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2023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2023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 발행일 2023-02-28
  • 출처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담당자 남연정 ( 042-879-8365 / yjnam@kribb.re.kr )
  • 조회수 13981
  • 키워드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미래유망기술 #emerging technology #유망기술
  • 첨부파일

개요

2023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1. 연구 배경 및 목적

 

 

가.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과학기술의 혁신은 통합형(consolidating)과 파괴형(disruptive)으로 구분이 가능한데, 통합적 혁신과 파괴적 혁신의 건전한 조화가 과학기술 발전에 중요

ㅇ 통합형 혁신은 기존 지식 흐름을 개선하여 이전 연구의 가치를 더욱 확고히 하는데 기여

※ 노벨상을 수상한 Kohn와 Sham의 1965년 논문은 통합적 혁신의 사례로, 이미 확립되어 있던 개념의 정리를 통해 전자 구조 계산 방식을 개발


ㅇ 파괴형 혁신은 기존 지식을 파괴하고 쓸모없게 만들고 과학과 기술을 새로운 방향으로 추진

※ 노벨상을 수상한 Watson과 Crick의 1953년 논문은 파괴적 혁신의 사례로, 이전의 접근 방식을 대체하는 DNA 구조 모델을 발표


ㅇ 지난 수십 년간 과학 및 기술에 관한 문헌(논문, 특허)의 수가 급증하면서 파괴적 영향력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 2,500만 건의 논문(1945∼2010년)과 390만 건의 특허(1976∼2010년) 데이터로 분석한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파괴적인 혁신성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


- 파괴적 연구의 비율은 1945∼2010년 사이 크게 떨어졌지만 매우 파괴적인 연구의 수는 거의 동일하게 유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연구 배경 및 목적

가. 연구 배경 및 필요성

나. 국내·외 현황 및 사례

다. 연구 목적

 

연구 범위 및 방법

가. 정의 및 추진방안

나. 단계별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가. 2023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선정

나. 향후계획 및 기대효과

 

참고문헌

[첨부1] 2023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설명자료

[첨부2] 그간 발굴된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리스트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