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2021년 하반기 BioINwatch Collection

2021년 하반기 BioINwatch Collection

  • 발행일 2022-03-29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담당자 김무웅 ( 042-879-8375 / moongkim@kribb.re.kr )
  • 조회수 3607
  • 키워드
    #2021년 #하반기 #바이오인와치
  • 첨부파일

개요


2021년 하반기 BioINwatch Collection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BioINwatch(BioIN + Issue + watch)를 통해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2021년 하반기 보고서가 생명공학 전문가, 관련 기업, 그리고 정부의 생명공학 정책입안자들에게 유용한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앞으로 보다 양질의 분석자료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목차>

 

◐ BioINwatch로 살펴본 주요 이슈 ◑

 

□  코로나19 팬더믹 관련,  맞춤형 검사 및 차세대 백신 개발 현황 그리고 코로나19가 변화시킨 다양한 내용에 대해 소개

 

 ○ 맞춤형 코로나19 검사, 2세대 코로나19 백신 개발,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체 데이터 공유 등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 진행

➤ BIoINwatch 21-8, 21-12, 21-13, 21-15, 21-39, 21-44, 21-48, 21-56, 21-89 참고  

 

 ○ 코로나19 협력연구 중요성 가속화, COVID R&D Alliance 결성, 코로나19가 변화시킨 출판문화, NIH COVID-19 연구 전략계획 발표, 코로나 19 극복과 미래 감염병 대비 방안 등 코로나19 관련 다양한 주제의 논의가 활발

➤ BIoINwatch 21-2, 21-11, 21-13, 21-32, 21-45, 21-44, 21-69, 21-80, 21-92 참고

 

□ Nature, Science 등에서 2021년 과학기술 트렌드 및 2021년 주목할 바이오분야 소개

 

 ○ 줄기세포 연구지침 개편, 알츠하이머 약물평가, 코로나19 맞춤형 신약 개발 등 바이오분야를 포함하여 전망한 2021년 과학기술 트렌드를 소개

※ (바이오분야) 코로나19 맞춤형 신약 개발, 더욱 선명한 단백질 관찰, 영양실조 아동을 위한 장 건강 영향 연구, 항암제 승인, 줄기세포 연구 지침 개편, 알츠하이머 약물평가 등

 

 ○ Nature에서 7명의 바이오 전문가들에게 2021년 주목해야 할 기술에 대해 인터뷰하고 올해 큰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전망되는 7개 기술을 소개  

※  7개 기술 : ①열에 안전한 백신, ②뇌의 홀로그램, ③더 우수한 항체, ➃3가지 새로운 단일세포 시퀀싱 기술, ➄세포의 힘 측정, ➅임상 현장 에서의 질량분석, ⑦냄새로 질병 포착하기

➤ BIoINwatch 21-1, 21-3, 21-10 참고

 

□  2021년,  세계경제포럼(WEF)의  10대  미래유망기술  선정  및  MIT 10대 혁신기술 발표 

 

 ○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Scientific American과 합동으로 스스로 비료를 공급하는 작물, 질병진단  호흡센서  등의  바이오  관련  기술을  포함한  “2021년 10대 미래유망기술(Top 10 Emerging Technologies of 2021)” 발표 

    ※ 10대 미래유망기술  :  ①탈탄소화 관련 기술, ②스스로  비료를  공급하는 작물, ③질병진단  호흡센서, ➃주문형  의약품  제조, ➄ 무선신호로부터  에너지  획득, ➅ 건강한 고령화를 위한 공학, ⑦그린 암모니아, ⑧무선 바이오마커 장치, ⑨ 현지  재료로  제작된  3D  프린트  주택, ⑩ 우주 사물인터넷

➤ BIoINwatch 21-84 참고 

 

 ○ MIT, 2021년 10대 혁신기술(10 Breakthrough Technologies 2021)을 발표하였으며 이중 mRNA 백신, 디지털 접촉 추적 등 3가지 기술이 바이오관련 기술

    ※ 10대  혁신기술 : ①mRNA 백신, ②GPT-3(Generative Pre-training Transformer-3), ③틱톡 추천 알고리즘, ➃리튬-메탈 배터리, ➄데이터 트러스트, ➅녹색수소, ⑦디지털 접촉 추적, ⑧초정밀 위치정보 기술, ⑨원격의 시대, ⑩다재다능한 인공지능

➤ BIoINwatch 21-31 참고

 

□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연구방향과  인간유전자편집  권고안  제시  및 양자, 우주 등 신기술의 바이오 분야 접목 가시화 

 

 ○ 국제줄기세포학회, 인간배아 연구를 수정 후 14일 이상 지속할 수 있는 허가를 신청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제시(2021.5)

