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연구성과

감염으로부터 폐를 보호하는 면역세포 발견

  • 등록일2022-07-05
  • 조회수2589
  • 분류 생명 > 생명과학
  • 성과명
    감염으로부터 폐를 보호하는 면역세포 발견
  • 저널명
    블러드(Blood)
  • 연구자명
    배외식,배건호
  • 연구기관
    성균관대학교, 제1저자
  • 사업명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및 선도연구센터사업)
  • 지원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보도자료발간일
    2022-06-28
  • 원문링크
  • 키워드
    #면역세포 #호중구
  • 첨부파일
    • hwp [게시용] 1. 220628(화) 조간 (보도자료) 감염으로부터 폐를 보호... (다운로드 112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핵심내용

감염으로부터 폐를 보호하는 면역세포 발견

폐 손상을 방지하는 면역세포의 새로운 역할 규명


□ 우리 몸의 혈액 속에 존재하는 면역세포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호중구.

○ 호중구는 혈관을 돌아다니다 세균이 몸에 들어오면 감염부위로 제일 먼저 도착하여 세균을 공격하고 제거하는 백혈구인데, 체내 기관 중 폐에서의 호중구 역할이 새롭게 규명되었다.


□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배외식 교수(성균관대학교) 연구팀이 폐 호중구가 감염이나 염증 환경에서 폐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 폐는 우리 몸의 핵심 장기로, 병원균 감염 시 과도한 염증반응이 발생하면 심각한 폐 손상을 초래할 수 있어 면역반응이 억제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어떠한 기전으로 폐에서의 면역이 억제되어 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 또한, 세균이 감염되지 않은 정상 폐에서도 호중구가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 골수나 혈액에 있는 호중구와 어떻게 다른지, 어떤 인자가 폐 호중구의 특성을 결정하는지, 또 폐 염증질환에서 폐 호중구가 어떠한 기능을 담당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폐에 존재하는 호중구를 분리하여 RNA 염기서열분석(RNA sequencing)*과 유세포 분석**을 통해, 폐 호중구가 골수 및 혈액 호중구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RNA 염기서열분석(RNA sequencing) : 세포 안에 있는 모든 RNA의 서열을 확인해 어떤 유전자의 RNA가 많은지 비교하는 실험

* 유세포 분석 : 특정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세포 표면에 어떤 단백질이 존재하는 지 알아내는 기술

○ 기능적으로 폐 호중구는 침투한 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반응성 산소* 생성을 잘 유도하지만, 세균의 내독소 자극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생성은 골수 호중구에 비해 현저히 감소해 있었다.

* 반응성 산소 : 호중구 등의 선천면역세포가 만들어내는 활성 산소로서, 균을 죽이는 효과를 가짐

** 사이토카인 : 면역 세포에서 생성되어 분비되는 면역조절 단백질

○ 이는 폐 호중구가 감염균에 대해 효과적으로 방어하면서도, 병원균 감염 시 폐에서의 과도한 면역 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절 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 한편, 폐 조직에 많이 존재하는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가 혈관을 돌아다니는 호중구를 폐에 머무르게 하면서 면역 억제 기능을 가진 호중구 생성 역할을 함을 확인했다.

*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 : 체내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활성을 가지는 생리활성 지질 분자 중 하나

○ 나아가, 프로스타글란딘 E2가 단백질 키네이스 A(Protein kinase A : PKA)*의 활성화를 통해 트랜스글루타미네이스2(Transglutaminase2 : Tgm2)**를 생성함으로써 폐 호중구가 항-염증성 기능을 가지도록 유도하는 것을 알아냈다.

* 단백질 키네이스 A(Protein kinase A, PKA) : 세포내에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인산화 효소로서 신호전달 분자로 기능함

** 트랜스글루타미네이스 2(Transglutaminase2 : Tgm2) : 세포내의 중요 신호전달 효소로서 단백질 변형을 조절함


□ 이번 성과로 연구팀은 폐에 머무르고 있는 호중구가 폐에서의 염증 반응을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호중구를 표적으로 하는 폐 질환 치료 가능성의 실마리를 제시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및 선도연구센터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혈액학 분야 국제학술지 ‘블러드(Blood)’에 6월 9일 온라인 게재되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상세내용

 

논문명

Unique characteristics of lung resident neutrophils are maintained by PGE2/PKA/Tgm2-mediated signaling

저널명

Blood

키워드

Lung(), neutrophils(호중구), PGE2(프로스타글란딘 E2), Tgm2(트랜스글루타미네이스2),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급성호흡곤란증후군)

DOI

10.1182/blood.2021014283

저 자

배외식 교수(교신저자/성균관대학교), 배건호 대학원생(1저자/성균관대학교)


연구이야기


 

1. 연구의 필요성

○ 호중구는 일반적으로 혈관 내를 순환하면서 감염 시에 제일 먼저 감염부위로 이동하여 면역반응을 개시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감염 없이 정상상태의 폐에도 많은 수의 호중구가 상주한다고 알려져 있다.

○ 하지만, 이러한 호중구의 구체적인 특성 및 폐의 어떤 환경적 인자가 폐 호중구 형성에 중요한지와 폐 호중구가 감염으로 인한 폐 손상 및 폐 염증반응에 어떠한 기능을 담당하는지는 거의 알려진 바 없다.

○ 폐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은 최근 인류를 크게 위협했던 코로나-19 감염을 포함한 각종 폐 염증질환에서도 사이토카인 폭풍이 사망률을 크게 증가시켜 폐에서 면역세포들의 염증반응 조절에 대한 연구와 치료법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 호중구가 감염 시에는 별다른 유전자 발현 없이도 병원성 물질을 제거하여 호중구의 유전자 발현에 따른 기능적 차이를 가질 수 있는 이형성*이나 아형**과 이들에 의한 면역조절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뤄져 있지 않은 초기 단계이다.

* 이형성 : 특성이나 기능이 서로 다른 것

** 아형 : 특징, 특성 등에 의해 구분되는 서로 다른 형태의 그룹


2. 연구내용

○ R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폐에 상주하는 호중구가 골수와 혈액에 있는 호중구와는 다른 mRNA들을 발현하고, 20가지 표면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여 폐 호중구가 골수, 혈액 및 비장에 있는 호중구와 다른 표면 단백질을 발현하며 전사활성화를 통해 폐 호중구 특이적인 표면 단백질을 발현함을 확인하였다.

○ 연구진은 폐에 많이 존재하는 지질인자인 프로스타글란딘 E2 (Prostaglandin E2)에 의해 폐 호중구 특이적인 유전자 발현이 유도됨을 확인하였고, 이로 인해 호중구의 세포사멸을 막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줄이는 것을 밝혔다.

○ 세포 수준뿐만 아니라 생쥐의 폐에서 프로스타글란딘 E2의 생성을 막았을 때 폐 호중구가 감소하며 남은 호중구에서도 폐 호중구 특이적인 유전자 발현이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프로스타글란딘 E2의 하위 신호전달 분자인 단백질 키네이스 A(protein kinase A)를 막았을 때 급성호흡곤란증후군 생쥐 모델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및 폐 조직의 붕괴가 더 심해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타겟 단백질인 트랜스글루타미네이스 2 (transglutaminase 2)가 결여된 마우스에서도 병리가 더 심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3. 연구성과/기대효과

○ 폐에 상주하는 폐 호중구의 특성과 기능을 규명하고, 폐 호중구에 의한 새로운 폐 염증 제어 기전을 규명함으로써 폐 감염 질환에서 폐 호중구를 표적으로 하는 폐 질환 제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 개발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