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Business Focus] 피할 수 없다면 맞서라, 노화의 종말

  • 등록일2024-06-18
  • 조회수1957
  • 분류산업동향

 

 

[Business Focus] 피할 수 없다면 맞서라, 노화의 종말


 

◈ 목차


  • 1.노화의 종말

  • 2.피부미용 트렌드: 비침습, 최소침습

  • 3.전신치료 트렌드: 리벌스 에이징

  • 4.결론 및 시사점

 

 

◈본문

  • 1.노화의 종말

    늦추고, 멈추고, 되돌리고 싶은 '노화'

  • 건강수명 연장과 불로장생의 꿈을 외치는 생명공학 스타트업, 신생 바이오 기업에 샘 올트먼, 제프 베이조스 등 IT 기업가들의 투자가 이어지고 있음. 빈살만, 래리 엘리슨, 빌 게이츠 등 유명 인사들이 항노화 연구에 수억 달러의 투자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직접 회춘 실험을 실시하고 있는 억만장자도 등장



노화


   실버 쓰나미가 온다

  •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100세 인구는 엄청난 속도로 늘고 있음. 한국인의 평균 수명은 86.3세 (남), 90.7세(여)이며, 노인 고용률은 OECD 1위, 회춘에 대한 소망은 개인의 외적 욕망에서 시작되었으나, 이른 은퇴와 노년 빈곤이 현실화 되면서 회춘은 사회적 생존의 문제로도 이어지고 있음


실버 쓰나미


   노화에 대한 불안감 증가

  • 1년 뒤면 한국은 초고령사회 (65세 이상 인구 비율 20% 이상)로 진입할 예정인 가운데, 전 세계적으로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의 격차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 이는 일생 중 건강하지 않은 기간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는 의미.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의 격차는 의료비 증가, 연금 고갈, 노동인력 감소 등 사회적 비용 야기


노화에 대한 불안감 증가



    노화는 더 이상 자연스러운 '현상'이 아니다?

  • 노화가 다양한 질병의 선행 '질환'으로 인식되면서 국제보건기구(WHO)는 18년 노화에 질병 코드 부여. 실버 쓰나미의 특징인 만성질환 증가는 사회적 비용과 직결되어 국가 차원의 항노화 연구가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경제력 향상, 기술 고도화 등도 노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촉진하는 주요 요인

노화는 더 이상 자연스러운 '현상'이 아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