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연구성과

저산소증 활용한 뇌 혈류 측정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 등록일2024-03-26
  • 조회수834
  • 분류 생명 > 생명과학,   생명 > 보건의료학,   기타 > 기타
  • 성과명
    저산소증 활용한 뇌 혈류 측정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 저널명
    Science Advances
  • IF
    13.6 (2022년 기준)
  • 저널링크
  • 연구자명
    김성기,Thuy Thi Le
  • 연구기관
    기초과학연구원
  • 사업명
    기초과학연구원 지원사업
  • 지원기관
    기초과학연구원
  • 보도자료발간일
    2024-03-20
  • 원문링크
  • 키워드
    #저산소증 #뇌 #혈류 #패러다임
  • 첨부파일
    • hwpx [IBS 보도자료] 저산소증 활용한 뇌 혈류 측정의 새로운 패러다임... (다운로드 442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핵심내용

 

 

저산소증 활용한 뇌 혈류 측정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 IBS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정확·반복 가능한 혈류 측정 방법 개발 -

- 뇌질환 조기진단 및 진행 경과, 치료 효과 모니터링 가능 -

 


◈본문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김성기 단장(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 메디컬공학과 석좌교수) 연구팀은 일시적인 저산소 상태를 유도해 조직과 장기에 공급되는 혈액의 흐름, 즉 혈류(관류)를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


뇌 혈류는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뇌의 노폐물을 제거하고 산소 및 영양분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뇌질환의 바이오마커 역할을 한다. 기존 자기공명영상(MRI), 양전자방출 단층촬영(PET), 컴퓨터단층촬영(CT)과 같은 혈류 측정 방법은 방사성 화합물, 조영제 등 외인성 추적자가 필요하다. 하지만 방사선 노출이나 조영제 허용치 등의 한계로 인해 반복적인 촬영이 어려웠다.


이번 연구에서는 체내 존재하는 디옥시헤모글로빈(deoxyhemoglobin; dHb) 헤모글로빈(hemoglobin)은 적혈구에서 철을 포함하는 붉은 색 단백질로, 혈류를 통해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헤모글로빈에 산소가 결합하면 옥시헤모글로빈(oxyhemoglobin)이며, 산소와 결합하지 않는 헤모글로빈은 디옥시헤모글로빈(deoxyhemoglobin)이다.


에 주목했다. MRI 기법으로 혈류를 측정할 때 혈류지표인 뇌혈류용적(CBV)과 뇌혈류량(CBF)을 주로 사용하며, 이는 저산소 환경에서 측정이 쉽다는 특징이 있다. 산소가 부족해지면 산소와 결합하지 않는 dHb의 농도가 일시적으로 높아지는데, dHb는 자성을 띠어 혈류 측정에 이용되는 MRI 신호 변화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이에 연구진은 흡입마취 상태인 쥐 모델에 질소가스를 5초 동안 노출해 저산소 상태를 유도하고, 발생한 MRI 신호 변화를 통해 CBV와 CBF를 측정했다. 이 방법은 MRI 신호 검출 민감도를 높여 더욱 정확한 혈류 측정을 가능케 했다. 또한, 일시적인 저산소 상태는 수 초간 숨을 참는 것이나 다름없어 실험 쥐에 미치는 생리학적 영향이 미미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시스템은 흡입마취제뿐만 아니라 주사용 마취제를 투여한 쥐 모델에서도 질소가스를 성공적으로 전달하고 뇌 혈류를 정량적으로 측정했다. 이는 기존방법에 비해 비침습적이고, 신호 감도가 높아 작은 MRI 신호 변화도 민감하게 측정 가능하다는 의미다.


새로운 혈류 측정 시스템은 단기간에 반복측정이 가능해 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뇌 조직뿐만 아니라 온몸에 걸쳐 발생하는 허혈성 질환, 암 질환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치료약물 투여 전후의 변화도 측정할 수 있어, 전임상·임상 약효 유효성 평가에도 활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김성기 단장은 “혈류지표의 측정은 치매, 뇌종양 등 다양한 뇌질환의 조기진단 및 진행 경과, 치료 효과의 모니터링에 중요하다”며, “향후 사람에게도 적용 가능한 혈류 측정 방법의 개발이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온라인판에 2월 28일(한국시간) 실렸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상세내용

 연 구 추 가 설 명


논문/저널/저자

Mapping cerebral perfusion in mice under various anesthesia levels using highly sensitive BOLD MRI with transient hypoxiaSCIENCE ADVANCES (2024)/ Thuy Thi Le, 임근호이찬희최상한김성기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adv.adm7605

연구내용

보충설명

본 연구는 자기공명영상(MRI)을 이용해 소동물(마우스랫트 등조직 및 장기 등에 혈액의 흐름 즉관류(perfusion)를 비침습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생의학 관련 분야에서는 관류로 표현되나 대중의 이해를 돕기 위해 혈류로 표현했다.

