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국가 바이오 경쟁력] 국가 바이오 경쟁력 평가: 합성생물학(과학기술)과 바이오파운드리(인프라)를 중심으로
- 등록일2025-04-14
- 조회수1232
- 분류종합 > 종합,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저자/소속
조원선/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혁신성장실 부연구위원
-
발간일
2025-04-14
-
키워드
#합성생물학#바이오파운드리 #국가 바이오 경쟁력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국가 바이오 경쟁력 평가:
합성생물학(과학기술)과 바이오파운드리(인프라)를 중심으로
[국가 바이오 경쟁력]
|
|
조원선 /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혁신성장실 부연구위원 |
◈ 목차
1.서론
2.주요국 합성생물학 산업생태계 현황
3.글로벌 합성생물학 기술 경쟁력 분석
4.합성생물학 경쟁력의 정성적 평가: 바이오파운드리 역량을 중심으로
5.결론 및 시사점
◈ 본문
1.서론
바이오 산업은 인공지능(AI)기반 디지털 전환과 맞물려 ‘첨단’ 바이오 산업으로서 새로운 혁신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바이오 산업은 다른 산업과 구분되는 특유의 산업적 특성을 지니는데, 연구개발(research & development, R&D) 전 과정에서 관련 제품이나 서비스가 파생·발전하여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성장 잠재력이 큰 분야로 주목받는다(곽노성,2022). 또한 COVID-19과 같은 팬데믹 상황과 국가 간 전략경쟁 심화에 따라 바이오 산업이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전략산업으로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즉, 바이오 산업은 혁신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동력이자 기술패권 경쟁의 주요 분야가 되어가고 있다.
최근 AI 기반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로, 과거 이론적인 단계에 머물렀던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분야가 본격적인 산업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합성생물학 분야의 시장 규모는 연평균증가율(CAGR)이 매우 높은 것으로 추산되며, 현재 400가지 이상의 잠재적 응용 분야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바이오제조 혁신을 추동하는 합성생물학 및 바이오파운드리는 의료산업, 식품 및 농업, 환경 등 다양한 영역에 두루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미래 성장 가능성이 큰 첨단 바이오 분야로 평가된다. 주요국에서는 합성생물학이 국가 전략기술로 선정되어 대규모 투자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 또한 마찬가지로 합성생물학 기술을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첨단바이오 세부 기술로 선정하여(2022년 10월) 하고 2025년 3월 합성생물학 육성법이 심의를 통과하는등 체계적 투자와 육성의 기반이 마련되고 있다.
[표 1] 합성생물학 시장의 응용 분야별 세계 시장 현황 및 전망(2022~2027)
(단위 : 백만 달러, %) | ||||||||
구 분 | 시장 규모 현황 및 전망 | 연평균 증감률 |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2026년 | 2027년 | |||
의료 응용 | 5,210.1 | 6,584.5 | 8,579.1 | 11,144.7 | 14,263.6 | 18,361.8 | 28.7 | |
의료 응용 | 의약품 | 3,087.0 | 3,878.3 | 5,023.1 | 6,486.3 | 8,251.5 | 10,557.9 | 27.9 |
신약 발굴 및 치료제 | 1,630.0 | 2,105.1 | 2,801.5 | 3,715.6 | 4,853.1 | 6,373.1 | 31.4 | |
인공조직 및 조직재생 | 493.1 | 601.1 | 754.5 | 942.9 | 1,159.1 | 1,430.8 | 23.7 | |
산업 응용 | 3,944.3 | 4,803.6 | 6,034.6 | 7,562.0 | 9,340.3 | 11,609.0 | 24.1 | |
식품 및 농업 응용 | 1,580.3 | 1,894.0 | 2,340.6 | 2,882.0 | 3,496.0 | 4,264.1 | 22.0 | |
환경 응용 | 696.8 | 801.6 | 946.6 | 1,108.9 | 1,272.1 | 1,457.1 | 15.9 | |
계 | 11,431.5 | 14,083.7 | 17,900.3 | 22,697.6 | 28,372.0 | 35,692.0 | 25.6 |
출처: Markets & Markets (2023), 이도연 (2024)에서 재인용 p 5
본고는 이러한 흐름에서 합성생물학 분야의 기술경쟁력 강화와 관련 산업의 유망성에 주목한다. 주요국을 중심으로 R&D 투자 및 질적 양적 연구 역량 등의 객관적 지표로 나타낼 수 있는 합성생물학 자체의 과학기술 경쟁력과 더불어 바이오파운드리(biofoundry)와 같은 인프라 경쟁력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위치를 진단하고, 이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글로벌 첨단 바이오 기술경쟁력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한국의 전략적 방향성을 제언함으로써 향후 국가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이전글이 없습니다.
-
다음글
- [국가 바이오 경쟁력]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지식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미생물-전극 간 전자 흐름의 재설계: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인터페이스 기술의 융합 2025-03-31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 BioINregulation 바이오 분야 비용편익분석: '합성생물학 개발·실험 규제완화’를 중심으로 2024-10-07
- BioINwatch 합성생물학과 생체전자공학이 융합한 Living drug 2024-07-09
- BioINpro [KRIBB 워킹그룹] 바이오파운드리, 합성생물학 연구의 자동화로 여는 생명공학의 미래 2024-07-01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