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국내 신약개발 R&D 활성화를 위한 신약개발 현황 및 신약개발비 분석

국내 신약개발 R&D 활성화를 위한 신약개발 현황 및 신약개발비 분석

  • 발행일 2010-06-30
  • 출처 산업동향2010-1(총서127권)
  • 담당자 김은중 ( 042-879-8374 / ejtkd@kribb.re.kr )
  • 조회수 13102
  • 키워드
    #신약개발
  • 첨부파일
    • pdf 127권_국내신약개발R&D활성화를위한신약개발현황및신약개발비분석... (다운로드 115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개요

 

★ 첨부파일 다운로드가 안되시는 이용자께서는 관리자에게 연락을 주십시요.
파일을 발송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042)879-8377, 박성훈 연구원(bioin@kribb.re.kr)

 

 

1. 요약

 

􄦠 전세계적인 고령화와 복지사회로의 전환으로 의약품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 할 전망으로 제약산업은 차세대 전략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음

 

○ 신약 개발은 성공시 높은 수익을 창출하지만 막대한 투자비와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성공률이 매우 낮은 고위험 사업임


○ 신종플루 등 새로운 질병의 발생으로 제약산업의 사회·경제적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음


○ 블록버스터 의약품의 대거 특허만료, 신약 R&D 생산성 저하, 바이오제약으로의 전환 및 각국의 규제 강화정책 등 세계 제약산업은 급격한 환경변화를 맞고 있음


○ 본 보고서에서는 신약개발을 둘러싼 대내외적인 환경변화와 트렌드를 살펴보고, 신약개발비를 분석한 선행 자료들을 종합·검토하여 신약개발에 소요되는 실제적인 연구개발 비용을 파악하고자 함


○ 이를 통해 정부 및 민간의 신약개발 관련 투자 활성화를 유도하여, 글로벌 신약 창출 등 국내 제약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자 함

 

􄦠 세계 의약품 시장은 2008년 7,731억 달러로 2003년 이후 연평균 9.1%의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지속적 성장으로 2020년경에는 1.3조 달러의 시장 형성의 전망됨


○ 제약산업은 북미와 유럽의 시장이 72%를 차지하는 선진국형 산업이나 최근 아시아, 아프리카, 호주 등 신흥 제약시장의 고성장이 두드러지고 있음

 

○ 기존 합성의약품에서 항체, 백신, 단백질 의약품 등의 바이오의약품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개인유전체에 기반한 맞춤형 신약 개발이 활성화 될 전망


○ 각국의 의료비 절감 정책과 맞물려 제네릭 의약품 시장이 크게 확대될 전 망 이 며 , BigPharma 와 Biotech 기업간의 M&A가 제약산업의 트렌드로 자리자음..................계속

 

 

 

 

 

목차

1.요약


2.배경 및 필요성
가. 배경
나. 필요성


3.제약산업의 특성 및 변화
가. 특성 및 개요
나. 제약산업 현황
다. 글로벌 환경변화


4.신약개발 현황
가. 신약개발 과정 및 특성
나. 신약개발비 현황
다. 신약개발비‘8억 달러’산출의 문제점


5. 국내 제약산업 현황
가. 신약개발 현황
나. 국내 제약산업 현황
다. 국내 제약산업의 문제점 및 당면과제


6.결론 및 시사점


7.참고문헌
첨부 : 제8회 BT 전문가 좌담회(2009.9.1) 언론보도자료
동아사이언스,“ 신약개발, 사회통념 정보 믿기보단 현실적 작전 펴야”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