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연구성과

난치성 질병의 유전자 치료 가능성 열려

  • 등록일2009-01-18
  • 조회수7397
  • 성과명
    난치성 질병의 유전자 치료 가능성 열려
  • 연구자명
    박종상 교수팀
  • 연구기관
    서울대학교 화학부
  • 사업명
    바이오기술개발사업
  • 지원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보도자료발간일
    2008-12-01
  • 원문링크
  • 키워드
    #유전자 치료법 #난치성 질병
  • 첨부파일

핵심내용

상세내용

- Biomaterials지에 게재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서울대학교 화학부 박종상 교수팀이 “뇌졸중과 녹내장의 유전자 치료에 응용 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 유전자 전달체”의 개발에 성공하였다고 밝혔다.

□ 박 교수팀은 뇌졸중과 녹내장 등 현재의 기술로는 완치가 힘든 질병에 대하여 유전자 치료법을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 난치성 질환의 치료법으로 유전자 치료법1)은 전 세계적으로 연구 중인 분야이다. 현재 적용 중인 유전자 전달법은 바이러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 바이러스 유전자 전달체는 암과 염증같은 부작용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 시스템2)은 바이러스를 이용하는 유전자 전달 시스템3)의 부작용을 제거하고자 도입된 방법으로 아직까지 고효율을 내는 전달체를 개발하지 못하여 전세계적으로 치료용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번에 개발된 생분해성 고분자 유전자 전달체는 시판 중인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체와 비교하여도 손색이 없는 효율을 보여주고 있으며 생체내에서 잔류하지 않아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신경세포에 그 전달효율이 10배 정도 향상되어, 독성에 매우 민감한 배양세포실험에서도 유전자 전달효율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 이 유전자 전달체의 개발로 인하여 뇌졸중과 녹내장 등 난치성 질병의 유전자 치료의 길이 열렸으며, 현재 동물 실험에서 그 효율이 입증 되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 박종상 교수팀의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가 지원하는 바이오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고, 연구 결과는 Biomaterials 인터넷판 11월 20일자에 게재되었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