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생명을 디자인하는 유전자 가위의 기술·산업 동향 및 연구 과제
- 등록일2017-12-06
- 조회수7412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7-10-31
-
출처
KDB산업은행 리서치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유전자 가위#기술·산업 동향 #연구 과제
- 첨부파일
출처 : KDB산업은행 리서치센터
생명을 디자인하는 유전자 가위의 기술·산업 동향 및 연구 과제
한국 농업은 녹색혁명을 통해 쌀 자급자족에 성공하는 등 생산성 향상으로 경제발전의 밑거름이 되었다. 최근 농산물 시장 개방에 따른 식량자급률 하락, 생산비 증가로 농업소득 정체, 경지면적 감소, 농가인구의 지속적 감소 속 노령인구비율 증가로 향후 농업 인력유지와 생산가능성이 불투명한 상황이나 농가당 경지면적이 늘고 농업 전문경영인이 증가하는 등 긍정적 측면도 있다. 세계는 현재 비료, 제초제 등의 남용에 따른 환경오염, 단일작물 집중재배에 따른 기상이변이나 병해에 대한 취약, 급증하는 세계 인구, 식생활 변화에 따른 식량에 대한 추가수요, 석유와 물 등 자원의 고갈 등으로 미래 식량에 대한 위기감이 커지고 있고 중산층과 고령층의 증가로 식품의 질과 안전성, 그리고 다양한 식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선진국들은 농업이 가진 다양한 공익적 기능을 인지하고 농업에 대한 지원을 지속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전 세계적으로 커다란 변화가 예상되며, 농업 또한 예외는 아니다. 선진국에서는 ICT기술을 농업에 적용, 생산성과 효율성을 고취하고 미래 성장동력으로 이용하기 위해 노력중이며 우리나라 또한 농업에 대한 투자 필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예산을 편성하여 노력하고 있으나 아직도 초기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선진국과 기술격차가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농업이 다원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인식은 하지만 재정적 지원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여전히 국민의 합의가 부족하고, 하나의 컨트롤타워에서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표준화와 플랫폼 구축, 농가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여전히 초기 개발 중인 새만금에 농?식품업 중심 첨단 ICT 요람을 육성한다면 새만금의 속도감 있는 개발과 한국 미래성장산업의 발굴 두 가지를 모두 이룰 수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