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연구성과

인체 핵심 장내미생물간의 생장조절 기전 규명

  • 등록일2025-09-02
  • 조회수407
  • 분류 생명 > 생명과학,   생명 > 생물공학,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성과명
    인체 핵심 장내미생물간의 생장조절 기전 규명
  • 저널명
    Nature Communications
  • IF
    15.7 (2024년 기준)
  • 연구자명
    남영도,김광순,이상남,홍문기,송은지,윤혜진
  • 연구기관
    한국식품연구원 , 포항공과대학교, 엔터비옴
  • 사업명
    한국식품연구원 주요사업,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LINC 3.0사업
  • 지원기관
    한국식품연구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 보도자료발간일
    2025-07-29
  • 원문링크
  • 키워드
    #장내미생물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인슐린 #유전체
  • 첨부파일
    • hwp 20250729_IF 15.7_인체 핵심 장내미생물간의 생장조절 기전 규명... (다운로드 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핵심내용

인체 핵심 장내미생물간의 생장조절 기전 규명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후보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의 생장 조절 기전 규명 -


한국식품연구원(원장 백현동이하 식품연)이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의 유력 후보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Akkermansia muciniphila미생물 그룹 간의 생장조절 기전을 밝혔다.

 

정상인의 장내에는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가 다수 존재하며면역 기능 및 인슐린 감수성 조절 등을 통해 인체 건강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품연 남영도 박사 연구팀은 포항공대 김광순 교수 연구팀 및 한국식품연구원 패밀리기업인 엔테로바이옴과 공동으로 대규모 한국인 장내미생물 정보를 분석했다그 결과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가 단일 종(species)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네 가지 서브타입(A. muciniphila clade I~IV)으로 구분되며대부분 개인의 장내에는 하나의 서브타입만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이를 바탕으로 각 서브타입 간 경쟁 관계가 형성될 것으로 가정하고유전체 및 생리적 특성 비교시험관 공배양 실험무균 마우스를 활용한 노토바이오틱스 실험 등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뮤신 활용성이 높은 A. muciniphila clade I(AmI)와 달리 뮤신 이용 능력이 제한적인 A. muciniphila clade II(AmII)는 졍쟁자인 AmI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생체의 장관에 정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AmII가 세포외 소포체를 통해 AmI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백질을 세포 밖으로 분비하며이 세포외 소포체가 AmI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제거하는 메커니즘을 확인했다또한, AmII의 세포외 소포체가 AmII 특이적 면역글로불린 A(IgA) 반응을 유도하여 AmII의 장내 정착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는 사실도 함께 밝혔다.

 

이라한 결과는 특정 아커만시아 그룹이 세포외 소포체를 매개로 경쟁 그룹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억제하는 새로운 생존 전략을 제시하는 것으로영양성분 활용에 불리한 아커만시아 서브타입이 경쟁자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방향으로 진화했음을 시사한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3월 온라인판에 게재되었으며해당 논문의 교신저자인 남영도 박사는 대규모 한국인의 장내미생물 정보를 바탕으로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서브타입 간 경쟁관계를 규명한 이번 연구는각 서브타입을 표적하는 정밀식이 기술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상세내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