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연구성과

자기장으로 뇌 자극해 행동·감정 조절에 성공

  • 등록일2024-07-08
  • 조회수1104
  • 분류 생명 > 보건의료학,   종합 > 종합,   종합 > 종합,   종합 > 종합
  • 성과명
    자기장으로 뇌 자극해 행동·감정 조절에 성공
  • 저널명
    Nature Nanotechnology
  • IF
    38.1 (2023년 기준)
  • 저널링크
  • 연구자명
    천진우,곽민석,이재현,최서현
  • 연구기관
    기초과학연구원, 연세대학교
  • 사업명
    기초과학연구원 지원사업
  • 지원기관
    기초과학연구원
  • 보도자료발간일
    2024-07-04
  • 원문링크
  • 키워드
    #기초과학연구원 #자기장 #뇌 자극 #조절
  • 첨부파일

핵심내용

 

 

자기장으로 뇌 자극해 행동·감정 조절에 성공


-IBS 나노의학 연구단무선으로 뇌 회로 제어하는 나노-MIND 기술 개발-

-감정사회성식욕 조절 가능성 동물실험서 검증차세대 BCI 등 응용 기대-


 


 자기장으로 뇌 회로를 조절해 행동·감정의 비밀을 밝혔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나노의학 연구단 천진우 단장(연세대 언더우드 특훈교수) 및 곽민석, 이재현 연구위원(연세대 고등과학원 교수) 연구팀은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단장 이창준)과 협업하여, 자기장을 통해 특정 뇌 신경회로를 무선 및 원격으로 정밀 제어하는 나노-MIND(Magnetogenetic Interface for NeuroDynamics)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인간의 뇌는 약 1,000억 개 이상의 뇌 신경세포(뉴런)와 여러 가지 뉴런으로 구성된 더 많은 수의 뇌 회로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특정 뇌 회로를 제어하는 것은 인지, 감정, 사회적 행동 등 고차원적 뇌 기능의 원리를 규명하거나 각종 뇌 질환의 원인을 알아내는 데 필수적이다. 이뿐만 아니라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뉴럴링크(Neuralink)에서 보듯 생각만으로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BCI): 뇌와 외부 장치 간의 직접적인 상호작용 방식. 인간의 두뇌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하여 뇌파를 통해 컴퓨터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기술을 총칭.

발전에도 꼭 필요하다. 궁극적으로 BCI는 뇌와 컴퓨터 간 양방향 무선 통신을 실현해, 기기 제어뿐만 아니라 컴퓨터 정보를 습득해 뇌 능력을 향상하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이다.

한편 자기장은 생체 투과율과 안전성이 뛰어나 MRI에서처럼 생체 신호를 읽어내 질병을 진단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하지만 자기장으로 특정 생체 신호를 조절하거나 뇌 회로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은 과학계의 난제였다.

연구진은 자기장을 이용한 차세대 자기유전학(magnetogenetics) 자기유전학(magnetogenetics): 자기장에 의한 자기 액추에이터(magnetic actuator)의 기계적 자극으로 세포 수용체 또는 세포 내 신호를 활성화해 세포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의학 연구 기술을 총칭.

나노-MIND 기술로 특정 뇌 회로를 자유자재로 제어해 동물의 감정, 사회성, 동기부여 등 고차원적인 뇌 기능을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은 자기장과 자성을 띠는 나노입자를 이용해서 원하는 뇌 회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핵심은 원하는 뇌 회로에 나노-자기수용체(nano-magnetoreceptor) 나노-자기수용체(nano-magnetoreceptor): 자성 물질을 기반으로 하는 자성 나노입자 및 이와 결합해 힘(torque)으로 열리는 기계적 민감 이온 채널인 자기수용체의 합성어.

를 생성시키고, 원하는 시점에 회전자기장 자극을 줘 뇌 회로의 시공간적 제어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우선, 나노-MIND 기술로 모성애를 담당하는 전시각중추(medial preoptic area, MPOA)2) 전시각중추(medial preoptic area, MPOA): 간뇌와 종뇌의 증식 영역에서 파생된 뇌 부위. 성적(sexual) 행동 및 부모 돌봄(parental) 행동과 같은 선천적 기능을 조절.

