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연구성과

생합성 필수대사체로 세포사멸 조절 기전 찾아내

  • 등록일2022-09-19
  • 조회수2350
  • 분류 생명 > 생명과학
  • 성과명
    생합성 필수대사체로 세포사멸 조절 기전 찾아내
  • 저널명
    Nature Cell Biology
  • 연구자명
    황철상,이윤태,응우옌 테 카
  • 연구기관
    포항공과대학교
  • 사업명
    리더연구, 중견연구,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 지원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보도자료발간일
    2022-09-14
  • 원문링크
  • 키워드
    #생합성
  • 첨부파일
    • hwp [게시용] 붙임1. 220914(수) 조간 (보도자료)생합성 필수대사체로... (다운로드 85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핵심내용

 

 

생합성 필수대사체로 세포사멸 조절 기전 찾아내

- 페롭토시스 세포사멸 표적 치료제 개발에 기여 -

 

□ 생합성 필수대사체로 폐암, 대장암 등과 같은 암의 세포사멸을 조절할 수 있는 분자 기전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견되었다.


□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황철상, 이윤태 교수(포항공과대학교, 제1저자 응우옌 테 카 박사) 연구팀이 마치에프6* 단백질이 생합성**에 꼭 필요한 대사체***인 NADPH****를 직접 감지하고 주요 페롭토시스 유도 인자들의 분해를 조절함으로써 세포사멸을 제어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 마치에프6(MARCHF6) : 단백질의 한쪽 끝 N-말단에 부착된 아세틸기를 분해 신호로 인식해서 단백질의 분해를 매개하는 다관통 소포체 막단백질

** 생합성 : 여러 단계의 효소 촉매 반응을 통해 기질을 복잡한 생성물로 변화시키는 과정

*** 대사체 : 생물체의 신진대사에 관여하거나 신진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는 저분자 물질들의 총칭

**** NADPH : 생합성과 대사 조절에 사용되는 필수적인 대사체

○ 페롭토시스는 철분에 의해 과생성된 지질 과산화*로 세포 속 막 구조물이 망가지면서 세포가 죽는 세포사멸 경로로써, 암세포를 죽이는 새로운 항암 치료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 지질 과산화 : 활성산소 등에 의해 생체막 지질이 산화되는 현상


□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필수대사체인 NADPH는 글루타티온과 코엔자임큐 등 항산화제의 재생을 돕는 역할을 하여 페롭토시스를 억제한다.

○ 특히 NADPH의 함량이 높은 암세포들은 페롭토시스 유발 약물들에 내성을 가져 세포사멸이 유도되지 않는다.

○ 그래서 효과적인 세포사멸 유도를 위해 세포 속의 NADPH 함량을 직접 감지하여 페롭토시스를 조절하는 인자나 분자 기전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으나 밝혀지지 않았다.



□ 이에 연구팀은 소포체 막에 끼어 있는 마치에프6 단백질이 세포 속 NADPH를 직접 인식하고 페롭토시스 유도 인자들의 분해를 조절해서 페롭토시스 세포사멸을 제어하는 것을 규명하였다.

○ 폐암, 자궁암, 대장암 세포주들에서 마치에프6와 페롭토시스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마치에프6를 결손 시킨 암세포주에서 지질과산화가 증가하고, 기존 항암제로 사용되는 페롭토시스 유발 약물들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하여 내성이 있던 암세포들의 사멸을 유도하게 되었다.

○ 반면 마치에프6를 과량 발현시켰을 때는 페롭토시스 유발 약물에 대한 암세포주들의 민감도가 오히려 감소하여 암세포들이 성장하였다.

○ 이를 통해 마치에프6가 페롭토시스 세포사멸 제어자로서 작동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나아가 배양된 암세포주를 생쥐에 이식하여 실험을 진행한 결과, 마치에프6가 결손 된 암세포들에서 페롭토시스가 급격히 일어나, 종양형성이 현저히 억제되는 것을 밝혀내,

○ 세포 수준에서의 실험을 동물실험으로 발전시켜 페롭토시스와 마치에프6의 생물학적 현상을 확인하고 활용 가능성도 증명하였다.


□ 황철상 교수는 “이번 성과가 페롭토시스 세포사멸과 관련된 각종 암, 퇴행성 신경질환, 조직괴사 등의 치료제 개발을 위한 단초를 제시해 줄 것”이라고 전하며, “질병 유발 단백질을 분해ㆍ제거하는 신약 개발 플랫폼 기술에 마치에프6가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기대를 덧붙였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리더연구, 중견연구,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등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세포생물학분야 국제학술지인‘네이처 셀 바이올로지(Nature Cell Biology)’에 8월 8일 게재되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상세내용

 

논문명

The MARCHF6 E3 ubiquitin ligase acts as an NADPH sensor for the regulation of ferroptosis

저널명

Nature Cell Biology

키워드

Cell death, Ferroptosis, E3 ligase, NADPH

DOI

https://doi.org/10.1038/s41556-022-00973-1

저 자

황철상 교수(교신저자/포항공과대학교), 이윤태 교수 (교신저자/포항공과대학교) , 응우옌 테 카(Nguyen the Kha) 박사(1저자/포항공과대학교)


연구이야기


1. 연구의 필요성

○ 페롭토시스는 철분의 하나의 형태인 Fe2+ (ferrous) 이온에 의해 과도하게 생성된 지질 과산화 (lipid peroxidation)으로 인해 세포 속 막구조물이 망가지면서 세포가 죽는 비교적 최근에 밝혀진 세포사멸 경로이다.

