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스페인 의약품시장 전격 분석
- 등록일2018-10-01
- 조회수718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8-09-14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스페인#의약품
스페인 의약품시장 전격 분석
2018-09-14 이성학 스페인 마드리드무역관
- 의약 부문 유럽 5위 판매 시장이자 7위 생산국 -
- 경기 회복으로 최근 3년간 의약품 소비 확대 -
□ 내수 시장 및 생산 규모 지속 성장 중
ㅇ 스페인 제약산업은 1986년 EU 가입 이후 빠른 경제 성장과 공공의료 범위 확대 등에 힘입어 매년 꾸준히 성장해 왔으며, 정부 주도 하에 의약품 개발에 대한 투자도 상당 부분 이루어짐.
ㅇ 유럽 내 5위 판매 시장이자 7위 생산국
- 경제 성장에 따른 삶의 질 개선 및 노령화, 공공의료 부문 지원 확대 등으로 스페인은 유럽 주요 의약 소비 시장으로 성장해 유럽에서 다섯 번째로 큰 소비국으로 발전
- 다국적 의약품 제조기업 유치 및 정부 주도 의약품 개발 정책에 힘입어 생산 규모도 매년 꾸준히 확대해 2016년 기준 유럽 내 7위 생산국(151억 유로)
ㅇ 스페인 제약산업 종사자는 2016년 기준 약 4만1000명으로 유럽 6위권 수준
2016년 유럽 의약품 국가별 총 매출비중

자료원: EFPIA(유럽의약품산업협회연맹)
2016년 유럽 의약품 국가별 총 생산비중

자료원: EFPIA(유럽의약품산업협회연맹)
? 시장규모, 생산비중 대비 R&D 투자 취약
ㅇ 스페인 제약업계의 R&D 투자액은 2016년 기준 약 10억8000만 유로로 유럽 R&D 투자 총액 대비 3.2%에 불과한 재원을 투자해 시장규모, 생산비중 대비 투자 규모가 매우 낮음
- 2016년 유럽 내 제약 R&D 투자액은 약 339억 유로로 주요 투자국은 독일, 스위스, 영국, 프랑스 등
2016년 유럽 제약 R&D 국가별 투자비중

자료원: EFPIA(유럽의약품산업협회연맹)
ㅇ 스페인 제약협회 Farmaindustria 분석에 따르면, 스페인 제약업계의 R&D 투자는 2014년을 기점으로 증가세로 전환
연도별 스페인 의약 R&D 투자 증감률

주: EFPIA 자료와 연도별 투자 규모 차이 발생. 추세치 참고자료로 활용바람
자료원: Farmaindustria(스페인 제약협회)
□ 내수시장 현황
ㅇ 스페인 의약품 시장은 2009년까지 매년 꾸준히 성장해 왔으나, 유럽 재정위기 여파로 2010년 하반기부터 국가 재정불안에 따른 공공의료 지원 감축 및 의료 분야 개혁을 실시하면서 이후 지속 축소
ㅇ 의약품 시장은 2014년을 기점으로 회복세로 전환돼 2017년에는 전년 대비 2.7% 늘어난 160억 유로 기록
- 공공병원의 의약품 소비는 2014년 52억5400만 유로에서 2017년 64억4800만 유로로 22.9% 증가
- 같은 기간 일반 약국의 의약품 소비는 88억4200만 유로에서 95억8000만 유로로 8.4% 증가
연도별 스페인 의약품 소비규모
(단위: 백만 유로)
연도 |
2014 |
2015 |
2016 |
2017 |
총소비액 |
14,096 |
15,598 |
15,603 |
16,028 |
공공병원 |
5,254 |
6,641 |
6,242 |
6,448 |
약국 |
8,842 |
8,957 |
9,361 |
9,580 |
자료원: Farmaindustria(스페인 제약협회)
ㅇ 전체 의약품 판매 중 보험급여 의약품 비중 압도적으로 높음.
