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2023년 11월호 vol.654] 2023 노벨 생리의학상 COVID-19로부터 인류를 구한 예방 백신
- 등록일2023-12-21
- 조회수2294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3-11-01
-
출처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원문링크
-
키워드
#2023 노벨 생리의학상#COVID-19 백신#커털린 커리코#드루 와이스먼
2023 노벨 생리의학상 COVID-19로부터 인류를 구한 예방 백신
[2023년 11월호 vol.654] 특집 II 2023 노벨 과학상
한국관광대학교 노인전문병원 감염내과 교수 우준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교수 장미수
◈ 목차
과기정론┃내일 지구가 멸망한다 해도 오늘 사과나무는 심어야 되지 않겠는가? 김복철
인터뷰┃양성광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원장 류준영
특집 I 왜 지금 과학기술 국제협력인가?┃글로벌 R&D 협력 : 다시 찾는 혁신과 성장의 길 원유형
특집 I 왜 지금 과학기술 국제협력인가?┃과학기술 국제협력 정책 현황과 방향 김성규
특집 I 왜 지금 과학기술 국제협력인가?┃과학기술 현장에서 본 국제협력 이기욱
특집 I 왜 지금 과학기술 국제협력인가?┃벤치마크를 넘어 파트너로 김종주
특집 I 왜 지금 과학기술 국제협력인가?┃국제협력 해외 확장, KAIST 뉴욕캠퍼스 여현덕
특집 I 왜 지금 과학기술 국제협력인가?┃세계로 뻗어나가는 한국의 과학기술외교 김승환
특집 II 2023 노벨 과학상┃2023년 노벨 과학상: 유구한 전통과 변화의 바람 곽재원
특집 II 2023 노벨 과학상┃2023 노벨 생리의학상: COVID-19로부터 인류를 구한 예방 백신 우준희, 장미수
특집 II 2023 노벨 과학상┃2023 노벨 물리학상: 아토초, 아직 가보지 못한 자연의 영역 속으로 김동언
특집 II 2023 노벨 과학상┃2023 노벨 화학상: 양자점, 빛의 마법으로의 안내 김성지
FOCUS┃‘미생물공장’ 초격차 바이오 파운드리, 국가 명운 걸고 만들어야 류준영
FOCUS┃인간 유전체학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김성수
정책시론┃딥테크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정책 제언 안준모
장홍제의 화학예찬┃락스 사용설명서 장홍제
조숙경의 과학+문화 읽기┃노벨상도 만남에서 시작되었다 조숙경
조동찬의 건강 이야기┃분노의 컵을 비워내는 법 조동찬
맛있는 과학┃맛과 향의 비밀 3 - 향기로운 나날의 과학적 원리 노성열
해외 News 이주영
과학기술계 News 편집실
◈본문
1968년 영국 감기연구소에서 처음 발견된 코로나 바이러스는 우리에게 생소한 바이러스이지만, 알고보면 인체에 감기 또는 상기도염의 원인으로 10~30%를 차지하는 드물지 않은 존재였다. 이 인체코로나바이러스는 4가지 종류가 발견되었는데, 특색 있는 다른 3가지 바이러스인 사스(SARS-CoV),중동호흡기 증후군(MERS-CoV),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SARS-CoV2)에 비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은 심한 질병 환자 수가 많지 않았다.
그러나 2019년 말 중국 우한에서 처음 보고된 후 전 세계로 급속도로 확산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그야말로 ‘강력’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세계에서 7억 7천만 명 이상의 환자가 발병했고, 6백만 명 이상의 환자가 사망했다(2023. 9.24 기준). 20세기의 전염병 위기가 독감(influenza)에 의한 것이었다면, 21세기는 명실상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의해 발생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신종 감염질병을 극복하는 방법은 대체로 감염질환에 대한 치료제가 우선적으로 손꼽히고, 다음으로 예방접종이 있다. 그러나 이 두 가지 방법 모두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한다. 2020년 확산 당시처럼 코로나바이러스19에 대한 치료제와 백신을 구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확산과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 착용, 사회적 거리두기, 손 위생 등의 방법을 강조했다. 전 세계가 예방 백신을 손꼽아 기다렸지만 전망이 마냥 밝지는 않았다. 예방접종 백신을 개발하는 것은 사망자 수를 감소시키고 질병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 주 목적이므로, 일반적으로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보다 난해하기 때문이다. 여러 이유가 있는데, 우선 성인환자에서 백신의 효과를 판단할 때 치료제를 개발하는 경우보다 훨씬 더 많은 환자 수가 요구되고, 오랜 기간 안전성을 확인해야 사람에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법제화되었기 때문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동향
- 산업동향 미국, Novavax사의 COVID-19 백신 주사제 추가 구매 동의 외 2023-04-10
- 기술동향 미국의 COVID-19 백신 기술개발 동향 및 전망 보고서 2021-10-15
- 정책동향 [제199호 과학기술&ICT 동향] 영국, 5개 신규 COVID-19 백신 연구 프로젝트 지원 등 ~ 2021-10-07
-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00] 미국, COVID-19 백신의 글로벌 분배에 대한 정책방향 등 ~ 2021-07-29
- 정책동향 [제192호 과학기술&ICT 동향] 미국, COVID-19 백신의 신속한 개발 요인 분석 등 ~ 2021-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