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개인 맞춤형 암백신의 개발 동향
- 등록일2024-09-03
- 조회수3385
- 분류기술동향 > 생명 > 보건의료학
-
자료발간일
2024-08-23
-
출처
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개인맞춤형#암백신#정밀의료#추적관찰#유전체
개인 맞춤형 암백신의 개발 동향
◈ 목차
1. 개인 맞춤형 암백신(Personalized cancer vaccine) 개요
1.1. 개인 맞춤형 치료(Personalized treatment)의 대두
1.2. 면역치료법(Immunotherapy)의 발전과 DNA & mRNA 백신의 개발
1.3. 개인 맞춤형 암백신
2. 개인 맞춤형 암백신의 개발 현황
2.1. 모더나 2.2. 셀라스 라이프 사이언스
2.3. OSE 이뮤노테라퓨틱스
2.4. 바이오엔텍
2.5. 트랜스진
2.6. 제니오스
2.7. 국내 현황
2.8. 종합 평가
3. 개인 맞춤형 암백신의 미래 및 고찰
4. 참고문헌
◈본문
■요약문
암은 현재 인류에 있어서 가장 큰 난제 질환 중 하나이며, 인구의 평균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계속해서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암에 대한 치료도 연구자들의 노력에 의해 다각화된 방향으로 조금씩 구체적인 치료 방안이 생기며 상용화가 되고 있다. 이러한 방향 중 암이 발생할 때 자체 면역으로 암을 없애기 위해서 암이 가지고 있는 항원인 Neoantigen을 부각시켜서 자체 면역세포를 통해 치료하고자 하는 콘셉트가 암백신의 주요 콘셉트인데, 이러한 접근이 mRNA 백신 방법으로 논의가 된 것은 COVID-19 전부터 이미 시행되고 있었다. COVID19 백신 개발로 인해 mRNA 백신의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이에 대한 플랫폼적 안정도가 늘어남에 따라 개인 맞춤형 암백신에 대한 부분이 대두되고 있으며, 현재 어디까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 개인 맞춤형 암백신(Personalized cancer vaccine) 개요
1.1. 개인 맞춤형 치료(Personalized treatment)의 대두
유전체(Genomics)를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우리는 개인이 지불할 수 있는 정도의 비용으로 개인 고유에 대한 생물학적 구분을 할 수 있는 세상에 살게 되었다. 이에 단순한 개인 간의 구분을 넘어,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계속해서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동향은 각국의 연구자들의 개별적인 연구로부터 시작되었으나 점차 국가적인 프로젝트로 확장되어 2015년에는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 의해 ‘정밀의료계획’이라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되었고(Precision Medicine Initiative), 이를 통해 많은 연구자와 일반인에게도 공론화되었다. 현재까지 이러한 치료방식은 계속해서 연구되고 확장되고 있으며, 개인의 유전체의 정보는 TCGA (The Cancer Genome Atlas Program)과 같은 국가적 차원의 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저장 및 축적되고 이를 연구자들이 활용하여 환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치료제 적용 연구 및 환자 세분화 분류를 하는데 이바지하게 하였다
개인의 정보를 활용하는 개인 맞춤형 치료는 개인의 습관, 성향 등 개개인의 특성을 정할 수 있는 많은 요소 중, 생물학적 치료에 의미를 가지는 고유한 유전체에 대한 집중을 시작하며 다양한 종류의 치료가 시작되고 있다. 이미 암환자들을 대상으로는 암(Cancer)에 대한 세부적인 적응증(Indication)을 유전체의 정보에 따라 세분화하기 위한 연구들을 비롯하여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위암(Gastric cancer), 유방암(Breast cancer) 등 상대적으로 수술이 가능한 암부터 시작하여 특정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법을 세분화하여 진행하는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점차 분류하기 어려운 담도암(Cholangiocarcinoma), 췌장암(Pancreatic cancer)에도 그러한 분류 방법이 시도되기 시작했다.
각 분류 방법은 단순히 암조직이 가지고 있는 돌연변이의 분석을 넘어 각각의 암에 대한 암의 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 TME)을 분석할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대한 환자의 암세포 주변의 면역세포 등의 특징에 따라서 항암제의 치료 여부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약 중 MSD사(Merck & Co., Inc., Rahway, NJ, USA)의 키트루다(Keytruda) 면역항암제의 개발은 100년 넘게 연구되어 온 면역 강화 치료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가능하게 만들었고, 암의 회피 기전을 저해하여 기존 항암제 및 면역강화 치료제들과 병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그림 1).
또한 최근에는 암에 대한 유전적인 특성들을 기반으로 암에 대한 조기진단(Early diagnosis) 및 이미 암에 걸린 환자들의 경우 재발을 막기 위한 추적관찰(Follow-up observation) 시도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치료의 개념과 추적관찰의 개념을 가지고 있는 암치료의 접근방법이 고도화됨에 따라, 개인 맞춤형 암백신을 통해 암을 치료하는 것이 최근 관심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그림 1. 면역관문 억제제의 기본 기전, 자료 NCI 홈페이지, NCI Dictionary of Cancer Terms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