- 2017년 약국채널 의약품 판매 기준 보험급여 의약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85.0%(수량 기준), 86.9%(금액 기준)을 기록
2017년 스페인 약국채널 의약품 판매 현황
(단위: 백만 개, 백만 유로, %)
구분 |
수량기준 |
금액기준 | ||||
수량 |
비중 |
증감률 |
금액 |
비중 |
증감률 | |
보험급여 의약품 |
1,099 |
85.0 |
+0.6 |
8,284 |
86.9 |
2.3 |
보험비급여 의약품 |
193 |
15.0 |
-3.5 |
1,296 |
13.5 |
2.3 |
총합 |
1,292 |
100 |
0.0 |
9,580 |
100 |
2.3 |
자료원: Farmaindustria(스페인 제약협회)
? 약제·성분별 의약품 판매 동향
ㅇ 판매수량 기준 주요 의약품
- 2017년 스페인 약국채널에서는 신경계통, 소화기관, 심장혈관계통, 호흡계통 관련 의약품이 가장 많이 판매됨.
- 이외 가장 많이 판매된 의약품은 2015년 기준 Omeprazole, Paracetamol, Simvastatin 순
2017년 스페인 약국채널 분야별 의약품 판매 현황
(단위: 천 개, 천 유로, %)
구분 |
수량기준 |
금액기준 | ||||
수량 |
비중 |
증감률 |
금액 |
비중 |
증감률 | |
신경계통 |
332,736.3 |
25.8 |
+1.6 |
2,281,775.4 |
23.1 |
+2.4 |
소화기관 |
202,001.9 |
15.6 |
-1.4 |
1,722,206.6 |
17.4 |
+4.2 |
심장혈관계통 |
250,608.6 |
19.4 |
+1 |
1,532,094.1 |
15.5 |
-1.3 |
호흡계통 |
123,058.9 |
9.5 |
-0.9 |
1,032,792.4 |
10.4 |
-1.4 |
비뇨계통 |
53,629.6 |
4.2 |
+0.6 |
699,461.8 |
7.1 |
+2.3 |
혈액 |
66,732.4 |
5.2 |
+1.2 |
602,886.7 |
6.1 |
+11 |
근골격계 |
85,440.5 |
6.6 |
-4.3 |
462,164.4 |
4.7 |
-1.9 |
감염관리 |
48,710.4 |
3.8 |
-3.1 |
419,140.3 |
4.2 |
+2.7 |
화학요법 |
6,558.0 |
0.5 |
+1.2 |
358,635.2 |
3.6 |
+3.8 |
피부계통 |
49,767.7 |
3.9 |
+0.7 |
286,683.4 |
2.9 |
+3.8 |
감각기관 |
43,642.2 |
3.4 |
-3.5 |
227,821.9 |
2.3 |
-0.8 |
호르몬 |
22,112.1 |
1.7 |
+4.9 |
211,373.9 |
2.1 |
+5.5 |
기타 |
1,428.6 |
0.1 |
+1.9 |
44,400.2 |
0.4 |
+2.7 |
항기생충제 |
1,680.5 |
0.1 |
+5.4 |
10,049.2 |
0.1 |
+14 |
병원용 솔루션 |
3,857.2 |
0.3 |
+7.8 |
4,054.0 |
0.0 |
+8.4 |
진단용 약물 |
17.2 |
0.0 |
-17.2 |
286.0 |
0.0 |
-14 |
합계 |
1,291,982.1 |
100 |
0.0 |
9,895,825.4 |
100 |
+2.1 |
자료원: Farmaindustria(스페인 제약협회)
2015년 스페인 주요 의약품 현황
(백만 개, %)
순위 |
주성분명 |
수량 |
비중 |
증가율 |
판매액 |
1 |
Omeprazole |
54.0 |
5.9 |
-2.5 |
139.2 |
2 |
Paracetamol |
36.5 |
