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알제리 의약품 시장동향 및 진출방안
- 등록일2017-11-14
- 조회수5088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7-10-30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알제리#의약품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알제리 의약품 시장동향 및 진출방안
- 인구 증가와 국가 보건복지 확대에 따라 의약품 시장 성장기대 ?
- 직접 수출보다는 알제리 파트너와 공동으로 현지 의약품 생산공장 건설이 바람직 -
조기창 / 알제리 알제무역관
□ 알제리 제약산업 개요
ㅇ 알제리 제약시장은 2016년 기준 약 37억 달러 규모로 만성질환의 확산과 인구(약 4000만 명) 증가는 제약산업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
ㅇ 또한 보건의료제도 개혁에 대한 정부의 강한 의지와 함께 유가 하락 이후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다국적 제약사 해외투자 유치, 의약품 국내생산 확대를 통해 알제리를 글로벌 제약 중심국으로 육성하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정책 추진
- 그러나 알제리에서 현지 생산하지 않고 수출만 하려는 외국제약사들에는 높은 진입장벽으로 알제리가 고위험 시장으로 분류됨.
□ 의약 및 건강용품 시장규모 전망
< 알제리 의약품 및 보건용품 전망 >
구분 |
2015 |
2016 |
2017f |
2018f |
2019f |
2020f |
2021f |
의약품 판매액(십억 달러) |
3.769 |
3.699 |
3.767 |
3.839 |
4.035 |
4.253 |
4.492 |
GDP대비 의약품 판매액 비중(%) |
2.30 |
2.27 |
2.17 |
2.14 |
2.07 |
2.02 |
2.02 |
보건지출대비 의약품 판매액 비중(%) |
31.2 |
31.2 |
31.3 |
31.5 |
31.7 |
32.0 |
32.3 |
보건지출액(십억 달러) |
12.085 |
11.842 |
12.018 |
12.181 |
12.715 |
13.294 |
13.924 |
주: 1) f는 BMI 전망치, 2) 자료원: National sources, WHO, BMI
ㅇ 알제리 제약시장은 매년 성장해 2021년에는 45억 달러 규모의 시장이 될 전망
□ 최근 시장동향
ㅇ 2017년 7월 미 국무부 글로벌 투자환경 리포트에 의하면 알제리 제약시장은 장기적으로 성장 잠재력이 크며 수익성이 좋은 시장으로 평가되고 있음.
ㅇ 최근 임명된 알제리 보건부 장관은 알제리의 주요 도시인 Bechar, Adrar, Tlemcen, Sidi Bel-Abbes, El-Oued, Tizi-Ouzou, Chlef, Laghouat 및 Oran 등에 대형 암치료 센터를 건립하고 기존 병원 시설도 확충하겠다고 발표함. 이에 따라 의약품 수요는 확대로 이어질 전망
ㅇ 2017년 5월, 알제리에서는 32개국 아프리카 국가 대표 3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8회 국제약학포럼이 개최됐으며, 알제리 보건부 장관은 아프리카 제약 에이전시(African Drug Agency) 창립을 제한했음.
ㅇ 같은 달, 프랑스계 알제리 현지투자 제약회사인 Sanofi Algeria Haissam Chraiteh의 CEO는 2018년까지 중동 및 아프리카에서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사 공장 중 가장 규모가 큰 제약생산 단지를 완공할 예정이라고 발표
< Sanofi Algeria Haissam Chraiteh가 건설 중인 제약생산 단지 >

ㅇ 알제리의 의약품 지출 비중은 중동 아프리카 국가 중 최고 수준임.
- 정신지체질병(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 16%, 심혈관질환 16%, 근골격질병 11%, 당뇨병·비뇨생식질환·현관 및 배분비선 질병 11%, 신생아질병 11%, 암 7% 관련 치료약이 주로 판매됨.
- 특히 고지방 위주의 식생활과 운동부족으로 인한 성인병(뇌졸증, 관상동맹질환, 고혈압 등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높음. 성인 35% 정도가 고혈압 환자로 추정됨.
