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연구성과

인공장기 인쇄하는 안전한 바이오 잉크

  • 등록일2023-04-11
  • 조회수2407
  • 분류 종합 > 종합,   종합 > 종합,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성과명
    인공장기 인쇄하는 안전한 바이오 잉크
  • 저널명
    Small
  • IF
    15.153
  • 연구자명
    송수창,김준
  • 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사업명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주요사업
  • 지원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보도자료발간일
    2023-04-03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 잉크 #인공장기 #3D 바이오 프린팅 잉크
  • 첨부파일
    • hwp 230331_[KIST 보도자료] 인공장기 안쇄하는 안전한 바이오 잉크_... (다운로드 512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핵심내용

 

 

인공장기 인쇄하는 안전한 바이오 잉크

- 광경화 과정 없이 조직 재생을 유도하는 3D 바이오 프린팅 잉크 개발

- 인공장기 등 환자 맞춤형 재생 치료기술로 응용 기대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더불어 사고로 인한 부상, 만성질환의 증가 등으로 인공장기나 조직과 같은 생체재료 개발이 활발하다. 최근에는 세포와 생체재료를 사용해 3차원의 인공조직 구조를 구현하는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그런데, 바이오 잉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하이드로겔의 경우 광경화 과정에서 사용되는 가교제와 자외선으로 인해 체내에서 세포 독성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윤석진) 생체재료연구단 송수창 박사 연구팀은 광경화 과정 없이 온도조절만으로 물리적인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조직 재생을 유도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체내에서 생분해되는 폴리포스파젠 하이드로겔 기반의 온도감응성 바이오 잉크를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의 하이드로겔 기반 바이오 잉크는 출력 후 3차원 지지체의 물리적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경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하고, 조직 재생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외부 배양 세포를 이식함으로써 인체 내 부작용의 위험성이 컸다. 이에 연구팀은 저온에서는 액상 형태로 존재하고 체온에서는 단단한 젤로 변화하는 특성을 지닌 온도감응성 폴리포스파젠 하이드로겔을 이용해 새로운 바이오 잉크 소재를 개발했다. 이를 통해 화학적 가교제나 자외선 조사 과정 없이 온도조절만으로 조직 재생이 가능하며 물리적으로 안정적 구조를 가진 3차원 지지체를 제작해 인체의 면역 부작용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개발된 바이오 잉크는 또한 조직 재생에 도움을 주는 단백질인 성장인자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분자구조로 되어 있어 세포의 성장 및 분화, 면역 반응 등을 조절하는 성장인자를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연구팀은 바이오 잉크를 통해 출력된 3차원 지지체 내에 세포의 분화를 자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환경을 유도함으로써 조직 재생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세포 유입과 뼈 재생에 필요한 전환성장인자 베타 1((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TGF-β1)과 골 형성 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2, BMP-2)을 포함한 바이오 잉크를 3D 바이오 프린터로 출력해 3차원 지지체를 제작한 뒤 쥐의 뼈 손상 부위에 이식하는 실험을 수행했다. 그 결과 주변 조직으로부터 세포가 지지체 안으로 유입되어 뼈가 정상 조직 수준으로 재생되었으며, 이식된 3차원 지지체는 체내에서 42일에 걸쳐 서서히 생분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IST 송수창 박사는 “연구팀은 지난 2022년 6월 온도감응성 폴리포스파젠 하이드로겔을 ㈜넥스젤바이오텍에 기술이전해 골이식재, 성형필러 등의 제품개발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번에 개발된 바이오 잉크는 그 자체의 물리적 특성을 달리해 뼈 조직 외에 다른 조직의 재생에도 적용하는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며, 최종적으로는 부위별 조직 및 장기 맞춤형 바이오 잉크를 제품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지원을 받아 KIST 주요사업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인 'Small'(IF : 15.153, JCR 분야 상위 7.101%) 최신 호에 표지논문(Inside back cover)으로 게재되었다.


* (논문명) Thermo-Responsive Nanocomposite Bioink with Growth-Factor Holding and its Application to Bone Regeneration

- (제1저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김준 위촉연구원

- (교신저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송수창 책임연구원


[붙임] 연구결과 개요, 연구결과 문답, 용어 설명, 그림 설명, 연구진 이력 사항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상세내용

연구이야기


 1. 연구배경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은 3차원의 인공 조직 구조를 형성하고 조직 재생효과를 증가 시킬 수 있어 지속적으로 활발하게 개발중인 기술이다. 바이오 프린팅 기술에 사용되는 생체재료는 '바이오 잉크’ 라고 부르며, 주로 생체적합성을 가진 하이드로겔을 이용하나 현재까지 사용 할 수 있는 바이오 잉크가 제한적이다. 

