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동향
임상시험용의약품 GMP 정보집_mRNA, 생균치료제, CAR-T, 진단용 방사성 의약품
- 등록일2023-07-06
- 조회수3579
- 분류제도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3-06-30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임상시험용의약품#GMP#mRNA#생균치료제#CAR-T
임상시험용의약품 GMP 정보집_mRNA, 생균치료제, CAR-T, 진단용 방사성 의약품
◈ 목차
Ⅰ. 개요
1. 배경
2. 임상시험용의약품 GMP 관련 지침
3. 특정 제제별 임상시험용의약품 고려사항
Ⅱ. 임상시험용의약품 GMP 관련 지침
1. PIC/s – Guide to GMP for medicinal products Annex 13. Manufacture of IMPs (2022.02 개정)
2. PIC/s – Guide to GMP for medicinal products Annex 2A. Manufacture of ATMPs for Human Use (2021.05 개정)
3. FDA – CGMP for phase 1 investigational Drugs (2008.07 제정)
4. EMA – Guidelines on GMP specific to ATMP (2017.11 제정)
5. NMPA - 药品生产质量管理规范 - 临床试验用药品附录 (의약품우수제조관리기준 – 임상시험용의약품 부록) (2022.01 제정)
6. PMDA - 治験薬の製造管理、品質管理等に関する基準(治験薬GMP)について
(시험약의 제조관리, 품질관리에 대한 기준 (시험약 GMP)) (2008.07 제정)
7. Health Canada – Guidance Document Annex 13. GMP Guidelines Drugs Used in Clinical Trials (2009.12 제정)
Ⅲ. 특정 제제별 임상시험용의약품 고려사항
1. mRNA 백신
1) WHO – Evaluation of the quality, safety and efficacy of mRNA vaccines for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 regulatory considerations (2021.12 제정)
2. 생균치료제
1) FDA – Early clinical trials with LBP : CMC information (2016.06 제정)
2) EMA – European Pharmacopoeia 3053 – Live Biotherapeutic Products for Human Use (2019.04 제정)
3. CAR-T
1) FDA – Considerations development CAR-T Cell Products (2022.03 제정)
2) NMPA - 药品生产质量管理规范-细胞治疗产品附录 (의약품우수제조관리기준 – 세포치료제) (2022.06 제정)
3) CMBA - 嵌合抗原受体修饰T细胞(CAR-T细胞) 制剂制备质量管理规范
(중국 생명공학 협회 – CAR-T 세포 의약품 우수제조관리기준) (2018.04 제정)
4.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1) IAEA/WHO - Guideline on GMP for investigational radiopharmaceutical products (2021.07 제정)
2) EMA – Guidelines to GMP medicinal products for human and veterinary use Annex 3. Manufacture of Radiopharmaceuticals
(2008.09 제정)
◈본문
Ⅰ. 개요
1. 배경
생명공학기술의 발전으로 첨단바이오의약품은 전체 의약품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에서는 각각 RMAT (Regenerative Medicine Advanced Therapy)와 ATMP (Advanced Therapy Medicinal Products) 등에 대해 별도의 규제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첨단바이오분야 임상시험용의약품은 「의약품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에 따라 임상시험용의약품 GMP 기준과 제제별 GMP 기준을 만족하여야 하며, 2016년 개정된 ‘임상시험용의약품 GMP 평가 가이드라인’과 2021년 개정된 ‘첨단바이오의약품 GMP 평가 가이드라인’ 등을 포함한 관련 GMP 가이드라인을 준수해야 한다. 하지만, 바이오의약품의 특성상 기존의 신약개발과는 다른 개발 과정과 특성 등을 지니고 있어 이를 고려한 GMP 기준 및 가이드라인에 대한 적절한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정보집은 국외 주요 규제기관과 국제기구에서 제·개정된 GMP 가이드라인 중 임상시험용의약품 관련 지침과 바이오분야의 일부 제제(mRNA 백신, 생균치료제, CAR-T)와 방사성의약품에 대한 고려사항을 번역하여 바이오의약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기업의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마련하였다.
