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연구성과
바이오연료 후보 미생물 찾았다
- 등록일2022-11-03
- 조회수1914
- 분류 기타 > 기타
-
성과명
바이오연료 후보 미생물 찾았다
-
저널명
Bioresource Technology
-
IF
11.889
-
연구자명
김창무
-
연구기관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
사업명
환경부 사업
-
지원기관
환경부
-
보도자료발간일
2022-11-03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연료 #미생물
- 첨부파일
핵심내용
바이오연료 후보 미생물 찾았다
기존 미생물보다 빨리 증식하고 바이오연료 2배 생산 가능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기존 미생물(미세조류)보다 빠르게 증식하며 바이오연료*를 2배 생산할 수 있는 자생 미생물을 최근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 미생물, 식물, 동물 등의 생물체(바이오매스)를 통해 생산한 연료(바이오에탄올, 바이오디젤, 바이오가스)를 뜻함
○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진은 2020년 경남 달성군 낙동강 수변에서 난배양성 자생 미생물 ‘슈드아나배나 뮤시콜라 지오0704(이하 지오0704)’를 채집한 뒤에 2021년 2월부터 최근까지 관련 연구(환경 마이크로바이옴*)에 들어갔다.
* 수생태계, 동물의 장기 등 특정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곰팡이, 원핵생물 및 바이러스 등)의 집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
○ 연구진은 ‘지오0704’의 배양에 성공*했으며, 빠른 생육 특성을 보이는 이 미생물이 바이오연료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을 확인했다.
* 세포의 길이가 3㎛ 이하로 매우 작아 순수 분리하기가 어렵고, 최적의 생장 조건 등이 알려져 있지 않아 응용 연구가 거의 없었음
□ 자생 미생물인 지오0704의 가장 큰 특징은 매우 빠르게 증식하는 것으로 기존에 연구된 미생물(미세조류)이 일반적인 광배양 조건에서 수확까지 3주 정도 소요되는데 비해 이 미생물은 1주 이내에 수확할 수 있다.
□지오0704의 빠른 생육은 발효 과정 등을 통해 바이오연료(바이오디젤과 바이오에탄올)를 생산하는 미생물로 활용될 수 있다.
○ 연구진은 이 같은 특성에 착안하여 최윤이 고려대 교수 연구진과 함께 지오0704의 바이오연료 생산량을 늘리는 최적의 배양조건을 찾는 연구를 수행했다.
○ 그 결과, 혼합영양 배양 과정에서 휘발성지방산 중 아세트산나트륨을 첨가했을 때 최적의 배양 기간을 4일까지 단축시켰고, 부틸산을 첨가했을 경우 1일당 바이오연료 생산량이 2배 이상 향상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일반적인 미생물(미세조류)의 상위 20% 이내에 해당하는 바이오연료 생산성을 보인 것이다.
○ 특히, 아세트산이나 부틸산은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유기물이 분해될 때 얻을 수 있는 물질로 포도당과 같은 값비싼 재료를 배양과정에서 쓰지 않기 때문에 바이오연료 생산 비용이 절감되고 자원순환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진은 아세트산을 활용한 바이오연료 생산 연구 결과를 에스씨아이이(SCIE) 학술지인 한국미생물공학회지 제이엠비(JMB) 10월호에 게재했으며, 부틸산을 활용한 바이오연료 생산향상 결과는 바이오연료 관련 저명 학술지인 바이오리소스 테크놀로지(Bioresource Technology)에 게재할 예정이다.
□ 한편, 국립생물자원관은 지오0704의 특성을 유전체* 수준에서 밝히는 연구를 추가로 진행하여 향후 생산성 증대를 위한 유전공학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 한 개체의 총 염기서열로, 한 생물종의 거의 완전한 유전 정보의 총합
□ 김창무 국립생물자원관 미생물자원과장은 “미세조류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온실가스 저감효과도 있어 차세대 바이오연료 소재로 유망한 생물”이라며, “앞으로 다양한 연구를 통해 실제 바이오연료로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상세내용
연구이야기
붙임1. 바이오연료 후보 자생 미세조류 사진
자생 미세조류 슈드아나배나 뮤시콜라 지오0704(Pseudanabaena mucicola GO0704)의 형태: 광학현미경(좌), 형광현미경(우) |
광합성 색소 막이 동심원 형태로 배열된 슈드아나배나(Pseudanabaena) 세포 횡단면 (투과전자현미경) |
붙임2. 자생 미세조류를 활용한 바이오연료 생산성 연구 결과
자생 미세조류를 활용한 바이오연료 생산성 연구 과정 |
자생 미세조류 슈드아나배나 뮤시콜라 지오0704(Pseudanabaena mucicola GO0704)와 국외 남조류의 생산성 비교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미생물-전극 간 전자 흐름의 재설계: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인터페이스 기술의 융합 2025-03-31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 BioINwatch 피부 유익균을 활용한 바르는 미생물 백신 2025-02-04
- BioINpro [2024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하)] 바코드 미생물 2024-06-26
- BioINwatch 장내 미생물은 보호하면서도 병원성 세균만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항생물질 발굴 2024-06-13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