일반적으로 MRI에서 혈류측정은생체 내 혈액에서 발생하는 MRI 신호 변화량(T1, T2, T2*)을 측정해 관심 영역의 혈류용적(blood volume), 혈류량(blood flow) 등 혈류지표를 계산한다본 연구는 질소(N2) 가스를 수 초간 흡입하면 일시적인 저산소 상태에서 발생하는 혈액 내 MRI 신호 변화를 이용해 혈액의 흐름과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다또한소동물 MRI 실험은 대부분 주사마취제 혹은 흡입마취제(inhalation anesthetic agent)로 소동물을 마취해 실험한다본 연구에서 마취제는 아이소프로란(Isoflurane) 흡입마취제(inhalation anesthetic agent)를 사용했다특별히 제작·고안된 고정/공급장치(animal cradle)와 기존 가스공급 장치를 결합한 시스템에 흡입마취제와 관류측정용 질소가스를 사용해 소동물 생체 내 혈류를 측정했다또한동물실험의 대표적인 주사제 마취약인 덱스메데토미딘(Dexmedetomidine)과 케타민(Ketamin)을 이용한 마취 상태에서 혈류측정 연구도 진행했다.

연구 이야기

[연구 과정]

본 연구는 기존방법으로 마우스에서 혈류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시작됐다우선 혈류 변화를 가장 잘 반영하는 MRI 방법을 찾아야 했는데이 분야의 석학인 김성기 단장이 가스 자극에 의한 혈류 반응을 이용하자고 제안했다이는 결국 문제 해결의 출발점이 됐다.

이를 구현하고자 여러 장비를 제작했고제작된 시스템에서 얻은 영상신호로 혈류지표를 계산하는 방법을 모색했다혈류가 반영된 영상을 완성하고 이를 마취약별로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어려웠던 점]

큰 어려운 점은 없었지만 여러 장비와 고정장치를 직접 제작해야 했다. 3D 프린터를 이용하기 위해 CAD 프로그램을 배우고제작·실험·수정하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한 후 시스템을 완성할 수 있었다여러 종류의 마취약을 실험하기 위해 흡입정맥주사복강주사 등 다양한 마취약 투여방법에 대한 연습이 필요했다.

[성과 차별점]

다른 영상장치(PET, CT, 초음파 등및 기존 관류측정 방법은 대부분 방사성화합물 혹은 조영제를 정맥에 주사한다따라서 측정에 실패할 경우 최소 수일 이상 지나야 재촬영이 가능하고소동물에서는 측정 영역 및 해상도 관련 제한점도 많다.

새로 개발된 방법은 기존과 달리 실제와 유사한 뇌혈류량 측정이 가능하고 신호대잡음비가 높으며뇌뿐만 아니라 다른 조직 및 장기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관류측정 기술 시스템은 한 개체를 짧은 시간 내 반복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시간 단축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몸 전체 조직 및 장기에 발생하는 다양한 허혈성 질환 또는 암 질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치료약물 투여 전후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전임상/임상 약효 유효성 평가에 중요한 기술로 사용될 수 있다추적 관찰하는 연구 및 평가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향후 연구계획]

저산소증으로 인한 생리학적 변화를 완화하기 위해보다 가벼운 저산소 자극을 위한 혼합가스 사용 연구와 이산화탄소(CO2), 산소(O2) 등에 다른 가스 자극을 이용하는 혈관 생리학 연구

뇌종양(Tumor), 뇌졸중(Stroke), 허혈성 질환(Ischemia) 등에 쥐 질병 모델을 이용한 적용 연구

현재 1초 정도인 시간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 다중 슬라이스 샘플링과 같은 여러 MRI 기법 및 분석 방법 적용 연구

사람에 적용 가능한 가스 전달 및 자극 시스템 개발




 그 림 설 명


[그림1] 혈류 측정 시스템 구성도 및 질소-마취 가스공급 패러다임에 의한 MRI 신호 변화. 

(A) 휘발성 마취제가 공급된 쥐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가스공급 시스템이다. 가스공급은 마취제가 포함된 의료용 가스와 저산소 가스 사이를 전환하는 TTL(Transistor-Transistor Logic) 신호를 사용해 MRI와 동기화된다. 가스는 쥐의 코에 맞는 입구 2개와 음압 출구 1개가 있는 노즈콘을 통해 전달된다. (B) 가스 자극을 위한 블록 설계이며, (C) 가스 자극에 의한 MRI 신호 변화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덱스메데토미딘+아이소플루레인(0.3%), 아이소플루레인(1%, 1.5%, 2%) 등 4가지 마취 조건에서 뇌 혈류지표를 측정·계산해 쥐 MRI 뇌 영상에 맵핑한 영상과 수치 결과

[그림 2] 덱스메데토미딘+아이소플루레인(0.3%), 아이소플루레인(1%, 1.5%, 2%) 등 4가지 마취 조건에서 뇌 혈류지표를 측정·계산해 쥐 MRI 뇌 영상에 맵핑한 영상과 수치 결과(그래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