수용체 작용제가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체중 감소를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그러나 대부분 제약사 자금으로 수행된 연구여서 이해 상충 우려가 있으며장기적 안전성과 접근성치료 지속 효과에 대한 데이터는 불충분하다연구진은 독립 연구와 공평한 약물 접근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12. Sciencealert

Pain Drugs Could Be the Cause of Your Headaches. Here's Why

진통제가 두통의 원인일 수 있다

 

두통 완화를 위해 복용하는 진통제가 오히려 만성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는 약물 과용 두통’ 현상이 보고되고 있다파라세타몰·이부프로펜 같은 일반 진통제뿐 아니라 코드인 등 오피오이드성 약물도 장기간 사용 시 두통을 악화시킬 수 있다전문가들은 한 달 15일 이상 진통제를 복용하는 경우 의사 상담이 필요하며약물 중단과 생활습관 교정을 통해 대부분 호전될 수 있다고 조언한다.

 

13. ScienceDaily

Microbes That Breathe Rust Could Help Save Earth’s Oceans

녹을 호흡하는 미생물이 지구의 바다를 구할 수 있다

 

빈 대학교 연구진은 철광물을 이용해 유독한 황화물을 산화시키는 새로운 미생물 대사 경로를 발견했다. ‘MISO 박테리아라 불리는 이 미생물은 철(III) 산화물과 황화수소 반응을 생물학적으로 촉진해 황산염을 직접 생성하며해양과 습지의 황·철 순환을 새롭게 연결한다연구진은 이 과정이 화학 반응보다 빠르게 진행되어 산소 결핍 해역의 확산을 억제하고탄소 고정을 통해 지구 생태 균형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14. SciTechDaily

New Research Shatters the Myth of Gluten Sensitivity

새 연구글루텐 민감성의 오해를 깨다

 

멜버른대학교 연구진은 글루텐 민감성의 대부분이 실제 글루텐이 아닌 장-뇌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함을 밝혔다랜싯에 발표된 대규모 분석에 따르면증상의 주요 원인은 발효성 탄수화물(FODMAP)이나 심리적 요인으로위약 반응과 구분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연구진은 비()셀리악성 글루텐 민감증을 장-뇌 기능장애 스펙트럼으로 재정의하며맞춤형 진단과 심리·영양 통합 관리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15. Medical news

Preclinical Evidence Supports Sotagliflozin’s Superior Efficacy in Attenuating Salt-Induced Kidney Damage

소타글리플로진염분으로 인한 신장 손상 억제 효과에서 우수성 입증

 

미국신장학회(ASN) 연구에 따르면, SGLT1/2 이중억제제인 소타글리플로진이 SGLT2 단일억제제보다 염분 민감성 고혈압과 신장 손상을 더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쥐 실험에서 소타글리플로진은 평균 동맥압을 크게 낮추고 나트륨·염소 배설을 증가시켰으며체중 감소와 포도당 배설 향상 효과도 보였다연구진은 이 결과가 고혈압 치료특히 염분 민감형 환자에게 SGLT1/2 억제제의 확장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