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연구성과
산소화 효소 화학반응에서 순간 존재하는 중간체 구조 규명
- 등록일2009-09-22
- 조회수7168
-
성과명
산소화 효소 화학반응에서 순간 존재하는 중간체 구조 규명
-
연구자명
남원우 교수팀
-
연구기관
이화여대 바이오융합과학과
-
사업명
리더연구자지원사업 창의적 연구
-
지원기관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연구재단
-
보도자료발간일
2009-09-22
- 원문링크
-
키워드
#산소화 효소 #중간체 구조 #인공 효소 시스템
- 첨부파일
핵심내용
- 네이처 케미스트리誌 발표, “효소 기능 모방한 인공 효소 시스템 개발 토대 마련” -
□ 이화여대 바이오융합과학과 남원우 교수팀이 산소를 전달하면서 활성화하는 산소 관련 효소의 화학 반응에서 순간적으로 존재하는 중간체 구조를 밝혀냈다.
○ 효소의 화학 반응에서 순간적으로 존재하는 중간체는 아주 짧은 시간에 만들어졌다 사라지므로, 학계에서는 그동안 그 존재와 모양을 알아내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여겨왔다.
○ 남 교수와 조재흥 박사가 공동으로 진행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박찬모)이 추진하는 ‘리더연구자지원사업 창의적 연구(기존 창의적연구진흥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이자 화학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지인 네이처 케미스트리(Nature Chemistry)에 9월 23일(수)자로 게재된다.
□ 순간적으로 존재하는 중간체의 존재와 모양을 규명하기 위해, 남원우 교수팀은 생체 내의 효소 대신에 실험실에서 합성하여 만든 인공효소를 사용하여, 극저온에서의 화학반응을 통해 중간체의 존재를 확인한 후, X-ray 회절법을 통해 구조를 분석하였다. 중간체의 특성 규명을 위한 방사광 가속장치의 사용은 미국 스텐포드 대학의 에드워드 솔로몬 교수팀이 담당하였다.
○ 이번 연구결과는 산소화 효소의 화학 반응에서 배위환경 변화에 의한 중간체의 구조와 반응성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한 것으로, 인공 효소를 만드는데 특히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효소 기능을 모방한 인공 효소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 이번 연구를 주도한 남원우 교수는 “생명체는 움직이는 공장”이라고 정의하고, “이번 기초학문의 연구결과와 같이, 생명체의 화학반응을 정확히 이해하면, 무공해 생산 공정과 노화방지 신약 등을 개발하는데 많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이번 연구결과의 의의를 강조하였다.
상세내용
용 어 설 명
1. 생체 모방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 생체 내에서는 많은 화학 반응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화학 반응에 관여하고 있는 단백질이나 효소의 구조, 역할 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험실에서 인공 물질을 만들어 생체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과 효소의 화학 반응을 이해하는 연구를 생체 모방 연구라 한다.
2. 중간체
중간체란 화학 반응에서 짧은 시간에 생성되어졌다 사라지는 상당히 불안정한 분자를 말한다. 대부분의 화학적 반응은 한 가지 이상의 기초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반응 중간체는 그 중간 단계의 하나로 존재하는 불완전한 생성물이다. 중간체 구조를 규명할 경우, 어떻게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지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3. X-ray 회절법
화학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원자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기로서, X-ray의 회절을 이용하여, 물질의 구조와 화학적 조성에 대한 정보를 밝히는 방법이다. 화학 물질의 내부 미세 구조를 밝히는데 매우 유용한 수단이다.
4. 방사광 가속장치
빛을 발생하는 입자를 가속하는 장치로서, 방출된 방사광은 물질의 구성단위 수준에서 분자나 원자의 세계를 규명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포항가속기가 있다.
5. 배위환경 변화 : 금속 원자를 중심으로 배위자라고 하는 비금속 원자나 원자단이 이를 둘러싸고 있는 주변을 배위환경이라 하고, 이 환경을 조절하는 것을 배위환경 변화라 한다.
사 진 설 명
X-ray 회절법에 의해 저온에서 밝혀진 반응 중간체의 구조.
(a) 활성 산소가 금속에 대칭적 모양으로 결합하고 있는 구조를 보여줌.
(b) 중간체를 옆에서 본 모양을 공간이 채워진 모델로 보여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