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연구성과

배추 유전자의 신비를 벗기다

  • 등록일2011-08-30
  • 조회수9361
  • 성과명
    배추 유전자의 신비를 벗기다
  • 연구자명
    임용표 교수
  • 연구기관
    충남대학교
  • 사업명
    배추분자마커연구사업
  • 지원기관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 보도자료발간일
    2011-08-30
  • 원문링크
  • 키워드
    #배추 유전자 #게놈 해독
  • 첨부파일

핵심내용

- 배추 전체 게놈 해독 완료 -




《 주 요 내 용 》

 

◇ 배추 전체 유전체를 세계 최초로 완전 해독


   ※ 배추과 작물의 신품종 개발 및 분자육종을 위해 활용 기대

 

☐ 농식품부는 ‘07년부터 R&D사업으로 지원하고 있는 “배추분자마커연구사업단(단장 충남대 임용표 원예학과 교수)”과 농촌진흥청과 공동으로 진행해온 배추게놈프로젝트의 성과로 배추의 전체게놈 염기서열 해독을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 배추 게놈 해독은 우리 식생활에 밀접한 배추과 작물(배추, 양배추, 유채, 무, 갓, 브로콜리, 등) 중에서 세계 최초이다.


 ○ 이번 연구성과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Nature Genetics에(8월 28일, 런던 시간 18시)에 발표되었다고 한다.


☐ 농식품부는 연구팀에 의해 283.8 Mb의 배추 염기서열이 해독되었고, 배추가 41,147개의 유전자로 구성되어 있음이 밝혀졌다고 한다.


☐ 이번에 배추의 유전자 염기서열이 밝혀짐에 따라 배추의 육종 연한을 단축시키고 유용한 유전자 및 유전 형질 탐색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 특히, 유전자를 이용한 형질전환을 통해 내서성, 내병성, 내한성 품종 등 개발에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되어 최근 이상기후로 발생한 배추파동 등에도 향후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 또한, 이번에 밝혀진 염기서열은 유채, 갓, 양배추, 무 등 다양한 배추과 작물의 염기서열 분석에 활용이 가능하게 되어, 앞으로 배추과 작물 육종 및 연구 경쟁에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한편, 학문적으로는 배추과 식물의 배수화, 종분화 및 게놈중복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상세내용

연구 참고자료

 

 

 배추 염색체별 유전자분포 및 구조


 배추와 아기장대 게놈의 유사성 비교

 

 


과제 관련 정보

 

□ 과제개요

 ○ 주관과제명 : 배추분자마커연구사업단(Chinese Cabbage Molecular Marker Research Center)
   - 연구내용 : 배추 육종에 필요한 배추 유전자 정보를 이용하여 분자육종 체계 및 인프라 구축
   - 농식품부 지원사업명 : 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
   - 주관연구기관 : 충남대학교
     * 주관연구책임자 : 임용표(원예학과)
   - 참여연구기관 : 한국종묘, 농협NH종묘센타, (주)현대종묘, 우리종묘, (주) 바이오브리딩연구소
   - 총 연구기간 : 2007년 7월 30일 ~ 2012년 7월 29일(5년)
   - 총 연구비 : 7,375,000천원(정부출연금 : 5,000,000천원, 기업체부담금 : 625,000천원, 기관지원금 : 1,750,000천원)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