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연구성과
항응고제 약물의 맞춤치료 기술 개발
- 등록일2009-03-16
- 조회수5964
-
성과명
항응고제 약물의 맞춤치료 기술 개발
-
연구자명
신재국 교수팀
-
연구기관
인제대 의대
-
사업명
선도연구센터육성사업
-
지원기관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재단
-
보도자료발간일
2009-02-25
- 원문링크
-
키워드
#약물맞춤치료 #항응고제 #와파린용량
- 첨부파일
핵심내용
상세내용
- 임상자료 및 유전체 자료를 이용한 와파린용량 예측 -
□ 항응고제인 와파린(쿠마딘)을 개인의 유전자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개인별 와파린 맞춤 약물요법을 예측 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신재국(申載國, 47세)교수팀을 포함한 9개국 21개 팀이 참여한 국제 와파린 약물유전체 공동연구 컨소시엄에 의해서 개발 되었다.
○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재단이 지원하는 선도연구센터육성사업(구 기초의과학연구센터) 및 보건복지가족부 약물유전체사업단의 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의 의학 저널인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2월 19일 자에 게재되었다.
□ 와파린은 심방세동, 심부정맥혈전증, 심장판막치환술 등의 질환에서 혈액이 응고되어 혈관이 막히는 혈전, 색전증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로, 조금이라도 용량이 부족할 경우에는 혈관 막힘에 대한 치료 실패로 중풍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고, 용량이 과할 경우에는 뇌출혈 등으로 심한 경우 사망을 초래한다.
○ 와파린의 적정 용량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최적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최대 100배 까지 개인별 차이가 있어서, 개개인 환자에게 최적의 와파린 치료를 위한 용법 조정은 의료진의 골치 거리의 하나로 잘 알려져 있다.
○ 와파린 용량의 개인 차이를 초래하는 원인으로는 환자의 연령, 체중, 병용 투여 약물 등 다양한 요인이 알려져 왔으나, 최근 약물유전체 기술이 도입됨으로써 환자의 유전적 소인이 이를 유발 하는 핵심적인 중요 요인이라는 것이 새로이 알려졌다.
○ 간에서 와파린 약물대사에 관여하는 CYP2C9효소의 유전자변이 및 혈액응고인자의 생성을 예방하기 위해 와파린이 결합하는 VKORC1의 유전자 변이가 있는 환자에서는 와파린의 출혈 부작용 위험도 또는 초기 치료실패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환자의 모든 유전적 및 후천적 요인을 고려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최적의 개인별 맞춤약물치료를 예측 하는 것은 21세기 맞춤의학 시대로 나아가기 위한 의료계의 핵심 과제로 제기되었고,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국제공동연구팀을 구성하여 약물유전체 기반의 와파린 맞춤약물치료 라는 신의료기술을 개발하게 된 것이다.
○ 이번 연구를 통해서 전체 와파린 투여 환자 5,000여명 중 46%를 차지하는 하루 3mg 이하의 저용량이나 7mg 이상의 고용량을 복용하는 환자들은 유전자 정보로 용량을 예측할 때 훨씬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한국인을 포함한 아시아인은 백인이나 흑인에 비해서 적정 와파린 용량이 일반적으로 매우 작게 필요하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는 아시아인이 백인 환자 용량 대비 67% 정도, 흑인 환자 대비 55% 정도 필요한 것이다.
□ 신재국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가 “약물유전체학적 기반 기술을 이용하여 환자의 유전적 및 후천적 정보를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개인별 맞춤약물치료를 하기 위한 최초의 국제공동컨소시엄 과제로 21세기 맞춤의료 시대로 나아가기 위한 연구개발의 미래 방향을 제시하는 모델이 되었다.”며,
○ “지난해 8개국 아시아 약물유전체 연구자들이 주축이 되어 신재국 교수가 주도적으로 설립하고 운영책임자를 맡고 있는 ‘아시아 약물유전체 연구 네트워크’ 는 아시아인 환자들의 맞춤약물치료 기술 개발을 위한 장(場)이 될 것이며 이러한 네트워크에 국내 관련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동참과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붙임 :
1. 용어설명
2. 그림설명
3. 신재국 교수 이력사항
2. 그림설명
3. 신재국 교수 이력사항
문의처 :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신재국 교수(051-890-6709, 010-8520-7971)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김호숙 박사(051-890-6411, 011-9556-9252)
교육과학기술부 기초연구지원과 이규만 사무관(02-2100-6828)
한국과학재단 집단연구사업팀 배찬우(042-869-6351)
한국과학재단 홍보팀 김태성(042-869-6112)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김호숙 박사(051-890-6411, 011-9556-9252)
교육과학기술부 기초연구지원과 이규만 사무관(02-2100-6828)
한국과학재단 집단연구사업팀 배찬우(042-869-6351)
한국과학재단 홍보팀 김태성(042-869-6112)
☞ 자세한 내용은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