바이오 잉크는 3차원의 지지체를 출력할 수 있는 물리적인 강도를 가지면서 세포 성장과 조직 재생을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 하여야 한다. 기존의 바이오 잉크의 대부분은 자연 유래 하이드로겔 물질을 사용하게 되나, 일반적으로 낮은 물리적인 특성으로 안정적인 3차원 지지체를 제작하기 어렵다. 


따라서 주로 화학적 광가교제를 첨가한 바이오 잉크 출력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출력된 지지체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지지체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데, 세포독성을 발생시키는 한계점을 가진다. 따라서, 추가적인 화학적인 가교 과정 없이 높은 해상도로 출력이 가능하면서 조직 재생 유도 효과를 줄 수 있는 새로운 바이오 잉크 개발이 필요하다.

기존의 바이오 잉크는 조직 재생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세포를 도입시켜 제작하는데, 외부에서 다수의 세포를 증식시켜야 하여 시간과 비용적으로 부담이 크다. 게다가 외부 세포를 치료에 이용하는 경우 부작용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세포를 포함하지 않은 바이오 잉크로 3차원 지지체를 제작 후 이식하고, 바이오 잉크 내로 환자의 자가 세포가 유입되어 조직 재생을 유도 시킬 수 있는 바이오 잉크가 경제적이고 안전할 수 있다.

현재 뼈 결손의 치료방법은, 주로 수술을 통해 뼈를 고정 하거나 자연 골조직을 이식하는 방식으로 비용과 부작용의 위험도가 높다. 따라서, 3D 프린팅기술을 이용하여 환자에 맞는 지지체를 설계하여 이식할 수 있고, 지지체가 체내에서 생분해되면서 자연 뼈 조직이 재생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2.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온도감응성 폴리포스파젠계 하이드로겔 바이오 잉크를 개발하였다. 폴리포스파젠 고분자에 소수성 아미노산인 아이소류신, 친수성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을 결합시켜 양친성 성질을 띤 물질을 만들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소수성결합이 증가해 3차원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따라서 화학적인 가교형성 없이 온도증가만으로 물리적인 특성을 조절하는 특성을 가져 추가적인 가교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러한 온도변화 (5~37도)에서도 물리적 특성을 크게 조절할 수 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화학적 가교 과정 없이 3차원 지지체를 높은 해상도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뼈 조직 재생과 세포 유입에 큰 영향을 주는 성장인자를 이온성, 소수성 상호작용으로 바이오 잉크에 담지하여 조직 재생을 유도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세포 도입없이 바이오 잉크와 성장인자만으로 주변 세포를 유입시키고, 뼈 조직을 재생할 수 있는 바이오 잉크로 설계하였다. 개발된 바이오 잉크를 이용해 3D 프린트한 지지체를 쥐의 두개골에 8 mm의 손상 부위를 내고 이식하였을 때, 주변 조직에서 다수의 세포가 유입되어 뼈 조직 재생을 유도하였다. 또한, 이식된 지지체는 서서히 환부에서 분해되고 8주 후 뼈 조직이 정상 조직 수준 까지 재생됨을 확인하였다.


□ 연구를 시작한 계기나 배경은?

◯ 현재 바이오 잉크로 사용 가능한 생체 재료가 한정적이며, 재료 마다 장점과 한계점이 명확하다. 따라서 기존에 한계점을 개선하고 범용적 적용 가능성이 크고 상용화까지 가능한 새로운 바이오 잉크 기술을 개발 하려 하였다.


□ 이번 성과, 무엇이 다른가?

◯ 기존의 바이오 잉크에서 주로 사용되는 화학적 광가교과정 없이 온도 조절만 가지고 높은 출력 해상도를 가지고 조직 재생을 유도하는 새로운 온도감응성 바이오 잉크 기술을 개발하였다. 게다가 바이오 잉크에 외부에서 증식 시킨 세포를 포함하지 않아도 높은 생체활성으로 주변 조직으로부터 세포를 유입시키고 유입된 세포와 성장인자로 조직 재생을 유도 시킬 수 있는 바이오 잉크이다.


□ 실용화된다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나?

◯ 본 연구에서는 뼈 조직 재생에 이용하였지만, 담지시키는 성장인자를 다양화 하여 뼈를 포함하여 피부, 연골, 지방 등 다양한 조직 재생용 바이오 잉크로 적용 범위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 기대효과와 실용화를 위한 과제는?

◯ 현재 관련 기술을 ㈜넥스젤바이오텍으로 이전하여 상용화 단계에 있다. 성장인자를 포함하지 않은 바이오 잉크부터 다양한 성장인자를 도입한 바이오 잉크까지 제품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하지만, 기존에 치료용으로 사용되지 않은 생체재료로써, 실제 생체 이식용 바이오 잉크로 사용하기 위해 추가적인 안전성 검증과 임상적인 유의성을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