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R&D Brief] 국내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지원 현황 및 향후 지원방향
- 등록일2022-11-22
- 조회수3579
- 분류정책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자료발간일
2022-11-16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마이크로바이옴
- 첨부파일
[R&D Brief] 국내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지원 현황 및 향후 지원 방향
◈ 목차
⑴ 국내외 바이오의료 분야 마이크로바이옴 지원 현황
⑵ 향후 추진해야 할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투자 방향은 무엇인가?
⑶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자 교류 활성화 방안 제안
⑷ 참고 자료
◈본문
1. 국내외 바이오의료 분야 마이크로바이옴 지원 현황
ㅇ (해외사례) 2007~2016년까지 10년간 추진된 미국, 유럽의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대형 프로젝트(HMP)는 각 질환별 임상시료의 오믹스
분석 기반 인간 마이크로바이옴과 질병 및 건강 간 인과관계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참조 유전체 정보, 계산 및 통계도구, 분석 및 임상
시료 표준화 프로토콜 등의 주로 인프라 성과를 확보함.
ㅇ 전 세계적으로 마이크로바이옴 분야는 장내세균의 인체영향 및 개념정립, 인체와의 인과관계를 위한 오믹스 분석 등 그동안의 현상학적
연구에서 차세대 신약 및 진단기술 개발 타겟으로서 패러다임 변화를 모색 중임.
ㅇ 국내에서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다양한 질환을 대상으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지원되었으며, 그 후 마
이크로바이옴 기반 신약 개발 과정에서 “Mode of Action” 기전 규명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2021년부터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원천기술 연구로 방향을 선회함.
ㅇ 2022년에는 장-피부, 장-구강, 장-뇌 축 등 다양한 장내미생물과 다른 기관과의 상호 작용연구,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바이오딜리버
리 시스템 등 마이크로바이옴 자체의 효과가 아닌 약물전달체로서의 기능을 밝혀낼 수 있는 연구 등을 지원 중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KISTEP 브리프] 2022년 OECD NESTI 작업반 최신 동향 및 시사점
-
다음글
- KISTEP 이슈페이퍼_대·중소기업의 상생·협력 R&D 활동을 어떻게 촉진할 수 있을까?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