의 억제성 가바(GABA)3) 억제성 가바(GABA): Gamma-Aminobutyric acid의 약자. 비단백질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뇌 신경세포 활성을 억제하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뇌 회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해 감정 및 사회성 조절이 가능함을 보여줬다. 모성애를 조절하는 뇌 회로가 활성화된 쥐는, 어미 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어린 쥐를 자신의 둥지로 데려오는 등 어린 쥐에 대한 돌봄 행동이 크게 촉진됐다.

또한, 음식 섭취는 외측 시상하부(lateral hypothalamus) 외측 시상하부(lateral hypothalamus): 생리적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식욕 및 에너지 항상성에 대한 반응을 포함해 생존과 관련된 다양한 생리 기능 조절의 핵심 영역.

의 동기부여 뇌 회로를 활성화해 조절할 수 있었다. 나노-MIND 기술로 동기부여 회로의 억제성 뉴런을 활성화한 쥐는 식욕과 섭식 행동이 100% 증가했다. 반대로 흥분성 뉴런을 활성화할 경우 쥐의 식욕과 섭식 행동이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

이번 연구는 나노-MIND 기술로 원하는 뇌 회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해 고차원적 뇌 기능을 양방향으로 조절 가능함을 나타내며, 다양한 종류의 뇌 회로에도 적용 가능한 기술임을 보여준다.

천진우 단장은 나노-MIND 기술에 대해“자기장으로 특정 뇌 회로를 자유자재로 조절한 경우는 세계 최초로 뇌과학의 차세대 플랫폼 기술이 될 것”이라며, “뇌 회로의 기능 및 작동 원리 규명, 정교한 인공신경망 및 양방향 BCI 기술 개발, 뇌 신경질환의 새로운 치료법 개발 등 광범위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Nature Nanotechnology, IF 38.1)'에 7월 3일(한국시간) 게재됐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상세내용

 

연 구 추 가 설 명




논문/저널/저자

In vivo magnetogenetics for cell-type specific targeting and modulation of brain circuits / Nature Nanotechnology (2024)

최서현신지혜박찬현이정욱이재경류리암보유코신욱진김주영나정수신동훈김구름노건우고우현이창준이재현(공동교신저자), 곽민석(공동교신저자), 천진우(공동교신저자)

연구내용

보충설명

1. 자기유전학(Magneto-mechanical-genetics)

자기유전학은 자성나노입자로 역학적 힘에 감응하는 이온 채널을 활성화하는 기술이다작동 원리는 회전 자기장 자극으로 자성나노입자가 토크 힘(torque force)을 생성하면토크 힘에 감응하는 피에조-1 이온 채널이 활성화됨으로써 뇌세포 활성을 유도하는 것이다이 기술은 피에조-1 이온 채널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이온 채널에도 활용될 수 있다.

2. 특정 뇌 조직의 신경세포 활동

우리은하에 있는 별의 수만큼(약 1,000억 개뇌세포가 존재하며 약 천 개 이상의 신경세포 유형이 있다행동은 다양한 신경회로가 통합돼 나타나는데이러한 신경회로의 복잡한 연결을 해부하기 위해서는 특정 신경세포 유형을 식별하고 목표화하는 기술이 필요하다무선 자기유전학 기술은 세포 특이적으로 뇌세포를 활성화하고자유롭게 행동하는 동물의 뇌 신경을 조절할 수 있어 이 기술의 잠재력을 보여준다.

