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연구성과
늘어나고 휘는 피부부착형 양자점 LED 첫 개발
- 등록일2015-05-19
- 조회수4756
-
성과명
늘어나고 휘는 피부부착형 양자점 LED 첫 개발
-
연구자명
현택환, 김대형
-
연구기관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
-
사업명
기초과학연구원 연구운영비지원사업
-
지원기관
미래창조과학부
-
보도자료발간일
2015-05-14
- 원문링크
-
키워드
#피부부착형 #LED
- 첨부파일
핵심내용
상세내용
연 구 결 과 개 요
Wearable red-green-blue 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 array using high-resolution intaglio transfer printing
Moon Kee Choi, Jiwoong Yang, Kwanghun Kang, Dong Chan Kim, Changsoon Choi, Chaneui Park, Seok Joo Kim, Sue In Chae, Tae-Ho Kim, Ji Hoon Kim
Taeghwan Hyeon and Dae-Hyeong Kim
(nature communications, in press)
웨어러블 기기들이 중요한 차세대 전자기기로 주목 받음에 따라 이에 적합한 차세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연구된 웨어러블 발광다이오드들은 너무 두꺼워 변형이 용이치 않고, 저전압에서 성능이 좋지 않다.
고해상도 양자점 디스플레이의 구현을 위해서는 다양한 색상의 양자점들을 잘 디자인하여 배열하여야 한다. 연구단은 기존의 딱딱한 전자 소자의 제작과정과 다른 방법으로, 다양한 색상의 양자점을 소자 내에 적합하게 배열하기 위해 양자점 나노입자에 적합한 고해상도 음각 전사-인쇄 기술 개발하였다. 음각 전사-인쇄 방법은 합성된 고성능 나노 재료들을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블 기판에 옮길 수 있는 기술이며, 대면적에 걸쳐 적용할 수 있는 쉽고 간단한 방법이다. 이러한 기술을 이용해 삼원색(적색, 녹색, 청색)의 양자점을 상용화되어 있는 HD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의 42배에 해당되는 초고해상도로 정확히 배열할 수 있었다.
연구단은 이러한 양자점 나노 입자에 적합한 음각 전사-인쇄 기술을 이용하여, 매우 얇아 피부에 부착이 가능하고 저전압에서도 고성능을 보이는 초고해상도의 발광 다이오드를 개발하였다. 발광소자의 총 두께는 2.6μm로 머리카락 두께의 40분의 1에 불과하여 마음대로 휘고 늘릴 수 있으며, 알루미늄 호일, 피부, 둥근 유리나 깡통 등의 다양한 표면에 부착이 가능하다.
나노물질 기반의 웨어러블 전자시스템을 피부에 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하는 기술은, 현재 생산되고 있는 웨어러블 기기에서 훨씬 진보한 기술로써 새로운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 산업의 지평을 열어 미래 사회 전반에 걸쳐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들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 개발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연 구 결 과 문 답
이번 성과 뭐가 다른가 |
|
매우 얇고 변형이 자유로워, 피부에 부착하면 마치 ‘전자문신’처럼 보일 수 있는 양자점 발광소자를 개발하였다. 또한 새로운 음각전사-인쇄기술을 개발하여 RGB 어레이 해상도가 최신 스마트폰과 비교해서 4배 이상 높은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구현했다. |
|
|
|
어디에 쓸 수 있나 |
|
종이와 같이 얇고 파스나 스티커처럼 피부에도 붙일 수 있는 초고해상도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로 활용될 수 있다. |
|
|
|
실용화까지 필요한 시간은 |
|
5년 |
|
|
|
실용화를 위한 과제는 |
|
대면적 공정 기술의 개발, 양자점 발광소자의 수명 향상, 양자점 물질의 독성 문제, 양산 공정 개발 |
|
|
|
연구를 시작한 계기는 |
|
매우 얇고 변형이 자유로운(휘거나 늘리거나 접을 수 있는) 고성능 디스플레이를 만들기 위해 고민하던 중 양자점 발광소자가 이에 적합하리라 생각되어 연구를 시작하였다. 특히 현재 스마트폰의 해상도(< 600 dpi)를 훨씬 뛰어넘으면서 LCD type이 아닌 자체발광소자(LED type) 특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개발의 필요성이 동기가 되었다. |
|
|
|
에피소드가 있다면 |
|
기존 논문에 보고되었던 스탬핑 방식을 재연해보다가 해상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던 중 음각 패턴에서 해결책을 찾았다. |
|
|
|
꼭 이루고 싶은 목표는 |
|
양산 가능한 초고해상도 웨어러블 QLED 디스플레이 |
|
|
|
신진연구자를 위한 한마디 |
|
언제나 열정을 다해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세요.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