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엔지니어링 마이크로바이옴 개발 동향
- 등록일2023-04-14
- 조회수3278
- 분류기술동향 > 생명 > 생물공학
-
자료발간일
2023-04-06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마이크로바이옴 #엔지니어링
엔지니어링 마이크로바이옴 개발 동향
◈본문
개요
합성 및 시스템 생물학은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에서 질병을 이해, 진단 및 치료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이 새로운 접근법은 특정 균주를 제거하거나 특정 대사체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등 마이크로바이옴을 조작하여 질병을 호전시키거나 치료할 수 있다. 최근 '22년 11월, 마이크로바이옴이 치료제로써의 가능성을 보여준 첫 번째 사례로 FDA는 페링 제약사의 레비요타를 최초의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로 승인하였다.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시점에 마이크로바이옴의 엔지니어링 기술과 전략, 규제를 살펴보도록 한다.
엔지니어링 마이크로바이옴
인간 마이크로바이옴은 신경질환, 암, 염증성 질환을 포함한 많은 질병과 관련되어 있다. 인간 건강에 대한 영향은 치료목적을 위해 숙주-마이크로바이옴 시스템의 구성과 기능을 조정하기 위한 엔지니어링 방법을 촉진하였다. 유망한 방법 중 하나는 변형된 미생물을 사용하는 것이 며 최근 몇 년 동안 이 치료법의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임상시험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인간 마이크로바이옴은 엄청나게 복잡한 군집이지만 그 구성과 기능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많은 전략들이 있다.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는 사람에게 건강상 이점을 주는 것으로 생각되는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를 사용하는 것이다. 1,000개 이상의 많은 임상시험은 프로바이오틱스의 효과가 파킨슨, 코로나19, 아토피피부염과 같은 적응증에 다양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여러 종을 자연 또는 합성 컨소시엄의 일부로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건강한 개인의 대변을 사용하여 환자의 불균형한 미생물군을 대체하려고 시도하는 대변 미생물이식(FMT)이 있다. 현재 FMT를 연구하는 많은 임상시험이 있으며 표준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Clostridioides difficile) 감염증에 FMT사용을 허용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