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R&D Brief] 국내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지원 현황 및 향후 지원방향

  • 등록일2022-11-22
  • 조회수3579
  • 분류정책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자료발간일
    2022-11-16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마이크로바이옴
  • 첨부파일
    • pdf NRF R&D Brief-2022-30-국내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지원 현황... (다운로드 108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R&D Brief] 국내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지원 현황 및 향후 지원 방향


 

◈ 목차

⑴ 국내외 바이오의료 분야 마이크로바이옴 지원 현황
⑵ 향후 추진해야 할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투자 방향은 무엇인가?
⑶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자 교류 활성화 방안 제안
⑷ 참고 자료
 

 ◈본문

1. 국내외 바이오의료 분야 마이크로바이옴 지원 현황

ㅇ (해외사례) 2007~2016년까지 10년간 추진된 미국, 유럽의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대형 프로젝트(HMP)는 각 질환별 임상시료의 오믹스 

분석 기반 인간 마이크로바이옴과 질병 및 건강 간 인과관계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참조 유전체 정보, 계산 및 통계도구, 분석 및 임상 

시료 표준화 프로토콜 등의 주로 인프라 성과를 확보함.




ㅇ 전 세계적으로 마이크로바이옴 분야는 장내세균의 인체영향 및 개념정립, 인체와의 인과관계를 위한 오믹스 분석 등 그동안의 현상학적

연구에서 차세대 신약 및 진단기술 개발 타겟으로서 패러다임 변화를 모색 중임.

ㅇ 국내에서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다양한 질환을 대상으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지원되었으며, 그 후 마

이크로바이옴 기반 신약 개발 과정에서 “Mode of Action” 기전 규명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2021년부터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원천기술 연구로 방향을 선회함.

ㅇ 2022년에는 장-피부, 장-구강, 장-뇌 축 등 다양한 장내미생물과 다른 기관과의 상호 작용연구,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바이오딜리버

리 시스템 등 마이크로바이옴 자체의 효과가 아닌 약물전달체로서의 기능을 밝혀낼 수 있는 연구 등을 지원 중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