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연구성과
장기간 배양과정에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유전적 안정성 검증
- 등록일2011-11-30
- 조회수10812
-
성과명
장기간 배양과정에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유전적 안정성 검증
-
연구자명
이동율 교수팀, 최영민, 오선경 박사팀, 김동욱 교수팀
-
연구기관
차의과대학교 , 서울대의대, 연세대
-
사업명
21세기프론티어 세포응용연구사업
-
지원기관
교육과학기술부, 세포응용연구사업단 줄기세포 은행팀
-
보도자료발간일
2011-11-30
- 원문링크
-
키워드
#인간배아줄기세포 #장기간 배양과정 #유전적 안정성
- 첨부파일
핵심내용
-국제 줄기세포 공동연구팀, Nature Biotechnology지에 실려 -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38개 연구기관 125명의 연구자가 참여한 국제공동연구를 통하여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유전적 안정성이 검증되었다.
○ 동 연구는 국제줄기세포 포럼이 후원하여, 영국 셰필드대학교(University of Sheffield)의 Peter Andrews 교수를 주축으로 2008년 시작되었으며,
○ 국내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 21세기프론티어 세포응용연구사업단(단장 연세대 김동욱교수) 줄기세포은행팀의 지원을 받은 차의과대학교 이동율 교수팀, 서울대의대 최영민, 오선경 박사팀, 연세대 김동욱 교수팀 등이 참여하였다.
□ 배아줄기세포를 세포치료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배양과정에서 염색체 이상과 같은 변형 없이 유전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세계적으로 다양한 배양방법을 이용하여 왔다.
□ 국제공동연구팀은 기존에 이용되고 있는 다양한 배양방법을 정리하고 이들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염색체 현상 등을 분석하여 표준화된 배양방법을 얻고자 하였다.
○ 연구팀은 전세계 연구팀으로부터 각각의 배양방법으로 배양한 120쌍의 배아줄기세포와 11쌍의 역분화 줄기세포의 샘플을 회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 각각의 배아, 역분화 줄기세포는 장기배양 전과 후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약 50계대(약 1년 소요)의 차이를 두고 각각의 배양방법으로 배양된 결과이다.
* 계대는 배양접시를 옮기는 횟수를 의미하며 1계대 배양에 5~7일이 소요됨
□ 연구팀은 분석결과 배아줄기세포는 120개 중 41개의 세포주 만이 변형을 일으켰고, 총 65.8%(79/120)의 세포주가 장기간 다양한 방법의 배양법에서도 정상 핵형을 유지하였으며,
○ 역분화줄기세포의 경우에도 11개 중 3개에서만 염색체 이상이 발견되었고, 총 72.7%(8/11)의 세포주가 정상 핵형을 유지하였다.
○ 염색체 이상이 발생한 경우는 주로 특정 연구실에서만 일어나 배양관리를 잘하면 염색체가 정상으로 장기간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 연구팀은 이정도의 수치는 장기간의 배양기간과 다른 세포에서의 결과를 고려할 때 배아 줄기세포 자체가 배양에 대해 매우 안정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 아울러, 효소 등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수작업을 통해 배양하는 방법이 안정성이 높음을 확인한 바와 같이 배양방법의 정도관리에 따라 염색체 이상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세포응용연구사업단 김동욱 단장은 “100여종 이상의 인간배아줄기세포주를 장기간 배양하며 수행한 연구의 결과, 배양관리를 잘하면 장기간 배양에서도 인간배아줄기세포가 비교적 염색체 안전성을 잘 유지해 재생의학에 이용이 가능함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 연구결과는 Nature Biotechnology (IF : 31.085) 11월 28일자(한국시간) 온라인 판에 게재되었다.
상세내용
용 어 설 명
□ 국제줄기세포포럼 : 전세계 줄기세포분야의 연구자들은 줄기세포 연구의 협력과 활성화를 목적으로 2003년에 국제줄기세포 포럼[International Stem Cell Forum (ISCF)]을 결성하였고, 세포응용연구사업단(단장: 연세대 김동욱 교수)이 대한민국을 대표하여 활동 중에 있다.
□ 인간배아줄기세포주 : 포배기 인간 배아의 내세포괴(inner cell mass)에서 유래된 세포주로 특정 환경에서 계속적으로 분열해 그 수를 유지하고, 우리 몸을 이루는 어떤 기관의 세포로도 전환이 가능한 세포이다.
□ 역분화만능줄기세포 : 역분화는 이미 분화된 세포들이 초기 미분화 상태로 되돌아가는 상태를 말하며, 2006년 일본의 Shinya Yamanaka 그룹에서 개발한 세포로, 체세포에 역분화 유도인자인 Oct4, Sox2, c-Myc, Klf4를 도입하여 배아줄기세포와 같은 특성을 지니게 만든 세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