4.0 |
3.2 |
82.6 |
3 |
Simvastatin |
26.4 |
2.9 |
0.6 |
39.9 |
4 |
Acetylsalicylic acid |
26.0 |
2.8 |
0.2 |
43.2 |
5 |
Atorvastatin |
21.2 |
2.3 |
5.3 |
277.5 |
6 |
Metamizole Sodium |
20.2 |
2.2 |
9.9 |
45.2 |
7 |
Lorazepam |
17.3 |
1.9 |
0.6 |
28.5 |
8 |
Metformin |
16.8 |
1.8 |
0.2 |
33.0 |
9 |
Ibuprofen |
16.6 |
1.8 |
-9.6 |
38.8 |
10 |
Enalapril |
14.5 |
1.6 |
1.9 |
27.1 |
자료원: 스페인보건사회평등부 연차보고서(2017 발간자료)
? 외국계 다국적기업 스페인 시장서 높은 영향력 행사
ㅇ 2017년 말 기준 스페인 제약협회 Farmaindustria에는 154개 제약사가 등록돼 있으며, 그중 105개는 외국계기업으로 전체 회원사 중 68.2%에 해당
ㅇ 외국계 다국적기업들은 스페인 시장에서의 오랜 영업활동을 통해 탄탄한 유통망을 보유하고 있음.
ㅇ 판매법인 및 생산공장 설립을 통해 스페인 시장에 진출한 해외 기업은 대부분 미국 및 유럽계 기업이며, 현지 토착화를 통해 높은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음은 물론 스페인의 의약품 해외 수출도 주도
스페인 주요 제약사 국적 현황(제약협회 회원사 기준)
스페인 기업 |
외국계 기업 | |||
미국계 |
유럽계 | |||
계 |
49개사 |
18개사 |
87개사 | |
대기업 |
5개사 |
|
독일 |
10개사 |
중소기업 |
44개사 |
|
프랑스 |
10개사 |
|
|
|
영국 |
19개사 |
|
|
|
스위스 |
11개사 |
|
|
|
기타, 다국적 |
37개사 |
자료원: Farmaindustria(스페인 제약협회)
ㅇ 상위 10위권 내 외국계 7개사 포진
- 2017년 1~9월 기준, 스페인 토종 제약기업 중 상위 10위권에 랭크돼 있는 기업은 Cinfa(1위), Normon(2위), Kern Pharma(4위) 순
- 같은 기간 상위 랭크 외국계 기업은 Teva(이스라엘, 3위), Novartis(스위스, 5위), Pfizer(미국, 6위), Sanofi(프랑스, 7위) 순
스페인 제약사 시장점유율 현황(2017년 9월 기준)
(단위: %)
순위 |
기업명 |
2014 |
2015 |
2016 |
2017 1~9월 |
1 |
CINFA |
7.6 |
7.7 |
7.7 |
7.9 |
2 |
NORMON |
5.5 |
6.0 |
6.3 |
5.9 |
3 |
TEVA |
7.0 |
6.2 |
5.4 |
5.1 |
4 |
KERN PHARMA |
4.6 |
5.1 |
5.1 |
5.0 |
5 |
NOVARTIS |
4.6 |
4.5 |
4.4 |
4.4 |
6 |
PFIZER |
4.7 |
4.5 |
4.4 |
4.1 |
7 |
SANOFI |
3.9 |
3.7 |
3.5 |
3.2 |
8 |
GLAXOSMITHKLINE |
3.1 |
2.7 |
2.6 |
3.0 |
9 |
BOEHRINGER INGEL |
2.2 |
2.1 |
2.3 |
2.9 |
10 |
STADA |
2.6 |
3.0 |
2.9 |
2.9 |
자료원: hmR Spain(스페인 health market research)
□ 유통구조
ㅇ 스페인 의약품 유통업연맹에 따르면 스페인 의약품 유통의 68%는 약국을 통해 공급되며 31%는 병원과 의료기관, 1%는 기타 국가기관을 통해 소비됨.
