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국내·외 BT 투자 및 정책 동향] 2025년 해외 바이오 정책 동향

  • 등록일2025-02-17
  • 조회수1296
  • 분류종합 > 종합
  • 저자/소속
    김정석/한국생명공학연구원 경영기획부장
  • 발간일
    2025-02-17
  • 키워드
    #해외 바이오 정책#해외 바이오 투자#바이오 정책 동향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2025년 해외 바이오 정책 동향

[국내·외 BT 투자 및 정책 동향]



김정석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경영기획부장

◈ 목차

  • 1.배경

  • 2.주요국 바이오정책 동향

  • 가.미국

  • 나.EU

  • 다.영국

  • 라.독일

  • 마.일본

  • 바.중국

 

 

◈본문

 

1. 배경

  해외 주요국은 바이오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인식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바이오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이들 국가들은 각자 보유한 강점을 살려 기술혁신과 국가안보 관점에서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전세계 바이오 분야 기술개발과 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미국은 중국의 추격에 대응하기 위해 생물안보바이오제조공급망 안정성을 강조하며 민관 협력동맹국 간 협력을 강조하고 있다.

EU는 회원국간 협력을 넘어 전세계 주요 국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미국을 따라잡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최근에는 바이오기술과 바이오제조 역량 강화, AI 기반의 바이오 연구 혁신바이오경제 구현규제혁신을 중점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전통적 강점을 가진 바이오제조와 바이오의료 분야를 중심으로 민관 협력을 통한 혁신 생태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중국은 바이오경제 활성화와 IT와의 융합을 강조하고 있고 정부 주도의 대규모 투자와 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기술개발과 산업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선진국들의 정책은 각자의 경제적·정치적 상황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모두 바이오기술을 통해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도모하고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하려는 공통된 목표를 가지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