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연구성과
온도에 따라 팽창하는 마이크로 입자를 활용한 압력센서 표면 형태 제어 원천기술 개발
- 등록일2022-08-08
- 조회수2390
- 분류 레드바이오 > 의료기기기술
-
성과명
온도에 따라 팽창하는 마이크로 입자를 활용한 압력센서 표면 형태 제어 원천기술 개발
-
저널명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
연구자명
박인규,조한철,정영,최중락
-
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사업명
중견연구, 신진연구
-
지원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보도자료발간일
2022-08-05
- 원문링크
-
키워드
#웨어러블 기기 #마이크로 입자
- 첨부파일
핵심내용
온도에 따라 팽창하는 마이크로 입자를 활용한
압력센서 표면 형태 제어 원천기술 개발
- 헬스케어 및 차세대 사용자 맞춤형 고성능 센서 구현 -
□ 국내 연구진이 온도에 따라 풍선과 같이 팽창하는 마이크로 입자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기기 센서에 활용할 수 있는 불규칙한 마이크로 돔 구조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
□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박인규 교수(한국과학기술원), 조한철 박사(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구팀의 공동연구로 3D 마이크로 구조 기반의 센서 표면 형태 제어 기술과 이를 압력센서에 적용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 최근 인간-전자기기 상호작용 기술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표면에 3D 마이크로 구조를 갖는 필름을 사용하여 센서의 민감도나 응답속도 등을 증가시키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센서에 이용되는 기존 필름은 원하는 패턴으로 준비된 틀에 액상 탄성중합체*를 부어 만드는 몰딩 방식에 의존하기 때문에,
○ 별도의 몰드 제작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3D 마이크로 구조의 크기, 밀도 등을 제어하는 데 한계가 있어 제작에 어려움이 있었다.
* 탄성중합체 : 고무처럼 탄성이 좋은 고분자 화합물을 통틀어 이루는 말로, 합성 고무 등이 있다.
□ 이에 연구팀은 특정 온도를 가하면 기존 대비 크기가 3배 이상 팽창하는 마이크로캡슐과 탄성중합체를 혼합하여 유연한 필름을 제작, 간단한 열처리를 통해 필름 표면에 3D 마이크로 돔 구조 형성이 가능한 것을 확인했다.
□ 또한, 제작한 필름을 고감도 유연 압력센서에 적용한 결과, 표면에 형성된 불규칙한 3D 마이크로 돔 구조가 규칙적인 구조에 비해 작은 힘에도 큰 변형과 압축으로 신호를 받아들여 기존 몰딩 방식 압력센서 보다 약 3배 높은 감도를 보였다.
○ 이렇게 개발된 센서는 물 1방울과 같은 미세한 질량의 압력까지도 정밀하게 감지하였으며, 다양한 센서 평가(검출한계*, 내 구성, 응답속도 등)에서도 기존과 유사한 성능을 나타냈다.
* 검출한계: 그 기기 자체로부터 발생하는 잡음으로부터 분석물이 나타내는 신호를
구분할 수 있는 분석물의 최소량
○ 또한, 개발된 압력센서는 손가락의 미세한 맥박 변화까지도 정교한 감지가 가능하였으며,
○ 손목의 움직임 감지로 마우스 커서를 움직일 수 있는 대면적 어레이 센서* 구현을 통해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기술 활용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 대면적 어레이 센서 : 개발된 센서를 여러 개 배열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의
크기 및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
□ 박인규 교수는 “이번 연구는 온도에 의해 팽창하는 입자를 통해 3D 마이크로 구조를 형성하는 새로운 제작 방법을 고안한 것”이라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실시간 건강정보 확인, 인간-기계 상호작용, 전자 피부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 신진연구 및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창의ㆍ도전연구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7월 4일(한국시간) 정식출간본 표지 논문으로 게재되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상세내용
논문명 | Irregular Microdome Structure-Based Sensitive Pressure Sensor Using Internal Popping of Microspheres |
저널명 |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
키워드 | flexible pressure sensors (유연 압력센서), irregular microstructure (불규칙한 마이크로 구조), laser-induced graphene (레이저 유도 그래핀), microdome (마이크로돔), surface morphology (표면 형태) |
DOI | https://doi.org/10.1002/adfm.202201147 |
저 자 | 박인규 교수(공동 교신저자/한국과학기술원), 조한철 박사 (공동 교신저자/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정영 박사(공동 제1저자/한국과학기술원), 최중락 박사과정 (공동 제1저자/한국과학기술원) |
1. 연구의 필요성
○ 최근 IoT (사물인터넷) 시대를 맞이하면서 다양한 센서 기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고성능 센서 기술은 스마트 기기, 보안 및 안전, 의료 및 헬스케어 분야와 같은 고부가가치 산업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 최근에는 뛰어난 센서 특성과 함께 유연한 특성을 활용하여 사람의 피부와 같이 굴곡진 부위에 부착하는 웨어러블 센서 응용에 관한 관심도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특히, 표면에 3D 마이크로 구조가 배열된 필름을 사용하면 센서의 전반적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3D 마이크로 구조의 크기 및 밀도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2. 연구내용
○ 온도에 의해 팽창하는 입자를 이용하여 표면에 3D 마이크로 구조를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 핵심으로 사용한 물질은 열팽창성 마이크로 캡슐로 마이크로 크기의 풍선으로 생각하면 된다. 초기 6~11㎛ 크기를 가지는 입자에 온도를 가하게 되면 내/외부의 상변화로 인해 약 30~50㎛ 크기로 기존 대비 3~5배 팽창하게 된다.
○ 해당 입자를 유연 탄성중합체와 혼합하여 유연 필름을 제작한 뒤에 온도를 가하여 열팽창성 마이크로 캡슐을 팽창시키면, 표면에 마이크로 돔 구조가 형성된 유연 필름의 제작이 가능하다.
○ 3D 마이크로 구조가 형성된 유연 필름을 압저항형 기반 유연 압력센서에 적용하였으며, 기존 센서에 비해 높은 감도를 가지고 내구성 / 검출한계 / 응답속도 등에서도 기존과 유사한 성능을 가진 것을 확인하였다.
○ 개발된 유연 압력센서를 활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맞춤형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였는데, 첫 번째로는 손가락형 압력센서에 적용하여 미세한 맥박 감지, 물체를 누르는 힘 등에 대해 정밀하게 감지/구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두 번째로는 대면적 어레이 센서를 제작하여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에 적용하여 손목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를 기계 학습에 적용하여 마우스 커서를 움직일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3. 연구성과/기대효과
○ 본 연구는 패턴 몰드 없이 3D 마이크로 구조를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작 유연성이 크게 향상하여 저비용/고성능 압력센서를 제작할 수 있게 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불규칙한 돔 구조 기반 압력센서는 높은 민감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탄성중합체의 특성인 유연한 장점이 있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비롯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 개발된 유연 압력센서는 저비용/고성능/대면적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어 헬스케어, 인간-기계 상호작용, 개인 보안 등 고부가가치 산업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