연구 이야기

[연구 배경]

뇌 연구는 지능정보를 근간으로 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인공지능 기술과 더불어 미래 기술의 진보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생각만으로 기계를 조종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Brain-Computer Interface) 기술을 개발 중인 뉴럴링크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는최근 원숭이 뇌에 전극 칩을 이식해 생각만으로 컴퓨터 마우스를 움직이는 데 성공했다. BCI는 인간이 생각만으로 외부 기계와 컴퓨터를 제어하고양방향 정보 전달을 가능케 하는 기술로 전 세계 많은 연구 기관이 개발 중이다. BCI는 의사소통이 어렵거나 몸이 불편한 환자에 도입돼 자유로운 의사 표현과 움직임을 도울 수 있고궁극적으로는 인간의 뇌를 컴퓨터 또는 AI와 직접 연결해 인간의 지능을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미래 우리 생활에 지대한 영향이 예상되는 BCI 기술은 뇌에 직접 전극을 삽입해 특정 뇌 지역을 자극하기 때문에 외과적 수술이 필요하고 침습적이라는 한계가 있다또한, BCI 장치의 기계적-화학적 특성은 부드러운 뇌 조직에 적합하지 않으며 인체 내에서 수명이 짧다또한우리의 의도나 감정은 특정 뇌 신경세포(뉴런)와 특정 뇌 회로의 활성으로 나타나며 이 회로들이 통합돼 복잡한 행동으로 실행된다하지만지금의 BCI 기술은 뇌의 전기 신호를 읽고 쓰는 기술이 부족하며 특정 뇌 회로 제어하기 위해 뇌세포를 선택적으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다따라서 특정 신경세포 유형을 식별하고 목표화하는 기술이 필요하다최근 bioelectronics 분야의 발전으로 뉴런이 생성하는 뇌의 전기 신호를 무선·비침습적으로 읽고 해석하는 기술은 크게 발전했지만뉴런에 신호를 전달해 뇌 회로의 활성을 조절하는 기술은 부족하다뇌 기능을 연구하거나 뇌신경질환의 메커니즘을 파악·치료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신경세포와 뇌 회로를 실시간으로 자극하고 신호를 측정하는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단 선행 연구에서 토크 힘을 발생하는 새로운 자성나노입자로 살아있는 쥐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음을 보이며 자기유전학 기술을 소개했다이번 연구에서는 자기유전학 기술로 특정 뇌 지역의 원하는 뇌 신경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자극해 특정 뇌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감정 및 행동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 과정]

연구진은 25nm 크기의 자성나노입자를 합성하고 이를 200nm 원형 지지체 표면에 단층으로 결합해클릭 결합(click reaction)으로 이온 채널에 발현하고 있는 태그(tag)에 결합할 수 있는 항체를 결합했다이 항체를 통해 세포막에 발현하는 피에조-1 이온 채널 특이적 타겟팅이 가능하다세포 특이적 나노-자기유전학 기술을 식욕 제어 동물 행동 모델에 적용했을 때뇌 심부 외측 시상하부의 억제성 가바 뉴런이 식욕 중추-뇌 회로를 활성화해 식욕을 촉진하고 섭식 행동이 2배 이상 증가했다반면흥분성 글루탐산 신경세포의 선택적 활성화는 식욕 중추-뇌 회로를 2배 이상 억제해 섭식 행동을 감소시켰다나아가 자기장 자극을 장기간 받은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쥐는 지속적으로 식이량이 감소했으며총 식이량은 약 50%, 체중은 약 10%, 지방세포 무게는 약 50% 감소했다.

또한외측 시상하부의 억제성 가바 신경세포를 자극받은 동물은 사회적 행동이 3배 이상 증가했다마지막으로 뇌심부 전시각중추의 억제성 가바 신경세포를 자극받은 암컷 쥐는 모성애 조절 신경회로가 활성화돼 양육 행동이 4배 이상 증가했다.

[성과 차별점]

자기유전학은 최소한으로 침투하고 무선으로 생체적합성 나노입자를 사용해 특정 뇌 회로를 제어한다기존 BCI 기술은 침습적이며 인체 내 낮은 생체적합성으로 인해 BCI 장치가 수명이 짧다는 점에서 차별된다. BCI는 특정 뇌 회로를 제어하기 위해 뇌세포를 선택적으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지만자기유전학은 특정 신경세포 유형을 식별하고 목표화할 수 있다또한특정 뇌 지역의 원하는 뇌 신경세포만을 자극해 특정 뇌 회로를 제어할 수 있어 동물의 감정 및 행동 제어가 가능하다더 나아가 기존 광유전학 기술은 침투 깊이가 제한되는데자기유전학 기술은 자기장의 특성을 이용해 뇌 심부 조직에 자극을 가할 수 있다광유전학 및 초음파 기술은 열 발생으로 세포 사멸이 생길 수 있어 장기적이고 반복적인 자극이 불가능하지만자기유전학 기술은 자기-역학적 메커니즘으로 이를 극복할 수 있다.