□ 최근 외국제약사들의 현지 투자 움직임
ㅇ 덴마크 제약사 Novo Nordisk는 알제리 콘스탄틴에 있는 자사 현지 공장 부지에 인슐린 펜 조립 및 포장을 위한 공장을 설립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짐.
ㅇ 프랑스 Sanofi는 7000만 달러를 투입해 아프리카에서 제일 큰 의약품 공장 알제리에 건설하기로 결정
ㅇ 독일의 Merck KGaA와 알제리 연구소 Novapharm은 알제리 시장에서 판매할 Merck사의 당뇨 및 고혈압 치료제를 생산하기 위한 합작사업 추진 중
- 총 532만 달러가 투입될 예정이며, 연간 500억 개 알약을 생산하게 됨.
ㅇ 알제리 선두 주요 다국적 제약회사
- Sanofi Aventis(프), GloaxoSmithKlein(영), Hikma Pharma(요르단), Novo Nordisk(덴마크), Pfizer, Novatis. MSD, Roche Diagnostic 등 30여 개사가 진출(전제 의약품 수요의 55%가량을 현지 생산된 의약품으로 커버하고 있음)
□ 알제리 제약산업 SWOT 분석
ㅇ 강점
- 아프리카에서 가장 발전한 제약시장 중 하나
- 기초의약품 국내생산을 기반으로 수입의약품에 대한 강한 수요
- 다국적 제약사들의 현지 제조 설비의 점진적 확산
- 상대적으로 비중이 가장 높은 젊은 층 인구
- 최근 몇 년간 정부의 의료복지분야 집중 투자
- 수입의약품의 45%가 복제약임.
ㅇ 약점
- 지형적 조건의 한계로 인한 고르지 못한 복지공급
- 다국적기업들의 활동을 저해하는 빈약한 특허 및 지적소유권 보호제도
- 의약품 수입 및 특허에 대한 허가 획득 지연
- 엄격한 약제 배상정책
- 정부보조금과 특혜에 의존하는 국내제약산업
- 의약품 위조 및 밀수 빈발
- 알제리 국내에서 생산되는 의약품에 대한 수입금지정책
- 외국인 투자자는 현지 지분 49%까지만 보유 가능
ㅇ 기회
- 외국제약사들을 알제리로 투자 유치하려는 정부의 강한 의지
- 오일과 가스 수익으로 보건 현대화하려는 정부의 노력과 비교적 견고한 국가 재정
- 행정소모를 줄일 수 있는 스마트 헬스케어카드제도 개선
- 국내 제약사들의 수출 확대를 지원하려는 정부의 노력
- 알제리를 제약 및 생명공학 생산 허브로 육성하겠다는 '알제리 비전 2020'을 위해 미국 의약품제조협회와의 MOU 체결
ㅇ 위협
- 유가하락으로 인한 경기침체 지속 및 재정적자 누적
- 인도와 중국 제약수출기업들의 알제리 시장 진출확대는 알제리 현지투자 다국적 제약사들에 새로운 도전으로 부상
- 신약 진입을 방해하는 방만한 형식적 관료주의
- 의약품 가격정책 및 수입규제정책은 다국적 제약사들의 투자 기피 요인으로 작용
- 지속적인 테러 위협은 다국적기업의 직접투자를 저해하고 있음.
