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내 에너지센서(AMPK)를 인위적으로 활성화하여 혈당과 체지방 증가 억제 - AMPK를 조절하는 유전자ㆍ단백질(CRBN) 발견, 미국당뇨병학회지 발표 □ 우리 몸의 세포는 에너지가 부족할 때 에너지 소비를 억제함으로써 신진대사를 조절하는데, 이런 메커니즘이 깨지면 비만과 당뇨병 등 대사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는 세포가 굶주릴 때 활성화되는 세포내 에너지센서 AMPK 단백질이 관여하는데, 이를 인위적으로 활성화하여 비만, 지방간 및 제2형 당뇨병*과 같은 대사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 *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40세 이후에 발생하며 유전적 요인, 비만, 과도한 식사 및 운동부족 등 생활습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