ㅇ 스페인 의약품 도매 유통경로는 직거래와 유통전문기업을 경유하는 거래로 구분되며 비중은 35:65
- 정부 의료기관 등의 공공조달 시장에 대해서는 제약사가 직접 입찰에 참여하는 편
- 기타 또는 일반 약국으로 유통되는 물량은 대체로 의약품 전문 유통기업을 경유
스페인 의약품 유통경로

자료원: Fedifar(스페인 의약품유통협회)
ㅇ 의약품 유통기업의 상당수는 스페인 시장에서 50년 이상 영업활동을 하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도 기존 토종기업과의 합병을 통해 현지에 진출. 이로 인해 의약품 시장은 매우 경직된 유통구조를 형성
- 전문 유통기업들은 주로 특정 지역(도/시)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각자 주요 판매처(특정 약국 및 병원)를 보유해 오랜기간 거래를 해오고 있음.
- 여기에 친분을 중요시하는 스페인 국민성이 더해져 약국이 특정 유통기업과만 거래하는 경향이 높음.
ㅇ상위 5개사가 스페인 의약품 유통시장의 70% 이상 차지
- 스페인의 주요 의약품 유통기업은 Cofares, Alliance Healthcare, Bidafarma, Hefame, Federacio Farmaceutica로, 2016년 기준 상위 5개 유통사가 전체 시장의 73.3% 차지
- 소규모 유통기업들은 의약품의 대량구매를 위해 조합 형태의 대기업을 형성하기도 함(Cofares, Bidafarma 등이 대표적인 협동조합 형태의 주요 유통망).
2016년 스페인 주요 의약품 유통기업 현황
(단위: %)
순위 |
기업명 |
점유율 |
홈페이지 |
특기사항 |
1 |
Grupo Cofares |
26.3 |
www.cofares.es |
최대 의약품 유통기업으로 전국적 유통망 보유 |
2 |
Alliance Healthcare |
11.1 |
www.alliance-healthcare.es |
Walgreens Boots Alliance 소속 |
3 |
Bidafarma |
19.7 |
www.cecofar.es |
안달루시아 지방과 갈리시아 지역에서 강세 |
4 |
Hefame |
10.6 |
www.hefame.es |
지로나~말라가까지 동부연안 지역에서 강세 |
5 |
Federacio Farmaceutica |
5.6 |
www.fedefarma.com |
카탈루냐, 발렌시아, 아라곤 지역에서 강세 |
합계 |
73.3 |
|
|
자료원: Fedifar(스페인 의약품유통협회)
ㅇ 의약원료와 완제품 수입 관련 대기업은 주로 직거래, 중소기업은 수입·유통업체를 통해 의약원료 조달
- 일부 대형 제약사는 의약원료와 의약 완제품 제조를 병행하고 있음.
- 중소 제약사는 대기업에 비해 원료 수요가 많지 않은 관계로 관련 수입·유통상을 통해 필요한 원료를 구매
ㅇ 의약품 수입·유통 활동은 정부 허가를 사전 취득한 기업만 가능하며, 이러한 업체들은 1개 이상의 의약품 보관창고를 보유해야 함.
□ 유럽 내 9위 수출국이자 8위 수입국
ㅇ 유럽 총 수출규모 중 2.8%의 비중 차지
- 유럽 제약협회(EFPIA)에 따르면, 유럽 총 의약품 수출규모는 2016년 기준 3733억 유로이며 스페인의 수출액은 105억 유로로 약 2.8%에 해당
ㅇ유럽의 총 의약품 수입규모에서 스페인은 4.7%의 비중 차지
- 2016년 기준 유럽 총 의약품 수입규모는 2785억 유로이며 스페인의 수입액은 132억으로 4.7%에 해당
2016년 유럽 주요국 의약품 수출규모

자료원: EFPIA(유럽의약품산업협회연맹)
2016년 유럽 주요국 의약품 수입규모

주: 1) 해당 통계는 비유럽국인 터키, 러시아 등을 포함 32개국 대상,
2) 스페인 무역통계 DATACOMEX 수치와 상이함. 타 국가와의 비교치로 참고 바람.