- 의약품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국내 제조업체들의 운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의약품 수입을 규제하고 국내 생산을 확대하려는 정부 정책
- 최근 몇 년간 높은 가격을 책정한 일부 다국적 제약사들에 대한 정부 규제 강화
□ 알제리의 의약품 수입현황
< 알제리 의약품 수입규모(HS Code 3004 기준) >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8월까지 |
1 |
프랑스 |
679,830 |
538,198 |
498,441 |
271,352 (34.14) |
2 |
독일 |
241,508 |
197,661 |
498,441 |
145,380 (18.29) |
3 |
이탈리아 |
125,990 |
92,245 |
87,168 |
58,936 (7.41) |
4 |
스페인 |
101,993 |
82,783 |
75,875 |
49,293 (6.20) |
5 |
스위스 |
79,457 |
47,599 |
38,927 |
40,594 (5.11) |
6 |
영국 |
72,479 |
71,984 |
38,927 |
23,619 (2.97) |
7 |
아일랜드 |
10,986 |
4,927 |
6,525 |
22,400 (2.82) |
8 |
미국 |
72,479 |
71,984 |
71,013 |
19,640 (2.47) |
9 |
인도 |
32,700 |
38,434 |
42,779 |
19,372 (2.44) |
10 |
덴마크 |
114,454 |
64,816 |
61,073 |
17,812 (2.24) |
20 |
한국 |
8,573 |
8,951 |
7,898 |
5,643 (0.71) |
- |
총액 |
1,947,952 |
1,483,633 |
1,405,571 |
794,840 (100) |
자료원: Global World Atlas
ㅇ 알제리의 의약품 수입은 2014년 유가하락 이래 지속 감소하고 있음. 이는 알제리 정부의 국내 생산의약품의 수입금지 조치에 따른 현상임.
ㅇ 알제리 주요 의약품 수입국은 프랑스, 독일, 이태리, 스페인 등 유럽국가에 치중돼 있으며 특히 프랑스와 독일로 부터 수입액이 전체의 절반 가량을 차지함.
ㅇ 반면 한국으로 부터 의약품 수입 비중은 1% 도 안될 만큼 미미한 수준임.
ㅇ 알제리 수입시장 내 거의 모든 제품에서 수위를 달리고 있는 중국의 경우도 의약품 수입시장 점유율은 1% 내외로 역시 미미한 수준임.
□ 추천 알제리 의약품 전시회
ㅇ 전시회명: MAGHREB PHARMA
- 개최시기: 2018년 10월
- 장소: 알제 SAFEX
- 주최: EASYFAIRS NORTHERAL
- 홈페이지: www.easyfairs.com
- 전화 및 팩스: +213 21 21 01 22
- E-mai : contact@maghrebpharm.com
- 2017년 참가국 및 규모
· 알제리(34개사), EAU(1개사), 룩셈부르크(2개사), 터키(1개사), 독일(8개사), 스페인(20개사), 미국(1개사), 호주(1개사), 프랑스(46개사), 포르투갈(3개사), 베트남(1개사), 오스트리아(2개사), 그리스(1개사), 한국(1개사), 벨기에(4개사), 인도(24개사), 스웨덴(1개사), 중국(7개사), 아일랜드(1개사), 스위스(4개사), 이탈리아(24개사), 대만(1개사), 이집트(2개사), 요르단(2개사), 튀니지(11개사), 네델란드(1개사) 등 206개 부스
□ 최근 우리나라 제약사 알제리 진출 성공사례
ㅇ 녹십자 엠에스: 미국 테코다이노스틱스사와 1230만 달러 규모의 혈당측정기 공급계약 체결
- 알제리에 전량 공급 예정 (알제리 전체 수요규모의 25%에 해당하는 물량)
ㅇ 시티씨바이오사: 필름형 발기 부전치료제 알제리 수출
ㅇ 녹십자: 헌터증후군 치료제 '헌터라제' 알제리 수출
□ 알제리 진출방안
ㅇ 알제리는 인구 4000만 명에 이르며, 정부는 국민들에게 무료 보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전국적으로 1만 개 이상의 약국들이
영업 중임.
ㅇ 국내 생산 의약품에 대해서는 수입을 금지하고 있으며 수입의약품에 대해서는 까다로운 규제를 하고 있으므로 직접 수출보다는 알제리 파트너와 현지 공장 건설 및 기술 제휴를 통한 진출이 바람직함.
ㅇ 의약품 제조 설비 및 의약품 원자재 수출
ㅇ 현지 에이전트 또는 해외 유명 디스트리뷰터를 통한 간접수출
자료원: BMI, KOTRA 알제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