[향후 연구계획]

살아있는 생물 조직의 특정 세포를 자기장으로 제어하는 기술은 원하는 신경세포만을 빠르고 정확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다이를 BCI 응용 연구뿐만 아니라 뇌신경질환척수 질환중추-말초신경계 회로 기반의 만성 통증 등에 적용해 치료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그 림 설 명



[그림1] 나노-MIND 기술 개요. 특정 뉴런 및 뇌 회로 선택적 제어에 의한 고차원적 뇌 기능 조절


[그림1] 나노-MIND 기술 개요특정 뉴런 및 뇌 회로 선택적 제어에 의한 고차원적 뇌 기능 조절

나노-MIND 기술로 특정 뉴런과 뇌 회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해 동물의 감정사회성생존 욕구 등 고차원적 뇌 기능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이를 통해 다양한 뇌 회로의 역할과 작동 원리를 알아내어뇌과학 연구에 필수적이고도 더 나은 인공신경망 구축을 통해 AI 기술 발전에 활용될 수 있다.

 




[그림2] 나노-MIND 기술을 통한 특정 뉴런 및 뇌 회로 활성화


[그림2] 나노-MIND 기술을 통한 특정 뉴런 및 뇌 회로 활성화

) 1. Cre-loxP 유전공학 기술이 적용된 쥐 모델에서 원하는 타겟 뉴런에만 선택적으로 나노-자기수용체 발현. 2. 회전자기장 자극을 주었을 때타겟 뉴런의 나노-자기수용체가 활성화됨. 3. 타겟 뉴런이 관여하는 뇌 회로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되고 제어됨.

아래외측 시상하부의 나노-자기수용체 발현 모습 및 타겟 뉴런 활성화 모습나노-자기수용체(초록색)는 타겟 뉴런(빨간색)에만 선택적으로 발현하고 자기장 신호에 의해 활성도가 증가함.

 




[그림3] 나노-MIND를 활용한 사회성 및 감정 담당 뇌 회로 조절 실험


[그림3] 나노-MIND를 활용한 사회성 및 감정 담당 뇌 회로 조절 실험

1. 전시각중추(MPOA)의 억제성 뉴런에만 생성된 나노-자기수용체는 자기장 신호에 의해 MPOA의 억제성 뇌 회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함이를 통해 모성애 및 부모 행동을 담당하는 뇌 회로 조절이 가능함.

2. 자기장 자극이 가해지면 나노-자기수용체가 주입된 암컷 쥐는 어미 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모성애가 증가해 새끼 쥐를 찾아 자신의 둥지로 구조함그에 반해 대조군 암컷 쥐는 새끼 쥐에 대한 관심을 보이지 않음.

3. 나노-MIND 기술이 적용된 암컷 쥐에게서만 자기장 자극으로 모성애 담당 뇌 회로가 활성화돼 새끼 쥐를 모두 구조했으며 일반 쥐보다 돌봄 시간이 4배 이상 증가함.




[그림4] 나노-MIND를 활용한 동기부여 조절 뇌 회로의 양방향 조절


[그림4] 나노-MIND를 활용한 동기부여 조절 뇌 회로의 양방향 조절

1. 외측 시상하부(lateral hypothalamus, LH)의 흥분성 또는 억제성 뉴런에 선택적으로 발현된 나노-자기수용체를 통해 자기장 자극을 주었을 때동기부여 및 식욕을 담당하는 뇌 회로의 양방향 조절이 가능함.

2. 나노-MIND로 LH의 억제성 뉴런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면 쥐의 식욕과 섭식 행동이 2배 증가함반면나노-MIND로 LH의 흥분성 뉴런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면 쥐의 식욕과 섭식 행동이 절반 이하로 감소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