자료원: EFPIA(유럽의약품산업협회연맹)
ㅇ 스페인 무역통계에 따르면 2017년 의약품 수출액(HS Code 30기준)은 100억 유로로 자동차, 기계, 연료류 등에 이어 스페인 5대 수출품목에 자리매김. 총 수출액 중 차지하는 비중은 약 3.6% 수준
ㅇ 경제위기로 급감했던 스페인의 의약품 수입은 2013년 기점으로 다시 회복해 2015년 132억 유로를 기록함. 그러나 이후 2년 연속 재하락해 2017년 123억5000만 유로를 기록, 전년 대비 1.8% 감소
스페인 의약품 수출입 추이
(단위: 백만 유로)

자료원: 스페인 무역통계(DATACOMEX)
ㅇ 스페인의 의약품 주요 교역 대상국은 유럽과 북미국가들임. 유럽 역내 수출입규모가 총 의약품 교역규모의 71.5% 수준에 이르며, 미국, 캐나다 등 북미국가 포함시 87.5%에 달함.
ㅇ 대한국 의약품 수출은 2017년 7260만 유로를 기록해 전년 대비 15.8% 감소함. 반면 같은 해 대한국 수입은 3370만 유로로 전년 대비 86.3%로 대폭 증가
스페인 주요 국가별 의약품 수출현황(HS Code 30 기준)
(단위: 백만 유로, %)
순위 |
국가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증감률 |
1 |
스위스 |
1,162.7 |
1,320.7 |
1,415.2 |
1,627.0 |
1,833.7 |
12.7 |
2 |
독일 |
842.3 |
883.9 |
1,092.6 |
1,243.8 |
1,178.1 |
-5.3 |
3 |
미국 |
537.0 |
854.0 |
836.4 |
708.7 |
705.9 |
-0.4 |
4 |
프랑스 |
1,082.2 |
882.6 |
780.8 |
717.9 |
702.2 |
-2.2 |
5 |
이탈리아 |
871.5 |
730.6 |
711.4 |
662.6 |
539.3 |
-18.6 |
6 |
네덜란드 |
522.8 |
517.0 |
616.0 |
556.5 |
508.1 |
-8.7 |
7 |
영국 |
672.7 |
696.8 |
649.8 |
521.2 |
473.1 |
-9.2 |
8 |
포르투갈 |
293.9 |
291.8 |
294.0 |
312.5 |
374.2 |
19.7 |
9 |
일본 |
432.2 |
362.4 |
486.5 |
339.6 |
321.1 |
-5.5 |
10 |
중국 |
229.9 |
188.4 |
250.5 |
233.5 |
258.8 |
10.8 |
25 |
한국 |
76.4 |
104.5 |
73.2 |
86.3 |
72.6 |
-15.8 |
총계 |
9,843.10 |
9,623.90 |
10,242.70 |
9,810.80 |
10,063.10 |
2.6 |
자료원: 스페인 무역통계(DATACOMEX)
스페인 주요 국가별 의약품 수입현황(HS Code 30 기준)
(단위: 백만 유로)
순위 |
국가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증감률 |
1 |
미국 |
2,312.0 |
2,336.2 |
3,439.4 |
2,884.8 |
2,587.9 |
-10.3 |
2 |
독일 |
1,430.5 |
1,658.8 |
1,862.4 |
2,001.1 |
1,907.5 |
-4.7 |
3 |
벨기에 |
791.6 |
829.7 |
924.7 |
810.7 |
1,157.1 |
42.7 |
4 |
스위스 |
729.2 |
928.9 |
976.8 |
1,218.3 |
1,071.1 |
-12.1 |
5 |
네덜란드 |
554.9 |
652.3 |
809.5 |
849.6 |
895.9 |
5.5 |
6 |
프랑스 |
836.7 |
804.4 |
814.7 |
716.7 |
844.0 |
17.8 |
7 |
영국 |
1,291.3 |
1,167.9 |
907.9 |
841.3 |
782.6 |
-7.0 |
8 |
아일랜드 |