 

 ○ 세계보건기구(WHO)는 안전, 효율성 및 윤리에 중점을 두고 공공보건을 위한 도구로 인간 유전자편집기술의 활용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되는 최초의 글로벌 권고안을 발표(2021.7)

 

 ○ 최근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양자컴퓨터, 신약개발을 위한 구조 생물학 분야에 활용 등 다양한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어 바이오 분야의 R&D 혁신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 제시(2021.6)

 

 ○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우주 방사선에 장기간 노출된 마우스 정자에서 정상적인 새끼 번식에 성공. 우주 공간에서 인간 생존과 자손 번영 가능성을 제시(2021.6)  

※ 본 프로젝트는 미래 우주 탐사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 중 하나인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가 지구 외 다른 행성에서 생존할 수 있는지를 연구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우주 공간에서 포유류 번식 가능성 확인

2. G7 보건장관회의, 코로나19 극복과 미래 감염병 대비 방안 논의 

3. 영국, Innovation Scholarship Innitiative로 헬스·바이오사이언스 분야 인력 양성에 투자 

4. 더 쉽게 분해되고, 재활용 가능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5. 네이처 인덱스(Nature Index) 2021 발표

6. 미국, ARPA-H로 바이오의학 및 헬스 R&D 혁신 가속화 기대

7. 미국 FDA, 100번째 단일클론 항체 승인 

8. 글로벌 상위 10대 합성생물학 기업 

9. AI 기반의 단백질 구조 예측 프로그램 및 DB 공개 

10.  백신의 향기(Scent of a vaccine) : 코로나19 비강백신

11.  이종이식에 관한 규제 및 지재권 이슈 논의 요구 

12.  미국, 연구용 원숭이를 위한 투자 확대 제안

13.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반의 다양한 진단기술

14.  영국, 생명과학 10년 비전(UK Life Sciences Vision) 발표

15.  2021년 상반기 VC 투자 및 기술특례상장 동향 

16.  항암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의 지속 확대 

17.  WHO, 공공보건 발전을 위한 인간 유전자편집에 대한 권고안 발표 

18.  글로벌 바이오제약 산업 2021 프리뷰 및 2026 전망 

19.  중국이 글로벌 바이오제약 산업에 미치는 영향

20.  기아 종식과 지속가능한 식품 시스템에 기여하는 블루 푸드(Blue Food)의 잠재력

21.  글로벌 바이오산업 시장현황 및 전망(2021∼2027) 

22.  제조업을 혁신할 자연지향설계(Nature Co-Design) 시대 도래 

23.  코로나19 mRNA 백신 특허의 네트워크 분석

24.  차세대시퀀싱(NGS), 바이오제약 산업 발전 촉진  

25.  미국 NIH Common Fund의 HRHR(High-Risk, High-Reward Research) 프로그램 

26.  인간 미세생리학적 시스템의 신약개발 활용 

27.  신생아 게놈 시퀀싱, 기대와 우려 공존 

28.  14일 규칙 완화 이후 인간 배아줄기세포 연구방향

29.  네이처 인덱스 선정, 2021 과학도시

30.  의약산업 및 친환경화학에 큰 공헌을 한 유기촉매기술, 2021년 노벨화학상 수상 

31. NIH Common Fund 프로그램의 데이터 활용을 촉진하는 Common Fund Data Ecosystem(CFDE) 

32.  뇌연구와 뇌질환 극복을 위한 세계에서 가장 큰 뇌지도 구축 노력 

33.  과학기술 분야 핫 이슈 ‘양자컴퓨터’, 신약개발 가속화 기대

34.  미국 NIH, COVID-19 연구 전략계획 발표 

35.  기후변화, 10년 이내 주요 식량작물 생산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예측

36.  정밀이미징과 AI 기술로 세포 내부 관찰

37.  이산화탄소를 식량자원으로 전환하는 무세포 기반의 인공합성회로 개발

38.  WEF, 2021년 10대 미래유망기술 선정 

39.  GEN 선정, 유망한 코로나19 백신 6종 

40.  영국, 바이오의약 연구에 즉시 활용 가능한 20만명의 whole genome 시퀀싱 데이터 발표

41.  2020년 미국등록 특허 동향 및 트렌드

42.  숫자로 본 글로벌 감염병 지표 현황 

43.  코로나19 바이러스 진화의 다음 단계 

44.  미국 메릴랜드주, 범죄 수사에서 사용되는 유전자 정보에 대한 포괄적 규제 법률 제정

45.  항암바이러스치료제(oncolytic virothearapy)

46.  2021년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8개 주요 차트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