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중국 유아용 화장품 시장 동향

  • 등록일2021-10-07
  • 조회수468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중국 유아용 화장품 시장 동향


◈목차

 

시장규모 및 동향

수입 규모 및 동향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상품

판매경로 및 주요 소비계층의 특징

관세율 및 수입절차의 규제

시사점


◈본문


- 중국의 소비 주역 ‘90허우’ 관심으로 유아용 화장품 소비시장 확대 -

 

- 유아 피부에 맞는 무해 성분 및 프리미엄 제품에 주목 -
 
시장 규모 및 동향 
 
2014-2020년 중국 출생 인구 수 / 중국 영유아 산업 시장 규모 추이 비교
 

1.jpg

자료: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유로모니터(Euromonitor)
 
닐슨에서 발간한 《2021 산모 및 영유아산업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출생 인구수는 계속 감소하는 반면 영유아 전체 산업 시장 규모는 매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고속성장과 정보화시대 속에 자라 교육 및 임금수준이 높은 ‘90허우’ 세대가 점차 출산 적령기에 접어들며 주력 소비층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는 산업 전체 규모 성장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iiMedia Researh사에 따르면 이들의 육아 관련 지출 비중은 전체 수입의 20~30% 이상을 차지한다고 밝혔다. 또 이전 세대에 비해 경제력이 제고됨에 따라 육아에 대한 소비개념도 지속적으로 변화되어 가격보다는 품질을 더 중요시하는 프리미엄 육아용품 소비 역시 떠오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 유아용 화장품 시장 규모(2016-2023E)

2.jpg

 
자료: iiMedia Research(艾媒咨询), 유로모니터(Euromonitor)
 
전체 영유아 산업 규모가 확대되면서 유아용 화장품 시장의 규모도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다. 2020년 기준 284억4000만 위안으로 전년대비 약 10% 증가했으며, 2021년에는 358억1000만 위안으로 전년대비 시장 규모액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또한, 최근 ‘세 자녀 정책’ 법제화로 출산을 장려하는 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향후 2022년, 2023년에도 유아용 화장품 소비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수입 규모 및 동향 
 
중국 유아용 화장품(HS Code 330499 기준) 상위 10개국 수입액 현황 (단위: 천 달러)
 

3.jpg

자료 : Global Trade Atlas(2021.8.31.)
 
중국 유아용 화장품 수입 규모 중 상위국가는 일본, 프랑스, 한국으로 각 1, 2, 3위를 차지하고 있다. 2016~2020년까지 중국의 대한국 수입액은 꾸준히 증가했으며 코로나19 사태에도 불구하고 큰 타격이 없는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는 마스크 착용 장기화로 피부 보호에 대해 관심이 높아진 소비자들이 유아용 화장품과 같이 순한 성분의 제품을 많이 찾기 시작하면서 불러일으킨 효과로 보인다.
 
제일재경상업데이터(CBNData) 《2018 국경 간 수입 소비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유아용 화장품 시장 내 천연 성분 위주의 스킨케어 제품이 점차 더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많은 외국 제조업체들 역시 농약, 비료 및 기타 합성 물질의 사용을 금지하는 생산 공정을 규정하며 소비자 니즈에 맞춘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는 추세이다.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상품
 
티몰(Tmall) 영유아산업 담당자에 따르면 최근 유아용 화장품시장이 유아 전용 샴푸, 클렌저, 자외선 차단제, 마스크 및 기타 카테고리로 세분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년 동안 티몰 글로벌(Tmall International)을 통해 40개 이상의 새로운 유아용 스킨케어 제품이 중국 국내 시장에 진출했으며 앞으로 더 다양한 관련 상품이 출시될 예정이다.
 
영유아 스킨케어 수입 상품 TOP 5(판매량 기준)

4.jp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