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연구성과

면역조절 사령관 T 임파구의 활성 비밀을 풀다

  • 등록일2011-11-16
  • 조회수8528
  • 성과명
    면역조절 사령관 T 임파구의 활성 비밀을 풀다
  • 연구자명
    전창덕 교수
  • 연구기관
    광주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
  • 사업명
    선도연구센터사업, 바이오의료기술-신약타겟검증사업
  • 지원기관
    보건복지부,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연구재단,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보도자료발간일
    2011-11-16
  • 원문링크
  • 키워드
    #면역세포 #생체면역반응 #T 임파구
  • 첨부파일

핵심내용

-“류마티스, 아토피 등 자가면역질환과 장기이식분야 정복에 새로운 가능성 열어”-

 

 

 □ 우리 몸의 면역을 담당하여 면역 조절 사령관이라고 불리는 ‘T임파구(면역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핵심 생체인자*가 국내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특히 이번 연구결과는 생체면역반응의 기초가 되는 원천 생체인자의 발견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생체인자 : 면역강화, 면역조절 등 생체반응에 관여하는 물질

 

 ○ 광주과기원 전창덕 교수와 김혜란 박사과정생(제1저자)이 주도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오세정)이 추진하는 선도연구센터사업 및 바이오의료기술-신약타겟검증사업과 보건복지가족부 및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고, 연구결과는 의학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 ‘실험의학저널(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에 11월 14일자(온라인, 현지시간)에 게재되었다.


    (논문명 : IGSF4 is a novel TCR ζ-chain-interacting protein that enhances TCR-mediated signaling)


□ 전창덕 교수팀은 수용체(TCR*)와 직접 결합하면서 TCR을 통해 외부물질 인식과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새로운 단백질(IGSF4)을 찾아내고, 이 단백질이 T 임파구의 지휘권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 TCR : 면역 사령관 T 임파구가 외부에서 침입한 물질을 인식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수용체로서, 두 개의 사슬을 가진 단백질 구조체


    ※ IGSF4 : 세포와 세포간의 부착을 유도하는 분자로, T 임파구의 표면에서 항원인식을 도와 T 임파구의 활성을 조절하는 기능 수행 


 ○ 연구팀은 생쥐를 대상으로 IGSF4를 만들게 하는 유전자를 임의로 제거하면, 생성되는 사령관 T 임파구의 수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만들어진 T 임파구도 제대로 활동하지 못하고, 류마티스성 관절염, 아토피 등 자가면역성질환*이 크게 억제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자가면역성질환 : 외부로부터 내 몸을 지켜야할 면역계가 여러 원인에 의해 이상이 생겨 오히려 내 몸의 세포를 공격하는 질병


 ○ 반면에, IGSF4가 많이 발현하면, 생쥐는 오히려 T 임파구의 기능이 비정상적으로 증진되어 지휘권 남용으로 면역질환이 발병할 수 있는 가능성이 증가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 인체는 어떤 메커니즘에 의해 외부침입자에 대해 면역반응을 보일까? 지금까지 연구에 따르면 면역계에 있는 T 임파구가 이러한 기능을 담당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것은 마치 군에서 최고 사령관이 지휘권을 갖고 체계적으로 군을 통솔하여 적과 싸워 무찌르는 것과 같다. 그러나 정작 최고 사령관 T 임파구의 지휘권은 어떻게 조절되는지는 여전히 명쾌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 이 수수께끼에 대한 해답은 자가면역질환이나 장기이식 분야 정복에 혁명을 가져올 수 있다. 왜냐하면 류마티스성 관절염, 아토피, 천식, 궤양성 대장염 등 수많은 자가면역성질환이 바로 사령관 T 임파구의 지휘권 남용(또는 약화)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이다. 장기이식에 대한 부작용이나 선천성(또는 후천성) 면역 결핍증도 T 임파구의 작용으로부터 발생된다. 따라서 T 임파구의 지휘권을 조절할 수 있다면, 면역관련 질환에 대한 근본적인 치유가 가능하다.


□ 전창덕 교수는 “현재 IGSF4의 기능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인간 맞춤형 약물을 개발하고 있다. 이 물질이 개발되면 자가면역질환의 치료와 장기나 조직이식 등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을 제어할 수 있는 획기적인 치료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상세내용

용   어   설   명

 

1. TCR (T-cell Antigen Receptor) : 면역 사령관 T 임파구가 외부에서 침입한 물질을 인식하는 유일한 수용체가 T-cell antigen receptor 즉, TCR이다. 이 수용체는 T 임파구의 생성, 발달, 분화 및 효과작용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매우 중요한 수용체이며 모든 면역반응은 TCR이 외부항원을 인식하면서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도 TCR이 외부의 항원을 인식한 후 어떻게 T 임파구 내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이론만 존재할 뿐 정확한 실험적인 증거가 제시된 바가 없다. 

 

2. IGSF4 (immunoglobulin superfamily member 4) : 면역 사령관 T 임파구와 항원표지세포 (antigen presenting cell)간의 세포-세포 부착을 유도하는 분자로 처음 규명하였으며, T 임파구의 표면에서 항원인식을 도와 활성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함

 


사   진   설   명

 


<그림 A>


상) IGSF4 단백질이 T 임파구 항원수용체의 한 구성인자인 TCR ζ 사슬과 결합하는 것을 공초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

하) IGSF4 단백질이 직점 TCR ζ 사슬과 결합하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결과임

 

<그림 B>


상) IGSF4가 결핍된 실험생쥐의 간단한 기술도 및 출생 후 4주된 생쥐의 모습
하) IGSF4가 결핍된 실험생쥐에서 자가면역반응이 감소함을 보여준 사진

 


(사진설명) 전창덕 교수가 실험실원과 함께 연구결과를 토론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현수 박사과정생(공저자), 김혜란 박사과정생(제 1저자), 전창덕 교수(연구책임자)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