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연구성과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박테리아의 새로운 생존 전략 규명

  • 등록일2022-11-25
  • 조회수2230
  • 분류 생명 > 생명과학,   생명 > 생물공학,   제품 > 바이오자원
  • 성과명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박테리아의 새로운 생존 전략 규명
  • 저널명
    Nucleic Acids Research
  • 연구자명
    박현호,이소연
  • 연구기관
    중앙대학교
  • 사업명
    중견연구사업, 기초연구실사업
  • 지원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보도자료발간일
    2022-11-16
  • 원문링크
  • 키워드
    #Aca 단백질 #항-크리스퍼 유전자
  • 첨부파일
    • hwp [게시용] 붙임1. 221107(월) 조간 (보도자료) 바이러스에 대항하... (다운로드 86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핵심내용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박테리아의 새로운 생존 전략 규명

-CRISPR-Cas 시스템 이용한 보다 정교한 유전자 조작에 응용 기대-



 인간과 박테리아, 바이러스는 끊임없는 생존 전쟁을 치르며 고유의 면역체계를 발전시켜왔다.

 박테리아의 방어막을 뚫고 공격하는 바이러스의 면역회피 시스템과 이를 무력화 시키는 박테리아의 면역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국내연구진이 새롭게 밝혀, 인간 유전자 편집 기술에도 응용이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 박현호 교수(중앙대학교) 연구팀 박테리아가 자신의 면역체계인 크리스퍼-카스(CRISPR-Cas)를 공격하는 바이러스의 항-크리스퍼(Anti-CRISPR) 유전자를 조절하고 면역시스템을 회복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 흔히 유전자 가위로 불리는 크리스퍼-카스 박테리아가 자신을 공격하는 바이러스의 유전정보를 기억하고 있다가 유사 유전자를 가진 바이러스가 침투할 경우 바로 제거하는 방어 시스템이다.

 바이러스는 크리스퍼-카스를 억제하는 다양한 항-크리스퍼 단백질을 가지고 박테리아의 면역체계를 무력화 시키며 진화하였다.

 박테리아 역시 바이러스의 항-크리스퍼 단백질을 무력화하는 방어 체계를 갖추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지금까지 관련 기전은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바이러스의 항-크리스퍼 유전자와 밀접한 관계를 보이는 박테리아의 Aca (anti-CRISPR associate) 단백질에 주목하여 -크리스퍼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을 연구하였다.

○ 연구 결과, Aca 단백질은 -크리스퍼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하는 전사인자로 작용함을 밝혔다.

○ 또한 Aca 단백질은 -크리스퍼 유전자 특정 프로모터*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항-크리스퍼의 발현을 막아, 크리스퍼-카스를 정상 작동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 프로모터 : 모든 생명체에서 유전자의 전사(합성)를 조절하는 DNA의 특정 부위

 

□ 나아가, Aca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규명하고, 어떻게 이 단백질이 특정 프로모터에 결합하여 바이러스의 무기가 되는 단백질 유전자 발현을 저해할 수 있는지를 분자 수준에서 규명하였다.

 

 박현호 교수는 “이번 연구는 바이러스의 면역 회피 시스템에 대항하는 박테리아의 또 다른 생존 전략을 규명한 연구”라며 “항-크리스퍼 단백질, Aca 단백질은 실제 크리스퍼-카스 시스템을 조절하는 단백질들이기 때문에 인간 유전자 치료 기술로 주목받는 크리스퍼-카스의 정교한 조절 등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연구 의의를 설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 및 기초연구실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국제학술지 뉴클레익 애시즈 리서치(Nucleic Acids Research) 8 26 게재되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상세내용

 

논문명

Molecular basis of anti-CRISPR operon repression by Aca10

저널명

Nucleic Acids Research

키워드

CRISPR-Cas system, Anti-CRISPR, Anti-CRISPR associate, 후천면역

DOI

10.1093/nar/gkac656

저 자

박현호 교수(교신저자/중앙대학교), 이소연 대학원생(1저자/중앙대학교)


연구이야기


1. 연구의 필요성

○ 역사적으로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는 끊임없는 서로에 대한 생존 전쟁을 벌이고 있는데 그 결과 박테리아는 침입자 바이러스의 유전자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가 유사 유전자 정보를 가진 바이러스가 다시 침투하면 제거할 수 있는 CRISPR-Cas시스템을 가지게 되었고, 바이러스는 다양한 anti-CRISPR 단백질을 가지고 있어 박테리아의 CRISPR-Cas 시스템을 무력화 시킬 수 있는 무기를 가지게 진화해 왔다.

○ 하지만 박테리아 역시 anti-CRISPR 단백질을 다시 무력화 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었는데 그 기전은 알려지지 않았다.

○ 사람과 박테리아, 바이러스는 끊임없는 생존전쟁을 벌이고 있으며 그중 박테리아와 박테리아 침입 바이러스 또한 역사적으로 긴 생존전쟁을 벌이고 있는데 다양하게 진화되어온 다양한 무기들의 존재를 밝히고 이들의 작용메커니즘을 밝히는 것은 인류와 같이 존재하며 서로 생존전쟁을 벌이고 있는 공생체를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 연구이다.


2. 연구내용

○ Aca 단백질이 anti-CRISPR 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발현이 같이 조절됨을 밝히고 이 Aca 단백질이 anti-CRISPR 단백질 발현 조절을 할 수 있는 전사인자일수 있음에 가설을 세웠다.


○ 연구결과, Aca는 anti-CRIPSR의 발현을 저해하는 전사인자로 작용하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 전사인자가 anti-CRISPR 유전자의 특정 프로모터에 결합하여 anti-CRISPR의 발현을 막아 CRISPR-Cas 시스템을 정상 작동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연구팀은 또한 Aca 단백질의 3차구조를 규명하여 어떻게 이 단백질이 특정 프로모터에 결합하여 바이러스의 무기가 되는 단백질 유전자 발현을 저해할 수 있는지를 분자레벨에서 규명하였다.


3. 연구성과/기대효과

○ 특히 CRISPR-Cas 시스템은 유전자 조작을 통한 미래의 인간 질병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을만큼 중요히 연구가 되고 있는 분야인데 이 시스템이 보다 적절히 사용되기 위해서 그 조절 물질, 단백질이 필요한 상태이다. 실제 이번에 연구가 되는 Anti-CRISPR, Aca 단백질들이 향후 CRISPR-Cas 조절 단백질로 응용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필요한 연구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