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연구성과

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일으키는 단백질 형성 원리 규명

  • 등록일2023-01-10
  • 조회수2306
  • 분류 생명 > 생명과학,   생명 > 생물공학,   종합 > 종합,   종합 > 종합,   종합 > 종합,   종합 > 종합,   종합 > 종합
  • 성과명
    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일으키는 단백질 형성 원리 규명
  • 저널명
    Nature Cell Biology
  • IF
    28.82(2021년 기준)
  • 연구자명
    전영욱,곽민석
  • 연구기관
    기초과학연구원, 연세대학교
  • 사업명
    기초연구사업, 기초과학연구원 지원사업
  • 지원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과학연구원
  • 보도자료발간일
    2023-01-10
  • 원문링크
  • 키워드
    #나노기술 #알츠하이머 #단백질
  • 첨부파일
    • hwp 230110_[IBS 보도자료]_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일으키는 단백... (다운로드 81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핵심내용

 

 

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일으키는 단백질 형성 원리 규명

- 메카노제네틱스 기술로 조직발달 및 아밀로이드 베타 생성 과정 밝혀 - 

- 암·알츠하이머 질환 치료 연구에 활용 기대 -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나노의학 연구단 천진우 단장(연세대 화학과· 고등과학원 교수), 곽민석 연구위원(연세대 고등과학원 교수) 연구팀은 캘리포니아 주립대(UCSF) 전영욱 교수(나노의학 연구단 객원교수)와 공동으로 나노기술과 세포공학 기술을 이용해 조직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노치(Notch) 수용체 신호 활성화 과정과 알츠하이머의 주원인으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beta, Aβ) 형성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노치 신호전달은 세포분열 및 신경세포 발생을 조절하는 중요한 세포간 상호작용으로 알려져 왔다. 잘못된 노치 신호는 다양한 질병, 특히 암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또한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Amyloid Precursor Protein, APP)로부터 형성되는 아밀로이드 베타는 조직 내 축적되어 신경손상을 초래하고, 알츠하이머 질환의 발병에 관여한다고 알려진다.


흥미롭게도 노치 활성화와 아밀로이드 베타 형성은 둘 다 세포막에 존재하는 두 가지 다른 종류의 효소에 의한 노치 수용체 및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의 순차적인 절단 과정(proteolysis)을 거쳐 일어난다. 따라서 이 절단 과정의 인자를 규명하고 제어 기작을 이해하는 것은 줄기세포, 조직의 발달과 같은 필수적 생명현상을 이해하고, 암, 알츠하이머와 같은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순차적 절단 과정이 시공간적으로 정확하게 조절되는 분자학적 메커니즘과 효소들의 기질 특이성에 대해서 알려진 바가 상대적으로 적다.


연구팀은 세포 사이의 접합을 제어하는 구조인 접착연접(Adherens junctions, AJ)이 순차적 절단 과정의 순서를 결정하는 공간적 스위치 역할을 하며, 정상적인 노치 신호 제어에 필수적임을 밝혀냈다. 특히, 노치 수용체-리간드(수용체와 결합하여 활성을 조절하는 물질) 상호작용과 수용체의 첫 번째 절단 과정은 접착연접 구조 바깥에서, 두 번째 절단 과정은 접착연접 구조 내에서 일어남을 발견했다.

활성화 전 노치 수용체의 크기는 접착연접 너비 보다 커 접착연접 안으로의 접근이 제한된다. 리간드와 결합하여 활성화를 시작한 노치 수용체는 접착연접 구조의 바깥에서 ADAM 효소에 의해 절단되고, 크기가 작아진 수용체는 접착연접 안으로 접근한다. 곧이어 접착연접에 진입한 노치 수용체는 내부에 고농도로 모집된 감마 세크레타제(γ-secretase) 효소에 의해 두 번째 절단 과정을 거쳐 신호 전달 활성화로 이어진다.


연구진은 특정 수용체에 기계적, 시공간적 자극을 전달할 수 있는 메카노제네틱스(Mechanogenetics) 메카노제네틱스(Mechanogenetics) : IBS 나노의학 연구단·연세대 고등과학원과 UCSF 연구진의 공동 개발한 나노기술로, 자성나노입자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계적, 화학적, 시공간적 자극을 세포 표면의 신호 분자(Notch, E-cadherin 등) 전달하여 세포 신호 전달을 조절하는 기술.

