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 손상복구의 비밀, ‘손상우회 스위치’찾았다- DNA 손상 시에도 복제는 중단없이... PCNA 단백질 활성 조절 메커니즘 규명-- DNA 손상우회 신호의 부적절한 증폭 조절해, 유전체 안정성 확보 - DNA 손상으로 복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정상적인 DNA 합성이 재개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암 억제 단백질 ATAD5 ATAD5: 4개의 단백질(RFC2,3,4,5)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PCNA를 조절하는 복제 조절 단백질이다. 염색체 복제 후 기능을 다한 PCNA를 DNA로부터 떼어내는 PCNA 탈장착 복합체의 중요한 구성 단백질이다.의 새로운 역할이 밝혀졌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단장 명경재) 강석현 연구위원 연구팀은 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