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과학철학의 관점에서 사유하는 항공우주의학 규제의 미래

  • 등록일2022-12-13
  • 조회수3105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저자/소속
    성두현/한국과학기술원 과학기술정책대학원
  • 발간일
    2022-12-09
  • 키워드
    #과학철학#항공우주의학#규제
  • 첨부파일
    • pdf [BioINpro 105호] 과학철학의 관점에서 사유하는 항공우주 의학 ... (다운로드 55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과학철학의 관점에서 사유하는 항공우주의학 규제의 미래



한국과학기술원 박사과정 성두현




◈ 목차

⑴ 들어가며
⑵ 항공우주의학이란
⑶ 항공우주의학 규제의 전략적 도전 과제
⑷ 장기적 정책 전략 담론을 위한 자원 소개
⑸ 맺으며

1. 들어가며


최근에 우주바이오 연구개발(R&D)에 관한 논의가 뜨거워짐에 따라 유의미한 투자 및 규제 전략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글은 우주바이오의 미래에 관한 담론에 기여하기 위해 글쓴이의 연구 분야인 과학철학(philosophy of science)의 관점에서 우주바이오 정책의 세부 분야라고 할 수 있는 항공우주의학(aerospace medicine) 규제의 미래를 논하고자 한다.


본 글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글은 생명의학 연구자 및 우주바이오 관련 정책 의사결정자(policy decision-maker)를 대상으로 의학 연구(medical research) 및 의약품 규제(pharmaceutical regulation)에 관한 최신 과학철학(philosophy of science)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둘째, 본 글은 소개한 문헌을 바탕으로 미래 항공우주의학 규제의 도전 과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글은 서술한 도전 과제를 이해하고 논의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자원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글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글은 먼저 항공우주의학이라는 분야의 특성을 간략하게 논하고자 한다. 과학기술 분야의 모든 특성을 빠짐없이 논하는 것은 매우 난해하므로 본 글은 의학 연구 및 제약규제의 관점에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특성(연구방법론 및 치료방식) 위주로 논한다. 다음으로 본 글은 의료연구 및 제약규제에 관한 과학철학 문헌을 바탕으로 미래 항공우주의학 규제가 극복해야 하는 도전 과제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본 글은 소개한 도전 과제에 관한 정책담론에 보탬이 될 수 있는 자원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글은 논의를 시작하기에 앞서서 다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첫째, 본 글의 목적은 특정 정책안 혹은 제도 설계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항공우주의학 규제를 위한 정책안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고찰해야 하는 전략적 난제를 소개하는 것이다. 둘째, 본 글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 대표되는 미국 제약규제 맥락을 대상으로 한 과학철학 문헌을 논의의 바탕으로 삼는다. 이는 기존 과학철학 연구가 미국 제약규제를 주요 논의의 대상으로 삼아왔기 때문이다. 다만 본 글은 소개하는 전략적 도전 과제가 한국의 제약규제의 맥락에서도 고찰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2. 항공우주의학이란


항공우주의학이란 항공우주 환경(aerospace environment)에서 활동하는 인간 및 기타 생명체의 건강(health), 안전(safety)과 항공우주 의학 대상으로 치료 및 연구를 수행하는 특수 의학 분야다. [1] 항공우주의학의 독특함은 비행(flight)이라는 행위가 (지구환경에 생활하도록 진화한) 생명체로 하여금 유해한 항공우주 환경에 노출시킨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많은 지구 생명체는 해발고도(sea level) 부근에 생활하도록 진화했기 때문에 고유 생활환경에서 물리적으로 이탈하는 것은 다양한 의학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더불어 비행은 유해하면서도 생명체의 고유 적응기작(adaptation mechanism)으로 극복하기 힘든 기술적·물리적 과정을 동반한다(예: 항공기가 기동할 때 조종사가 경험하는 g-force). 그러므로 항공우주의학은 극한 항공우주 환경을 대상으로 한 예방(preventive) 및 산업(occupational) 의학으로서 발전해왔다. [1]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