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KRIBB 워킹그룹] 유전자교정작물(GEO)의 산업화: 기회와 과제

  • 등록일2025-11-20
  • 조회수5250
  • 분류생명 > 농림수산식품학,  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 저자/소속
    신아영 외 7명/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 WG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시스템공학연구센터
  • 발간일
    2025-11-20
  • 키워드
    #유전자교정작물#GEO#유전자교정기술
  • 첨부파일


유전자교정작물(GEO)의 산업화: 기회와 과제

KRIBB 워킹그룹


◈ 목차

  • 1. 개요

  • 2. 국내 유전자교정작물 기업 인터뷰

  • 3. 특허자문을 통한 GEO 기술개발 전략

  • 4. 국내 농가의 GEO 인식

  • 5. 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 유전자교정생물(Genome Edited Organism, GEO)이란?

○ 유전자교정기술

유전자교정(Gene Editing, GE)은 생물체의 유전체 내 특정 염기서열을 정밀하게 변형하여 원하는 형질을 빠르고 정확하게 도입할 수 있는 생명공학 기술임

대표적인 기술로는 CRISPR-Cas9, TALENs, ZFN 등이 있으며특히 CRISPR 기술은 간편한 설계높은 효율성다양한 응용 가능성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음

이 기술은 특정 유전자의 기능을 제거(Knock-out)하거나 변형(Substitution, Knock-in)할 수 있을 뿐 아니라외래유전자를 삽입하지 않고도 생물 고유의 유전정보를 재조정할 수 있음

전통적인 육종이 세대 교배와 선발을 통해 수 년에 걸쳐 진행되는 반면유전자교정기술은 세포 수준에서 표적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직접 수정함으로써 단기간에 목표 형질을 구현할 수 있음

유전자교정기술이 개발되기 이전에는 표적 유전자의 삽입 위치를 정확히 특정할 수 없었기 때문에무작위적으로 돌연변이를 유도한 후 목표 위치에 변이가 발생한 개체를 선별하는 방식으로 형질 개선이 이루어짐

무작위적인 돌연변이 유도의 경우중요 유전자의 대량 손실 및 안정성 검증 과정에서 목표 형질이 개선된 개체 선별이 어려운 단점도 존재함

유전자교정기술의 개발로기초연구를 통해 확인된 유전자 정보를 활용하여 생물체에 목적에 맞는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짐

○ 유전자변형생물(GMO)과 유전자교정생물(GEO)의 차이

유전자변형생물(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은 외래유전자를 대상생물(작물유전체에 삽입하여 새로운 형질을 부여하는 기술로유전자교정기술이 개발되기 이전 수십 년간 농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해왔음

그러나본래 생물체가 가지고 있지 않은 외래유전자의 도입으로 인한 생태계 영향식품 안전성비자연적 조작에 대한 거부감 등으로 사회적 논란이 지속되어 왔음

반면 유전자교정생물(GEO)은 외래유전자가 도입되지 않고 기존 생물체의 유전자를 정밀하게 교정함으로써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

GMO의 경우 도입한 외래유전자가 의도된 효과 외에 예상치 못한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다양한 안전성 검사를 통해 도입 작물의 안전성을 검증하도록 규제 방안이 마련되어 있음

반면, GEO의 경우 자연적 돌연변이와 유사한 수준의 유전적 변화를 유도하므로 GMO에 비해 안전성이 높아 생명공학의 안전성과 사회적 수용성 측면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하였음


[그림 1] GMO와 GEO의 차이 

출처 집필진 작성

[그림 1] GMO와 GEO의 차이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