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합성생물학 월간동향 6월] 상하이 합성생물학혁신센터, 2024 중국 합성생물학 산업 백서 발표
- 등록일2024-07-09
- 조회수1439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06-28
-
출처
합성생물학 지식·정보허브
- 원문링크
-
키워드
#중국#합성생물학#상하이#합성생물학혁신센터
- 첨부파일
상하이 합성생물학혁신센터, 2024 중국 합성생물학 산업 백서 발표
[합성생물학 월간동향 6월]
◈본문
▣︎상하이 합상생물학 혁신 센터의 지원으로 보스턴컨설팅그룹(BCG)과 B Capital은 합성생물학 산업 발전 동향을 정리한 백서를 발표함
<합성생물학 개념 및 주요 기술>
◎︎합성생물학은 21세기 초에 등장했으며, 발전의 역사는 창조기(2000년 ~ 2003년), 확장 및 발전기(2004년 ~ 2007년), 혁신 및 응용 전환기(2008년 ~ 2013년), 새로운 발전 단계(2014년 이후)의 주요 단계로 나눌 수 있음
<합성생물학 발전 역사>
▣︎합성생물학의 적용은 글로벌 제조산업의 1/3 이상에 영향을 미치며, 30조 달러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합성생물학은 전통적인 화석 원료와 화학 생성 공정을 대체함으로써 에너지 절약과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를 통해 환경 보호 요구를 충족할 수 있음
◎︎합성생물학은 일반적인 바이오매스 폐기무링나 이산화탄소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새로운 합성 경로를 개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료와 제품의 수입 의존도를 줄이고, 공급망 보안을 강화할 수 있음
◎︎새로운 제품 개발을 통해 글로벌 제품 공급 패턴을 신속하고 종합적으로 혁신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업적 수익성을 달성하거나 저비용 생산 경로를 개발하여 공급 패턴을 파괴할 수 있음
-吉林化纤(Jilin Chemical Fiber)는 합성생물학을 이용하여 비타민, 항생제를 생산한 바 있으며, 전통적인 화학 공정을 대체하여 생산 비용을 50% 이상 절감
-华恒生物(Huaheng Bio)는 바이오 연료 및 화학 물질을 개발하여 바이오 연료 생산 효율성을 80% 이상 향상시켰음
-华峰生物(Huafeng Bio)는 생물학적 공정을 통한 화학 제품을 개발하여 생산 비용을 50% 이상 절감하는데 성공함
<합성생물학 전략 및 비즈니스 시사점>
▣︎글로벌 합성생물학 시장은 지난 5년 동안 급성장하여, 평균 성장률 27%로 2018년 53억 달러에서 2023년에는 170억 달러로 성장했음
◎︎향후에도 빠른 성장세가 지속되어 2028년까지 시장 규모는 평균 성장률 약 24%로 5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합성생물학 글로벌 시장 규모>
◎︎합성생물학 기술 개발 과정은 비선형적이며 현재까지는 상용화 시기가 불확실하나, 상업적 적용으로 가는 데는 두 가지 주요 마일스톤이 있음
-실험실 기술을 산업 규모로 확장할 수 있음을 입증해야 하고, 기존 기술보다 낮은 비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야 하므로 비용 최적화를 위해 생산 시설을 원자재 공급처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하는 것이 중요함
▣︎또한, 기술 확산 정도는 규제 요건, 산업 집중도, 투자, 제품의 특성 및 희소성 등에 영향을 받으며, 기술 확산 속도는 산업 생태계의 성숙도, 기술 인재, 기술 파트너 및 산업 체인의 가용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합성생물학 산업 체인은 크게 상류(업스트림), 중류(미드스트림), 하류(다운스트림)의 3단계로 나눌 수 있음
◎︎상류에서는 DNA 합성, 유전자 편집, 자동화 및 고속 대량화 기술 등을 포함한 핵심 기술 개발을 담당함
◎︎중류에서는 주로 경로 개발과 기술 테스트에 중점을 두고 생물 시스템 및 생명체의 설계 및 개조를 위한 기술 플랫폼을 제공하며 하류는 대규모 생산의 비용, 품질 관리, 응용 분야에 집중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호주 백신 시장동향
-
다음글
- 중국 미용의료기기 시장동향
지식
- BioINpro [국가 바이오 경쟁력] 국가 바이오 경쟁력 평가: 합성생물학(과학기술)과 바이오파운드리(인프라)를 중심으로 2025-04-14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미생물-전극 간 전자 흐름의 재설계: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인터페이스 기술의 융합 2025-03-31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 BioINregulation 바이오 분야 비용편익분석: '합성생물학 개발·실험 규제완화’를 중심으로 2024-10-07
- BioINwatch 합성생물학과 생체전자공학이 융합한 Living drug 2024-07-09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