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연구성과
한의학연, 경도인지장애 조기 진단에 한 발 더 다가서
- 등록일2024-05-29
- 조회수801
- 분류 생명 > 보건의료학
-
성과명
한의학연, 경도인지장애 조기 진단에 한 발 더 다가서
-
저널명
Alzheimer’s Research & Therapy
-
IF
9 (2022년 기준)
- 저널링크
-
연구자명
김재욱
-
연구기관
한국한의학연구원
-
사업명
한국한의학연구원 기본사업
-
지원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보도자료발간일
2024-05-23
- 원문링크
-
키워드
#경도인지장애 #조기 진단 #한의학연
- 첨부파일
핵심내용
한의학연, 경도인지장애 조기 진단에 한 발 더 다가서
- 뇌 내 반응 변동성에 주목, 새로운 바이오마커 발견 -
◈본문
< 보도자료 요약 >
1. 한의학연, MCI(경도인지장애) 조기진단을 위한 새로운 바이오마커 발견
2. 뇌파측정장치를 사용해 MCI환자 뇌 반응의 변동성과 불안정에 주목(기존 연구와 차별)
3. 기존 진단 도구의 약점을 보완하고, 진단기술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상세내용
□ 한국한의학연구원(원장 이진용, 이하 한의학연)은 디지털임상연구부 김재욱 박사 연구팀이 MCI(경도인지장애) 조기진단을 위한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 인지장애를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조기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 이번 연구를 통해 관련 진단도구 및 진단기술 향상과 함께, 한의디지털헬스기술의 발전도 이끌어낼 것으로 보인다.
□ 본 연구 성과는 국제저명학술지인 ‘Alzheimer’s Research & Therapy’(알츠하이머 연구&치료, IF:9.0)에 2024년 4월 4일 게재됐다.
※ 논문명: Prefrontal intra-individual ERP variability and its asymmetry: exploring its biomarker potential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 연구팀은 EEG(전두엽 2채널 뇌파측정장치)를 활용, MCI환자군 (481명)과 정상인지기능군(1,043명)의 청각자극에 반응하는 선택적 주의력 ERP(특정사건 관련 뇌 내 반응)를 측정했다.
◦ 선택적 주의력 측정을 위해서, 5분 동안 256개의 표준자극과 64개의 목표자극을 무작위로 제시해 신호대잡음비를 높였다. 대상자는 표준자극에 대해서는 가만히 있고, 목표자극에 대해서는 버튼을 누르는 과제를 수행했다.
□ 연구팀은 반복되는 청각자극에 대해 300 ms 근처에서 관찰되는 평균 뇌전위의 최대 크기나 반응시간을 주로 비교했던 기존 연구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각각의 ERP 간의 변동성에 더 주목했다.
◦ MCI환자에게 반복적으로 청각자극을 주고 뇌 반응을 측정한 결과, 건강한 사람보다 변동성이 더 크다는 것을 알아냈다.
□ MCI환자들은 동년배의 건강한 사람에 비해 뇌 반응의 변동성이 약 12%~18% 증가한 것이다.
◦ △감각정보를 인지하는 초기 뇌반응(자극 후 0.2초)에서는 변동성이 약 12% 증가했고, △감각정보의 차이를 선택적으로 인지하고 평가하는 것과 관련된 뇌반응(자극 후 0.3초)에서는 진폭의 변동성이 약 18%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는 MCI환자군의 신경처리과정이 다소 불안정하고, 집중력 지속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고 비효율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 연구팀은 해당 ERP 변동성 지표를 기존의 ERP 지표나 신경 심리학적 검사 결과와 통합하면 경도인지장애 환자 변별력이 향상될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 한의학연 김재욱 박사는 “기존 신경심리학적 검사는 인지장애의 최종결과만을 평가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지만, ERP측정은 감각-지각-주의-집중-인지-기억-재인 등 뇌인지 전체 과정에 대한 정밀 평가가 가능하다. ERP 측정으로 더 체계적이고 정밀한 치매 조기선별 모델 개발이 목표”라면서, “간단한 밴드형 뇌파 장비를 보건소, 한의원을 포함한 1차 의료기관에 보급하여 건강한 고령사회를 견인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라며 포부를 밝혔다.
□ 본 연구는 한국한의학연구원 기본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 과제명(KSN1824130): AI 한의사 개발을 위한 ICT 기반 한의 중점 질환 진단 예측 기술 개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