2. 임상시험용의약품 GMP 관련 지침
3. 특정 제제별 임상시험용의약품 고려사항
Ⅱ. 임상시험용의약품 GMP 관련 지침
1. PIC/s – Guide to GMP for medicinal products Annex 13. Manufacture of IMPs (2022.02 개정)
발췌 배경 |
임상시험용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에 대한 PIC/s의 가이드라인 중 협의체 및 연구기관에서 논의되었던 주요 사항 등을 일부 발췌하였음 → 임상시험용의약품 제조 지역 및 장비 기준 → 제조 시 주요 준수 사항 (교차오염, 밸리데이션 검증) → 임상시험용의약품 라벨링에 대한 요건 |
홈페이지 주소 : https://picscheme.org/docview/4590 |
PIC/s – Guide to GMP for Medicinal Products Annexs 13. Manufacture of Investigational Medicinal Products 주요 내용 |
1. SCOPE These guidelines apply to manufacture or import of investigational medicinal products for human use. Reconstitution of investigational medicinal products is not considered manufacturing, unless otherwise subject to national law, and therefore is not covered by this guideline. ... While these guidelines do not apply to the activities listed below, PIC/S Participating Authorities should, in accordance with national law, make those processes subject to appropriate and proportionate requirements to ensure subject safety and reliability and robustness of the data generated in the clinical trial: · Re-labelling or re-packaging, where those processes are carried out in hospitals, health centres or clinics, by pharmacists or other persons legally authorised in the country concerned to carry out such processes, and if the investigational medicinal products are intended to be used exclusively in hospitals, health centres or clinics taking part in the same clinical trial in the same country; · The preparation of radiopharmaceuticals used as diagnostic investigational medicinal products where this process is carried out in hospitals, health centres or clinics, by pharmacists or other persons legally authorised in the country concerned to carry out such processes, andwhere the investigational medicinal products are intended to be used exclusively in hospitals, health centres or clinics taking part in the same clinical trial in the same country; · The preparation of medicinal products for use as investigational medicinal products, where this process is carried out in hospitals, health centres or clinics legally authorised in the country concerned to carry out such process and where the investigational medicinal products are intended to be used exclusively in hospitals, health centres or clinics taking part in the same clinical trial in the same country. 1. 범위 이 가이드라인은 인체를 위한 임상시험용의약품 제조 또는 수입에 적용된다. 임상시험용의약품의 재구성은 국내법에서 달리 적용되지 않는 한 제조로 간주되지 않으므로, 이 가이드라인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 이 가이드라인은 아래에 나열된 활동에 적용되지는 않지만, PIC/S 당국은 국내법에 따라 해당 프로세스를 임상시험에서 생성된 데이터의 피험자 안전과 신뢰성 및 견고성을 보장하기 위해 적절하고 균형 잡힌 요구사항에 따라야 한다. · 재포장 : 병원, 보건소 또는 진료소에서 약사 또는 해당 국가에서 이들 절차에 대해 승인한 사람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및 임상시험용의약품이 동일한 국가에서 동일한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병원, 보건소 또는 진료소에서만 독점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 진단 시험용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방사성 의약품 조제: 이 프로세스가 병원, 보건소 또는 진료소에서 약사 또는 해당 국가에서 이들 절차에 대해 승인한 사람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및 임상시험용의약품이 동일한 국가에서 동일한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병원, 보건소 또는 진료소에만 독점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 임상시험용의약품으로 사용하기 위한 의약품의 조제: 이 프로세스가 해당 국가에서 승인한 병원, 보건소 및 진료소에서 수행되고 임상시험용의약품이 동일한 국가에서 동일한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병원, 보건소 또는 진료소에서만 사용되는 경우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KBCH브리핑] NGT 식물에 대한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규정 제안서 분석(2023-13)
-
다음글
- [해외 규제정보 소식지] 바이오의약품 Regulatory On-Air (2023-06월호)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