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신약개발 과정에서의 오가노이드 활용 현황 및 전망
- 등록일2020-05-20
- 조회수7598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0-05-19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신약개발#오가노이드#질환 모델링#약물검색#유효성 평가
- 첨부파일
신약개발 과정에서의 오가노이드 활용 현황 및 전망
김현이(연세대학교)
요약문
지난 50여 년간 2차원 배양된 세포주는 중요한 생체 외 실험모델로 분자생물학의 눈부신 발전의 바탕이 되어 왔다. 분자와 분자 간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생명현상을 이해하고자 하는 분자생물학은 명확한 분자적 발병 기전을 바탕으로 한 합리적인 신약개발(drug discov-ery)의 꿈을 가능케 하였다. 배양 접시 위에서 배양된 세포주들은 발병기전 연구와 약물 표적 발굴은 물론 약물검색과 효능 및 독성평가에 필수적인 생체 외 실험모델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불멸화와 2차원 배양으로 인한 세포의 특성 변화는 세포주의 한계로 지적되어 왔다.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를 3차원 배양하여 만들어지는 생체 외 장기모사체이다. 오가노이드는 세포주와 비슷한 생체 외 실험모델로써 장기배양 및 동결보존이 가능하고 조작과 관찰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동시에 불멸화가 필요 없어 그에 따른 세포의 본래 특성이 유지됨은 물론 생체 내에서만 볼 수 있었던 세포 계층적, 조직학적 구조를 재현함으로써 세포보다 한 단계 높은 차원의 생리현상을 연구할 수 있는 실험모델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오가노이드는 신약개발을 위한 전임상의 모든 단계에서 기존의 실험모델들을 대체, 혹은 보완하는 방식으로 빠르게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인다.
Key Words: 신약개발, 오가노이드, 질환 모델링, 약물검색, 유효성 평가, 독성 평가
[목 차]
1. 서론
2. 본론
2.1. 질환 모델링
2.1.1. 감염병 (Infectious disease)
2.1.2. 유전질환 (Hereditary disease)
2.1.3. 암(Cancer)
2.2. 표적 발굴 및 표적의 표적의 유효성 유효성 평가
2.3. 유효 물질 발굴을 발굴을 위한 물질 검색
2.4. 선도 물질 발굴을 발굴을 위한 유효성 유효성 및 독성 평가
3. 결론
4. 참고문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 BioINwatch 맞춤형 ASO 치료제 개발에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하는 오가노이드 플랫폼 2025-02-06
- BioINwatch AI 신약개발, 무엇이 가능하고 무엇이 한계인가? 2024-12-12
- BioINpro [KRIBB 워킹그룹] 첨단의약품 개발을 위한 오가노이드 기술 2024-11-07
- BioINpro [바이오 신약] 인공지능과 구조 기반 신약개발: 기회와 도전 과제 2024-08-23
- BioINwatch 글로벌 반도체기업 NVIDIA, 신약개발 AI 파운데이션 모델(BioNEMO)의 클라우드 서비스 발표 2024-04-25
동향
발간물
- 이슈 보고서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6화 “암 오가노이드 연계 면역세포 치료기술” 편 2019-07-29
- 이슈 보고서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3화 “자기조직화 다세포 구조” 편 2019-05-31
- 이슈 보고서 정부연구비가 신약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시사점 2019-04-23
- 정책/기획보고서 신약개발 R&D 활성화를 위한 신약개발지원센터의 기능 설정 및 수행방안에 관한 연구 2013-02-22
- 이슈 보고서 국내 신약개발 R&D 활성화를 위한 신약개발 현황 및 신약개발비 분석 2010-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