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마이크로바이옴 투자 및 산업동향

  • 등록일2023-04-10
  • 조회수431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마이크로바이옴 투자 및 산업동향

 

◈ 목차

⑴ 개요

⑵ 2022년 주요 사건

⑶ 인수합병 및 투자동향

⑷ 시장에 진출할 마이크로바이옴 회사 후보들

⑸ 맺음말

 

 

◈본문

개요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는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개선함에 있어 새로운 방식을 제공하여 염증성 장 질환에서 우울증에 이르기까지 잠재적 응용분야에서 치료혁신을 보여주고 있다마이크로바이옴 분야의 2022년은 천국과 지옥을 오간 한 해였다레비요타(Rebyota®)가 미국 FDA 승인을 획득하였으나큰 기업들이 규모를 줄이고 상장폐지 되었다이 보고서에서는 마이크로바이옴분야 산업의 동향 및 투자 그리고 시장에 진출할 산업계 후보들을 알아본다.

 

2022년 주요 사건

 

마이크로바이옴 분야도 다른 많은 회사들과 마찬가지로 바이오 산업에 도전장을 내밀었지만 긍정적인 규제 결과에도 불구하고 어려움을 겪었다가장 주목할 만한 사례는 업계 거물인 Kaleido Biosciences로 임상시험의 중단과 새로운 구매자를 찾지 못해 운영을 중단하였다또한마이크로바이옴 개발을 주도하는 회사인 4D pharma가 대출을 확보하지 못해 관리 대상이 되었고 주식시장에서 상장폐지가 되었다. '22년에만 10개 이상의 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 개발 회사들이 사업을 철수하였고약 12개의 회사들은 개발·비임상 CRO 및 제조업체로 리포지셔닝하거나 항암분야에서 식품 또는 화장품 분야로 방향을 틀기도 하였다.

 

'22년 바이오분야의 인력이 크게 감소하였는데 실제로, 100개 이상의 주요 바이오 및 제약 회사들이 중요한 감원을 발표하였다마이크로바이옴 산업도 예외는 아니였으며 Finch Therapeutics, Vedanta, Synlogic 등의 마이크로바이옴 기업들이 인력을 감축하였다. Finch Therapeutics는 일본 Takeda와의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에 대한 파트너십을 중단한 후 인력 구조조정을 추진하였다. Vedanta 역시 6,800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 자금을 조달받았지만 20%의 인력을 감원하였다.

 

일부 선도 업체들이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에서 후퇴하는 것처럼 보이는 반면다른 기업들은 계속해서 확장하고 있다. Nestlé Health Science는 '23년 4월 승인이 예상되는 Seres Therapeutics가 개발 중인 경구용 치료제 SER-109의 미국과 캐나다 지역 상용화를 위해 1억 7,500만 달러의 선불금을 지불하였으며 최대 5억 2,500만달러 계약을 체결하였다두 번째는, '23년 임상시험에 들어갈 예정인 후보물질 EB1010에 대해 Enterome과 4,000만 유로의 전략적 협업 및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하였다. MSD는 면역항암제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GEN-001'와 키트루다와의 병용요법 임상 2상 시험을 위해 지놈앤컴퍼니와 업무협약을 맺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