나노기술을 이용하여 접착연접이 감마 세크레타제 효소를 높은 농도로 모집하고, 첫 번째 절단 과정을 거치지 않은 노치 수용체 접근을 차단함을 확인했다. 즉, 접착연접이 비정상적인 수용체-효소 상호작용과 노치 활성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확인한 것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CRISPR-Cas 유전자 편집 기술로 접착연접 구조를 이루어 세포 간 상호 접착을 유지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 카드헤린(Cadherin) 단백질의 발현을 제거하였을 때, 노치 신호가 활성화되지 않음을 확인했다. 또한 발달 중인 생쥐 뇌의 신경줄기세포의 카드헤린 발현을 억제하자, 줄기세포들이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뉴런으로 분화했다. 이로써 접착연접에 의한 노치 신호 제어 과정이 신경계 발달과정에 관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에서 접착연접 형성을 억제하였을 때, 아밀로이드 베타가 형성되는 양이 줄어드는 것을 발견했다. 단백질의 절단 과정을 제어함으로써 알츠하이머의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전영욱 교수는 “노치 신호 활성화 및 아밀로이드 베타 형성에 필요한 단백질의 순차적 절단 과정의 새로운 분자·세포학적 메커니즘을 최초로 제시했다”라며, “이번 연구는 IBS 나노의학 연구단·연세대 고등과학원과 UCSF가 공동연구로 개발한 메카노제네틱스 나노기술을 세포 신호전달 연구에 성공적으로 활용한 결과”라고 전했다.

곽민석 연구위원은 “이번 연구가 향후 비정상적인 세포 신호 전달에 의한 암 관련 연구와 아밀로이드베타 형성 억제를 통한 알츠하이머 질환 치료제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노치 신호를 조절하여 신경계 발달과정을 정확하게 모사하는 브레인 오가노이드 개발로 연구를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셀 바이올로지 (Nature Cell Biology, IF 28.82)’에 2022년 12월 2일 온라인 게재됐다.



[붙임] 1. 연구 추가설명 2. 그림설명 3. 연구진 이력사항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상세내용

연구이야기



논문/저널

 Adherens junctions organize size-selective proteolytic hotspots critical for Notch signalling / Nature Cell  Biology (2022)

저자정보

 Minsuk Kwak, Kaden M. Southard, Woon Ryoung Kim, Annie Lin, Nam Hyeong Kim, Ramu Gopalappa, Hyun  Jung Lee, Minji An, Seo Hyun Choi, Yunmin Jung, Kunwoo Noh, Justin Farlow, Anastasios Georgakopoulos,  Nikolaos K. Robakis, Min K. Kang, Matthew L. Kutys, Daeha Seo, Hyongbum Henry Kim, Yong Ho Kim, Jinwoo  Cheon, Zev J. Gartner, Young-wook Jun

연구내용

보충설명

 본 연구팀은 2016년 자성나노입자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계적화학적시공간적 자극을 특정 수용체에 전달하여  세포신호전달 기전을 규명하는 메카노제네틱스(mechanogenetics) 기술을 개발하여, Notch 수용체 활성화에는  기계적 자극이 필요함을 규명했다그러나 힘을 전달받은 Notch 수용체가 하위 신호 전달을 위하여 필요한 두 차  례의 순차적 효소 기반 분해 과정(proteolysis)의 기작은 알려진 바가 상대적으로 적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와 두 번째 분해 과정이 공간적으로 분리된 두 가지 다른 공간적 구역(compartment)에서  일어나며세포 사이의 상호 작용을 조절하는 접착 연접(adherens junction, AJ)가 이러한 공간적 구역을 형성하  는 구조임을 규명했다특히 첫 번째 절단 과정을 거치기 전의 단백질은 두 번째 과정이 일어나는 구역으로 들어가지  못함을 발견했다.

 또한 알츠하이머 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Aβ)가 순차적 단백질 절단 과정에 의해 형성되므  로이 과정을 조절하여 Aβ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어 추후 알츠하이머 질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 이야기

 [연구 과정]

 기존의 분자-세포생물학 실험 기법으로 규명하기 어려웠던 세포 표면 단백질의 활성화 과정을 메카노제네틱스  기술고해상도 세포 3차원 시각화 기술합성 생물학 기반 수용체 엔지니어링 기술그리고 유전자 편집 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 기법이 필요했다이는 IBS 나노의학연구단연세대학교그리고 UCSF, 세 기관의 긴밀한 공  동 연구가 구축되었기에 가능하였다고 생각한다그리고 항상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시해주고 실험적으로도 많은 조언과  서포트를 아낌없이 주셨던 UCSF 전영욱 교수님의 지도가 있었기에 연구를 성공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다.

 

 [어려웠던 점]

 연구가 70% 정도 진행되었을 때본 연구자는 미국 UCSF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그 때 코로나 팬데믹이 시  작되어 더 이상 실험실에 나갈 수 없게 되었고 실험도 큰 차질을 빚게 되었다다행이 연세대학교와 IBS 나노의학  연구단에서 필요한 실험들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받아 연구가 멈추지 않고 진행될 수 있었다.

 

 [성과 차별점]

 본 연구는 최초로 Notch 또는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APP)의 순차적 절단 과정을 제어하는 요인이 세포 표  면(membrane)에서 형성된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는 공간적 구역(compartment) 라는 것을 규명했다.

 

 [향후 연구계획]

 본 연구를 통해서 규명한 Notch 신호 조절 메커니즘을 응용하여 새로운 synNotch 기반 유전자 스위치를 디자인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과 공간에서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시킬 수 있는 면역 세포 기반 치료법을 개발하고자  함또한 Notch 신호를 조절하여 실제 신경계 발달과정을 더욱 정확하게 모사하는 brain organoid 개발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