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ASTI Market Insight 134: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 등록일2023-02-20
  • 조회수3838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3-02-20
  •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마이크로바이옴
  • 첨부파일

 

 

ASTI Market Insight 134: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 목차

1) 시장의 개요

2) 국내외 정책 현황

3) 시장 동향

4) 애널리스트 인사이트


 

◈본문

KEY FINDING

1. ‘2의 게놈’, ‘2의 장기로 불리는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은 고부가가치 신산업 창출에 대한 잠재력과 사업 확장성에 대한 기대감으로 국내외 바이오기업이 최근 가장 주목하고 있는 분야이다.

2.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23년 약 26,980만 달러에서 연평균 약 31.1 %의 가파른 시장 성장률을 기록, 2029년까지 약 137,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3. 가장 큰 시장점유율(2029년 기준 87.8 %)을 차지하는 의약품 부문은 연평균 약 31.0 % 성장해 2029년 약 123백만 달러의 시장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의약품 시장에서 가장 높은 비중(2029년 기준 54.4 %)을 차지하는 감염 질환은 연평균 약 15.6 % 성장을 통해 2029년 약 698.5백만 달러 규모로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4. 국내 시장 규모는 2023년 6.3백만 달러에서 연평균 약 48.9 %로 성장해 2029년 약 20.4백만 달러 규모로 세계 시장의 약 1.5%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5. 범부처 차원의 국가 마이크로바이옴 혁신전략이 수립됨에 따라 마이크로바이옴 신산업 육성 및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 등 국가 차원의 혁신적인 산업 도약의 발판이 마련되었으며관련 산업의 연구 개발 투자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6. 국내 기업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핵심적인 혁신 기술 발굴 등 적극적인 연구 개발연구 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기업 간의 전략적 제휴 및 협업다양한 적응증 치료제 개발을 위한 산····정의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해나간다면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1) 시장의 개요

 인체 마이크로바이옴(human microbiome)은 인체의 다양한 장기(구강·대장·비강·생식기·피부 등)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 군집(microbiota)과 유전체(genome) 정보의 총체를 말한다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의 불균형이 인체의 면역 반응 이상 및 대사 장애 질환을 유발시키는 등 질병과 상관 관계가 높다는 최신 연구 결과가 보고되면서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혁신적인 신약 개발에 대해 기대하고다양한 적응증에 대한 무궁무진한 잠재력을 보고 글로벌 벤처 캐피탈 투자가 급증하고 있다.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의 선두 주자인 미국의 세레스테라퓨틱스(Seres Therapeutics)의 ‘SER-109’에 대한 임상3상 성공 소식과 미국 식품의약국(FDA) 바이오의약품 허가신청 승인(2022.10.26.) 소식이 잇따라 발표되면서 세계 최초의 경구용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출시에 대한 기대감이 더해져 해외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의 투자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특히 코로나 팬데믹 영향으로 면역력 강화에 대한 국민의 관심 증대로 식품 분야만성 및 난치성 질환을 중심으로 진단·치료제 분야에서 비약적인 시장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