659.0 |
731.7 |
949.8 |
634.5 |
547.0 |
-13.8 |
9 |
이탈리아 |
550.2 |
416.8 |
507.2 |
476.3 |
546.2 |
14.7 |
10 |
폴란드 |
162.1 |
406.3 |
454.3 |
440.2 |
322.5 |
-26.7 |
29 |
한국 |
3.8 |
5.6 |
15.4 |
18.1 |
33.7 |
86.3 |
총계 |
10,989 |
11,581 |
13,234 |
12,578 |
12,352 |
-1.8 |
자료원: 스페인 무역통계(DATACOMEX)
□ 의약품 관련 제도
ㅇ 유럽 의약품 시장진출을 위해서는 시판허가를 사전에 취득해야 하며, 허가 방법은 유럽의약품청(EMA)을 통한 통합인증절차(Centralized authorisation procedure) 또는 각국 감독기관을 통한 국별 인증절차(National authorisation procedures)가 있음.
ㅇ 유럽의약품청(EMA)의 통합인증절차를 통해 허가를 받을 경우 EU 및 EEA(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노르웨이) 회원국 전체를 대상으로 유효함.
- AIDS, 희귀병 등 일부 약품 및 특정 제품에 대해서는 반드시 EMA를 통한 통합인증절차만을 취득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관련 대상 여부 확인 필요(http://www.ema.europa.eu/ema/index.jsp curl=pages/about_us/general/general_content_000109.jsp&mid=WC0b01ac0580028a47)
ㅇ 국별 인증절차는 다시 상호인증절차(Mutual-recognition procedure)와 개별인증절차(Decentralised procedure)로 나누어짐.
- 상호인증절차는 이미 다른 회원국에서 판매허가를 취득한 제품을 타 회원국에서 유통하고자 할 때 적용
- 개별인증절차는 회원 국내 판매허가가 없는 상태에서 특정국가 판매허가를 취득하기 위해 활용되며, 스페인의 감독기관은 AEMPS(www.aemps.gob.es/)
□ 시사점
ㅇ 양국 제약사 간 공동 의약품 개발을 통한 시장진출 확대 기대
- 스페인 의약품 시장 내 외국계 기업의 진입도는 높은 편이나, 이들은 모두 오랜기간 판매/생산법인 등을 통해 스페인 시장서 활동하고 있음. 현지 시장 활동 경험이 없는 외국 기업의 스페인 의약품 시장진출은 상당히 까다로운 편임.
- 스페인 제약사와의 의약품 공동개발 등을 통해 유럽/아시아 지역 판권을 나눠 갖는 형식 등을 통해 전 세계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는 방식을 고려해 볼 수 있음.
ㅇ 2018년 10월 9~11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세계 최대 의약품 박람회인 CPhI Worldwide가 개최되며, KOTRA와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는 해당 기간 중 한국관을 운영할 예정
- 개최장소: IFEMA 마드리드 국제전시장
- 한국관 참가 규모 및 모집업체 수: 893㎡, 36개사
- 전시품목: 원료의약품, 완제의약품, 의약외품, 의약품 관련 서비스 등
- 참고링크: http://www.gep.or.kr/overseas-exhibition/kotra/cphi-worldwide-2018--EX0100008090
자료원: EFPIA, Farmaindustria, 스페인보건사회평등부, hmR Spain, DATACOMEX, Fedifar, GEP, 현지기업 인터뷰 및 KOTRA 마드리드 무역관 자료 종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