○ 페롭토시스는 각종 암, 퇴행성 신경질환, 조직 손상과 염증 발병 등에서의 그 중요성이 밝혀졌으며, 세포 자살사 (아팝토시스)에 내성을 가진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죽일 수 있는 새로운 항암제 개발의 표적으로서 페롭토시스 세포사멸 연구가 급부상하고 있다.

○ 생합성 필수대사체인 NADPH는 지질 과산화를 막는 글루타티온(Glutathione), 비타민 E(Vitamin E), 코엔자임 Q10 (Coenzyme Q10) 같은 항산화제들을 재생함으로써 페롭토시스를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 따라서 세포 속 NADPH의 함량은 페롭토시스의 민감도를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바이오마커로서 제시되었지만, 아직 NADPH를 감지해서 페롭토시스를 조절하는 인자들이나 이들의 작동 기전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 다관통 소포체 막단백질인 마치에프6 (MARCHF6)는 단백질의 한쪽 끝 N-말단에 부착된 아세틸기를 분해 신호로 인식해서 단백질의 분해를 매개하는 아세틸화/N-분해 신호 경로의 핵심 인자 및 지질대사의 통합 조절자로서 역할이 제시됐지만, 페롭토시스에서의 이 효소의 역할은 아직 연구되지 않았다.


2. 연구내용

○ 각종 암세포주에서의 마치에프6와 페롭토시스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마치에프6를 결손 시킨 암세포주에서 지질과산화가 증가하고, 페롭토시스 유발 약물들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하였다.

○ 이와 반대로, 마치에프6를 과량 발현시킨 암세포주들은 페롭토시스 유발 약물에 대한 민감도가 오히려 감소했기 때문에, 마치에프6가 페롭토시스 억제자로서 작동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 마치에프6의 페롭토시스 억제 기전을 자세히 알아내기 위해, 전체유전자 전사체 분석을 수행한 결과, 마치에프6가 결손된 암세포주에서 NADPH 합성 관련 유전자들이 감소했으며, 실제로 NADPH 함량이 상당히 떨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 또한, 페롭토시스 유발 약물들을 암세포주에 처리할 때도 NADPH 함량이 감소하면서, 다양한 마치에프6의 기질들이 분해되지 않고 안정화되었다.

○ 특히, 효모교잡법, 등온적정열량법, 면역침적법 등의 다양한 생화학적/분자생물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 NADPH가 마치에프6의 C-말단 부위에 직접 결합하여 마치에프6를 활성화하는 것을 밝혀냈다.

○ 그리고, 면역침강법과 단백질분해정량 분석을 통해 마치에프6가 NADPH를 직접 감지해서, 주요 페롭토시스 유도 단백질인 p53과 ACSL4의 분해를 촉진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 더 나아가 이종이식(Xeno graft) 생쥐 종양 모델 실험을 통해 마치에프6가 결손된 폐암 세포주에서 페롭토시스가 급격히 발생하며, 그 결과 종양형성이 현저히 억제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 이외에도, 몸 전체에서 마치에프6가 넉아웃(Knock-out)된 생쥐는 태어나기 직전이나 직후에 죽는 출산 전ㆍ후 사망 (perinatal lethality) 현상을 보이지만, 임신한 생쥐에 페롭토시스 저해 항산화제인 비타민 E가 고함량인 사료를 먹이면, 마치에프6 넉아웃 생쥐들의 출생률이 현저히 증가했다.


3. 연구성과/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해 페롭토시스의 핵심 조절자로서 마치에프6를 발굴하였다.

○ 마치에프6가 생합성 필수대사체인 NADPH를 직접 감지하여 주요 페롭토시스 유도 단백질들을 분해함으로써 세포사멸을 억제함을 밝혀냈다.

○ NADPH를 탐지하는 유비퀴틴 리가아제로서 마치에프6를 동정했다.

○ 세포 자살사(아팝토시스)에 내성을 가진 암세포들의 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 마치에프6 저해제 기반 항암제 개발의 단초를 제시했다.

○ 페롭토시스 관련 다양한 휴먼질환(암, 퇴행성 신경질환, 감염과 염증, 비만) 등을 마치에프6 활성 조절을 통해 치료할 수 있는 기반 지식을 제공했다.

○ 차세대 혁신 신약 개발의 플랫폼 기술인 프로탁 데그레이더로 소포체 막에 존재하는 마치에프6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 페롭토시스가 생존전ㆍ후 사망의 원인 중 하나일 가능성을 제시하고, 태아 발달에 있어서 고함량 비타민 E 섭취의 중요성을 제시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