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중국의 바이오산업 최신 동향

  • 등록일2021-02-03
  • 조회수6322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01-08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중국#중국 바이오산업#Sinopharm
  • 첨부파일

 

중국의 바이오산업 최신 동향

- 시장현황, 정부정책, 분야별 동향(바이오의약, 정밀의학, 바이오농업, 바이오화학) -

 


 

◇ 중국은 시장 규모뿐만 아니라 바이오메디컬 연구분야에서 선두국가로 진입
- CAR-T, CRISPR 임상시험 등록건수 등에 있어서는 미국을 추월
- 중국 Sinopharm社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허가(‘20.12.30)

◇ 해외 다국적기업들, 중국 진출 및 중국기업과의 전략적 제휴 대폭 확대
- 신약 약가 인하, 신규 생산공장 설립 등을 통한 중국 시장 진출 활발
- 중국 內 임상환자 모집, 인허가, 보험, 이해관계자 관계구축 등을 위해 제휴 확대

◇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과 국제적인 수준의 규제 조화를 통해 자국기업의 경쟁력 제고
- 바이오 제조업 강국을 위한 R&D지원 및 인력유치 정책, 도전적인 목표치 설정
- 정밀의학, 유전자변형 농작물, 바이오화학 육성을 위한 정책 지원 및 규제 정비



Ⅰ. 중국의 바이오산업 개황
(1) 시장 및 환경
 
- 중국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2013년 기준 180억 위안(28억 달러)에서 2016년 기준 300억~400억 위안(47억 달러~62억 달러) 규모로 증가
- 2017년 기준 중국의 바이오기업에 투자된 금액만 100억 달러 규모
- 해외기업과 중국바이오기업간 협력도 2015년 56건(32억 달러)에서 2019년 93건(106억 달러)으로 증가
- 2019년 기준 글로벌 임상의 약 24%가 중국에서 진행 중(중국: 3,898, 이외국가 12,140개)
- 중국은 인구 고령화, 환경오염,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 및 지출 증가 등으로 바이오시장이 지속 확대 중
- 중국정부는 바이오를 전략적신흥산업으로 지정하고, Made in China 2025 및 제13차 5개년 계획에 포함 시키고, 우수인재 유치 등을 통해 전략적으로 육성 중
※ 출처별로 다소 부풀려진 수치로 인해 중국의 바이오산업 전체에 대한 시장 규모 파악은 쉽지 않음에 따라서 주요 분야별 시장 자료를 언급함.

(2) 특징
 
- 임상중인 바이오시밀러만 200개 이상, CRO 및 CMO 시장도 급성장 중
- CAR-T, CRISPR, 면역관문억제제 등과 같은 첨단 바이오기술 분야에서 두각
- 유전체, 분자진단, 정밀의학에 대한 투자 및 연구개발 활발
- 중국의 바이오분야 특허 수는 2006년 1,000개에서 2016년 6,000개 이상으로 증가하여 미국을 추월(WIPO)
- 중국의 바이오분야 논문 수는 2007년~2017년 사이 매년 20% 증가세, 전세계 바이오 논문의 15% 점유
- 광대한 미래 시장, 싼 인건비, 풍부한 우수인력 등 상업화를 위한 중요한 요소 보유
 
Ⅱ. 중국의 바이오산업 정책
(1) 과학기술 프로그램(Science and Technology Programs)
 
- 1986년 시작된 고도기술연구개발계획(High-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Plan, 일명 863 프로그램)
※ 중국의 주요 과학기술 프로그램으로 중국의 경제 및 국가안보에 필수적인 주요 산업분야를 선정해 육성한 것으로 바이오기술도 포함됨. 2009년~2013년 사이 매년 8억 달러가 투자됨.
 
- 1997년에 시작된 국가핵심기초연구계획(National Plan on Key Basic Research, 일명 973 프로그램)
※ 헬스 분야 등 특정 산업분야 육성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2013년 한해에만 6억 3천만 달러가 투자됨.
 
- 2016년 2월, 중국의 과학기술부는 863프로그램과 973 프로그램 등을 아울러 국가핵심연구개발계획(National Key Research and Development)을 제정해 농업, 에너지, 환경, 헬스 등 주요 분야에 대한 투자 중
 
(2) 전략적 신생산업 계획(Strategic Emerging Industries Initiative)
 
- 2010년, 중국 국무원은 중국의 경제 경쟁력에 필수적인 7개* 전략적 신생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계획 개시
* 에너지효율/환경기술, 차세대IT, 바이오기술, 첨단장비생산, 신에너지, 신규물질, 신에너지자동차
 
- 이러한 산업분야가 2015년까지 GDP의 8%, 2020년까지 GDP의 15%까지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
- 2016년에 이 계획은 9개 산업분야로 늘어났으며 제12차 및 제13차 5개년 계획에 포함되어 이행 중
 
(3) 제12차 및 제13차 5개년 계획(12th and 13th Five-Year Plans)
 
- 12차 5개년 계획(2010년~2015년)에는 바이오메디컬산업, 바이오메디컬공학, 농업바이오, 바이오생산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들 각각의 분야에서의 새로운 기술개발, 혁신역량 개발 및 산업화를 위한 행동계획*이 포함
* 국가 유전자 자원은행 설립, 유전공학신약 개발, 디지털메디슨/텔레메디슨 시스템 개발, 유전자변형 유기체 개발, 동물 및 식물유전자원 정보기반 마련, 합성생물학 등 첨단바이오생산 지원
 
- 2012년 발표된 바이오산업개발계획을 보면 바이오신약, 제약, 전통중약, 바이오메디컬 공학, 바이오농업, 바이오생산, 바이오에너지, 바이오환경, 바이오서비스에 대한 계획과 2015년까지 예상되는 결과를 제시
 
- 제13차 5개년 계획(2016년~2020년)에서는 유전체학의 확대적용, 개인맞춤의학 및 신약의 대규모 개발, 유전자 및 세포은행 설립 등을 포함, 중국 과학기술부는 2020년까지 중국바이오산업이 달성해야 하는 목표* 제시
* 바이오기술의 독창성 향상 : 20~30개 선도 신규기술, 30~50개 전략적 신규제품, 5~80개 주요응용기술 개발
* 바이오기술 혁신 플랫폼 개발 : 녹색 바이오생산, 혁신신약 R&D, 바이오메디컬 공학을 위한 센터 설립을 촉진하고, 바이오인포메틱스센터, 인간유전자원은행, 바이오 및 의료 빅데이터 지원 인프라 구축
* 바이오기술의 산업화 강화 : 바이오기술이전 및 전환 센터 설립을 통한 바이오기술이전 촉진, 10~20개 바이오제약 특화 단지 및 5~10개 바이오생산 특화 단지 등 바이오기술관련 고도기술 단지 조성(각 단지별 100억 위안 이상의 가치 창출) 촉진
※ 아울러 제13차 5개년 계획에서는 바이오의약품 및 제약산업에서의 4조 5천억 위안(7,000억 달러) 생산, 바이오농업분야 1조 위안(1,560억 달러) 생산, 화학 생산규모의 1/4을 바이오 기반으로 생산하도록 하는 등 바이오산업에 특화된 목표를 제시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